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medicinal treatment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3초

물리적 요인이 콩 발아 중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biotic Treatments on Isoflavone Accumulation in Soybean Seeds during Germination)

  • 조민식;이주희;마무현;김서영;변채림;이유정;이주원;최도진;김홍식;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18-24
    • /
    • 2019
  • 콩 발아기간 중 몇 가지 물리적 요인(열 처리, 수분공급 제한, 조명 처리, 초음파 처리)이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대조군과 함께 4가지 처리는 모두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아졌다. 2. 초음파 처리가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가장 큰 효과가 있었으며, 발아기간 중 조명 처리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열처리도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발아기간 중 부패립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수분제한은 대조군에 비해 이소플라본 함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4. 이소플라본 종류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onyl-glucoside가 대체로 총 이소플라본 함량의 85%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glucoside > aglycone > acetyl-glucoside 순서로 함량이 높았으며, 발아가 진행되면서 aglycone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발아기간 중 외부의 물리적 요인 처리가 콩 종자의 이소플라본 함량을 증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utan radix의 mouse sarcoma 180 cell로 유발한 mouse ascites cancer에 대한 항암효과 (Potent Anticarcinogenic Action of Moutan radix for Mouse Ascites Cancer Induced by Mouse Sarcoma 180 Cells)

  • 반경녀;이은주;양민석;김정옥;하영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64-369
    • /
    • 1995
  • 목단피의 mouse 복수암에 대한 항암성을 다른 생약제의 항암성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천연생약제(목단피, 주목, 울금, 인경쓱, 여정실, 맥문동) m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acetate (EtOAc), butanol (BuOH)로 fractionation하여 mouse leukemia L1210 cell과 Sarcoma 180 (S-180) cell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 fraction에 대해 mouse 복수암 억제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수형 종양세포 S-180을 ICR mouse (male, $6{\sim}7$주령, $23g{\pm}3g$, 처리당 7마리)의 복부에 주사 ($1{\times}10^{6}$ cells/0.1 ml PBS)한 1일 후 부터 10% DMSO에 용해한 시료 ($30{\mu}g/g$ body weight)를 매일 0.1ml씩 10일간 주사하고 수명연장 효과와 몸무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처리 fraction 중에서 목단피의 EtOAc fraction이 가장 강한 항암성을 보였는데, 수명연장에서는 대조구의 17.2일 (100%)에 비하여 28.7일로서 167%로 연장되었으며, 체중 증가율도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목단피의 농도별 (5, 10, 30, $60{\mu}g/g$ body weight) 항암효과는 $30{\mu}g$에서 가장 높았고, $60{\mu}g$처리구 에서는 독성이 나타났다. 목단피의 EtOAc fraction으로부터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동정된 2-methoxyphenol, 1-(4-hydroxy-3- methoxyphenyl)-ethanone, 8-methyl-2,4(1H,3H)-pteridinedione, 2,5-furandicarboxylic dimethyl ester 가 mouse 복수암 억제에 관련이 있는 주요 화합물로 추정된다.

  • PDF

덱사메타손으로 유도된 근위축 C2C12 모델에서 효소처리스테비아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nzymatically Modified Stevia on C2C12 Cell-based Model of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 오건;최선일;한웅호;문효;이세정;임지현;이호성;정형동;라문진;권민희;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9-7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EMS를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EMS가 DEX으로 유도한 근위축 C2C12 모델에서 미치는 보호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DEX를 처리한 근위축 모델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DEX으로 유도한 근위축 C2C12 myotube에 24시간 동안 10, 50, 100 ㎍/mL 농도의 EMS를 처리하였으며, C2C12에 EMS와 DEX를 처리하여 XTT 세포독성 테스트와 myotube 형성 효능(myotube diameter와 fusion index) 측정, 단백질 발현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능성을 입증받은 SE를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였다. EMS의 세포독성 평가 결과, 100 ㎍/mL 농도까지 유의한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C2C12 myotube에서 EMS는 DEX만 처리한 실험군과 비교하여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세포 보호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usion index와 myotube diameter를 측정하여 DEX만 처리한 실험군과 비교하였을 때, EMS의 myotube 형성 효능을 확인하였다. EMS는 근육세포 분해 관련 단백질인 Fbx32와 MuRF1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그와 반대로 근력 강화 및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인 SIRT1과 p-Akt/Akt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EMS가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in vivo 동물 모델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향토자원을 활용한 스파산업 육성방향 (Promotion Directions of Spa Industry Using Local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

