•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otter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4초

서시천에서 수달(Lutra lutra) 배설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Feces Distribution of Otter(Lutra lutra) Population in Seosi Stream)

  • 김우열;진선덕;빙기창;박치영;이두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18-127
    • /
    • 2010
  • 본 연구는 전남 구례군 서시천에서 수달 배설물의 분포특성과 밀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는 7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6회에 걸쳐 배설지점수, 구배설물수, 신배설물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 구간에서 배설지점수 222지점, 구배설물수 662개(60일 환산 718개), 신배설물수 364개가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1월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500m 거리당 평균밀도는 배설지점수가 26.9지점, 구배설물수가 88.6개, 신배설물수가 44.4개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하여 각각 구간별 비율의 월 변동을 분석한 결과 수달이 연중 특별히 선호하는 구간은 없으며 서시천의 전 구간을 고루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여수연안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in Coastal Waters off Yeosu)

  • 이성훈;유태식;이대규;황태용;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2-177
    • /
    • 2019
  • 여수 돌산 연안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연구하기 2012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조사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7목 29과 52종이었고, 4,848개체가 어획되었다. 이 중 농어목이 12과 20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 종수를 보였고, 우점종은 주둥치(2,786개체, 57.5%), 도화망둑(164개체, 3.4%), 준치(141개체, 2.9%) 순이었다.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계절은 2,174개체가 어획된 여름이었고, 겨울에 321개체로 가장 적은 개체가 어획되었다. 다양도 지수는 봄에 3.06으로 가장 높았고, 여름과 가을에 1.77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온은 출현 개체수 (r=0.94)와 출현종 (r=0.83)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영각의 변화에 대한 전개판의 정적 안정성 연구 (A study on the static stability of the otter board in relation to the angle of attack)

  • 박창두;안희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3호
    • /
    • pp.234-24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개판의 영각 변화에 따른 정적안정성에 관하여 이론적 해석을 하였다. 또한 전개판의 형상별 유체력에 의한 정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종횡비가 다른 평판과 만곡도가 다른 종만곡판을 사용하여 회류수조에서 유체력 및 모벤트를 측정하고 형상별 압력중섬계수와 모멘트 계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개판의 영각($\alpha$) 변화에 따른 끌줄의 장력과 후릿줄의 장력에 의한 모멘트 변화는 전개판을 항상 정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작용한다. 2. 종횡비(λ)가 0.5, 1.0, 1.5인 평판의 압력중심계 수는 영각의 증가와 함께 전연에서 중심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유체력에 의한 모멘트는 항상 정적으로 안정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종횡비가 일정(λ=1.5)하고, 만곡도(CR)가 5%, 10%, 15%, 20%인 만곡판의 유체력에 의한 압력중심계수는 영각의 증가와 함께 후연에서 전연쪽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만곡판의 중심쪽으로 이동한다 만곡판에 작용하는 유체력에 의한 모멘트는 만곡도가 커질수록 정적으로 불안정한 영각의 범위가 증가한다.

화곡류의 내한성 검정기술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echniques for Evaluating Hardiness to Low Temperature in Cereals)

  • 조재연;제이 디;헤이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97-109
    • /
    • 1973
  • 1. 생장온도가 낮을 때에 내한성이 중정도에 속하는 품종들은 내한성의 향상을 보였으나 내한성이 극히 강하거나 극히 약한 품종들은 생장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2. 냉각온도가 높고 또 냉각기간이 비교적 짧았을 때에는 $2^{\circ}C$에서 보다 $5^{\circ}C$에서 경화가 잘 되었다. 3. 일장은 경화전이나 경화중 별로 영향하지 않았다. 4. 토양습도가 높을수록 내한성은 저하되었다. 5. 질소시용은 내한성을 증가시켰으며 식물체의 건물중을 증가시켰다. 건물중과 내한성간에는 고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6. 경화기간은 길수록 유리하지만 시험편의상 4일정도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고온하에서의 연화는 불과 1일-4일이내에 끝남을 알 수 있었다. 7. 내한성검정에 적합한 냉각조건은 $-8^{\circ}C$에서 24시간정도이었다. 8. 품종에 따라서는 냉각처리 직후 그 피해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회복력을 가지는 품종도 있으므로 처리후 일주일간 정상온도에 두었다가 동피해정도를 조사함이 타당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9. 전체적으로 보아 CD 80과 83의 내한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Cappelle과 Mris Otter의 순서이었다. 4개의 추파연맥과 Jufy I은 중정도로 구분되었으나 3개의 춘파연맥은 극히 약하였다. Peniarth는 Maris Otter와 대등하였고 S 147은 추파연맥중 가장 약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0. 수용성탄수화물함량이 내한성에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음은 사실이나 이 자체가 내한성을 조절하는 관건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달의 식이 습성 및 부산 신항 공사가 수달 먹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od Habits of the Otter, Lutra lutra, and Effects of Construction of the Busan New Port on its Prey)

  • 최준우;윤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36-7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부산 신항 공사 지역 주변 해역의 총 16개 지역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분기별로 매년 4회씩 수달의 배설물을 수집하여 배설물 내 생물 잔해 즉 먹이의 종류를 알아보고, 신항 개발이 수달의 섭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달은 주로 어류를 섭취하지만 갑각류와 복족류 등도 소수 섭취하는 것이 밝혀졌고, 숭어목이 수달의 주 먹이임이 밝혀졌다. 한편 어류는 모든 계절에 출현했지만 대부분의 어목의 출현 빈도와 어획량이 계절별로 매우 유사한 점으로부터, 수달이 섭취하는 어류의 양은 이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양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한편 배설물에 출현한 대부분의 어류, 갑각류 및 복족류의 출현 빈도가 2010년 이후에 감소했는데, 이는 공사에 의해서 수달의 먹이가 감소했고, 가까운 장래에 수달의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추론은 2010년 이후 수달의 배설물 수가 감소했고, 최근에 이 지역의 어획량이 급감했고, 수질 오염도 증가했다는 연구들로부터 뒷받침된다.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Prediction Study on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in the Ansim-wetland Using EN-Simulator)

  • 신지훈;서보용;노백호;김지영;한성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1호
    • /
    • pp.13-23
    • /
    • 2021
  •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 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남해 가덕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South Sea, Korea)

  • 정재묵;박주면;허성회;예상진;김현지;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48-956
    • /
    • 2013
  •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were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 collection by a small otter trawl in 2010-2011. Of a total of 65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Leiognathus nuchalis, Clupea pallasii, Thryssa kammalensis, Engraulis japonicus, Repomucenus valenciennei, Sillago japonica, Trachurus japonicus, Pennahia argentatus, Okamejei kenojei, Cynoglossus joyneri, Pholis fangi, Pleuronectes yokohamae, and Zoarces gillii. These 13 fishes accounted for 92.8%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easons. The peak number of fishes occurred in April, whereas the biomass of fishes was highest in August. The numbers and biomass of fishes were lower in February corresponding with the low temperatures, and diversity indices were lower in January than in any other month.

예망어구에서 발생되는 수중음에 관한 연구 (THE SEA NOISE OF THE MOVING TRAWL NET)

  • 윤갑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
    • /
    • 1975
  • 복잡하게 운동하고 있는 예망어구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소음들을 분석 녹음하기 위해 수중 녹음장치를 제작하여 실제 소형 트로올망의 수중소음을 녹음 하였으며, 본 수중 녹음장치는 이동하고 있는 어구에서 발생하는 수중소음을 녹음하는데는 편리하고 효과적이었고 spectrum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일중인 트로올망의 수중소음이 주된 음원은 어구의 발줄과 해저와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라는 것을 알았다. 2) 이동중의 트로올망의 수중소음의 주파수 분포는 $DC\~5000\;Hz$이고 그중 우세한 주파수는 약 $500\~700Hz$ 였다. 3) 트로올망의 절대음압의 최대는 50m 수심에서는 약 22 dB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