  • 윤혜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69-78
    • /
    • 2013
  • 세계적인 월빙 및 웰니스 붐에 따른 건강 치유를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정착과 21세기 최고의 유망 서비스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의료관광 및 웰니스관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주도의 향토자원을 활용한 스파산업 육성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스파산업 육성에 활용할 수 있는 제주도의 향토자원은 자연환경, 광물자원, 수자원, 생물자원, 농산물, 민간요법의 6 종류의 자원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주 향토자원을 활용 가능한 여러 가지 스파 트리트먼트 중에서도 제주를 상징할 수 있는 차별화된 스파 트리트먼트 즉, '제주 특화 스파 트리트먼트'로 개발이 가능한 것은 12가지로 판단되었다. 즉, 자연환경을 활용한 딸라소테라피, 광물자원을 활용한 스톤테라피 검은 모래찜질 화산회토를 이용한 온돌요법, 수자원을 활용한 탈라소테라피 음용요법 하이드로 테라피, 생물자원을 활용한 약초/한약재 찜질 삼림치유, 농산물을 활용한 스파퀴진, 민간요법을 활용한 얼굴미용 질병치유 및 건강증진 식이요법이다. 상기와 같은 12가지 스파 트리트먼트를 '제주 특화 스파 트리트먼트' 개발 활용하기 위해서는 향토자원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와 더불어 제품화 연구와 임상시험을 통화 효능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개발된 스파 트리트먼트를 고객의 성향과 요구와 스파유형 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과 표준화 및 매뉴얼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제주 스파산업이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하고 있는 의료관광 및 웰니스관광과 연계와 더불어 창업 및 경영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elanogenesis 양성적 조절 에 관여하는 최근 천연물의 동향 (Recent Natural Products Involved in the Positive Modulation of Melanogenesis)

  • 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45-752
    • /
    • 2018
  • 멜라닌 생성은 생체 내에서 모발, 눈 및 피부의 색소 침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자외선 뿐만아니라 ${\alpha}-MSH$, SCF/c-Kit, $Wnt/{\beta}-catenin$ 및 산화 질소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은 다양한 외부 인자가 멜라닌 세포를 자극하여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에 의하여 발현되는 tyrosinase, tyrosinase 관련 단백질 (TRP)-1 및 TRP-2에 의하여 멜라닌이 생성된다. 그러나 멜라닌 생성의 비정상적인 조절은 모발 백발화와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활성제는 모발 백발화의 예방 및 저 색소증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많은 멜라닌 생성 자극제가 합성 화합물 및 천연물질로부터 유래한 신규 약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되어 왔다. 여기서는, 새로운 항 백발화제의 개발을 위한 백발화 및 백반증 과정의 melanogenesis에 공통적인 신호 경로에 대한 기술 뿐만 아니라 백반증의 치료를 위한 약제로 멜라닌합성을 촉진하는 천연 약초와 그 활성 성분에 대하여 기술한다. 특히, 약물의 부작용으로 melanogenesis에 자극 효과가 있는 Imatinib 및 Sugen와 같은 화합물에 대하여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의 전통약제로 널리 알려진 적하수오, 흑임자, 흑미, 서목태, 현미와 같은 천연 식물추출물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하여 기술한다.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 배축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from hypocotyls explants of Astragalus sinicus L.)

  • 박민선;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6-400
    • /
    • 2015
  • 자운영 배양으로부터 신초발생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축절편을 0.1, 1.0, 2.0 4.0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6주 동안 배양하였다. MS배지에 2,4-D가 0.1 또는 1.0 mg/L로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신초발생능 캘러스 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4-D와 BA 를 혼합 첨가한 배지에 옮겨 4주 동안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먼저 2,4-D 농도에 따라 신초와 뿌리를 형성하는 캘러스, 뿌리를 형성하는 캘러스, 캘러스, 진한 갈색으로 변하는 캘러스 등 여러가지 형태발생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신초와 뿌리를 갖는 캘러스는 2,4-D가 낮은 농도로 첨가 되었을 때 형성되었으며, 반면 신초가 없는 캘러스, 갈변 되는 캘러스는 고농도로 처리되었을 때 형성되었다. 또한 BA와 2,4-D가 조합첨가된 배지에서는 신초발생에 효과적이었으며, 뿌리 발생은 감소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신초발생은 1.0 mg/L 2,4-D 와 0.5 mg/L BA가 조합 첨가되었을 때 얻어졌으며, 이러한 신초들은 1/2 MS기본배지에서 대부분 유식물체로 생육되었으며, 토양에서 정상적으로 적응하여 생장하였다.

Protective Effect of a 43 kD Protein from the Leaves of the Herb, Cajanus indicus L on Chloroform Induced Hepatic-disorder

  • Ghosh, Ayantika;Sarkar, Kasturi;Sil, Parames C.
    • BMB Reports
    • /
    • 제39권2호
    • /
    • pp.197-207
    • /
    • 2006
  • Cajanus indicus is a herb with medicinal properties and is traditionally used to treat various forms of liver disorders.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43 kD protein isolated from the leaves of this herb against chloroform induced hepatotoxicity. Male albino mice were intraperitoneally treated with 2mg/kg body weight of the protein for 5 days followed by oral application of chloroform (0.75ml/kg body weight) for 2 days. Different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to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liver, such as, serum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determined in the murine sera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Direct antioxidant role of the protein was also determined from its reaction with Diphenyl picryl hydra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To find out the mode of action of this protein against chloroform induced liver damag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were measured from liver homogenates. Peroxidation of membrane lipids both in vivo and in vitro were also measured as malonaldialdehyde. Finally, histopathological analyses were done from liver sections of control, toxin treated and protein pre- and post-treated (along with the toxin) mice. Levels of serum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nd alkaline phosphatase, which showed an elevation in chloroform induced hepatic damage, were brought down near to the normal levels with the protein pretreatment. On the contrary,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that had gone down in mice orally fed with chloroform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protein pretreated ones. Besides, chloroform induced lipid peroxidation was effectively reduced by protein treatment both in vivo and in vitro. In cell free system the protein effectively quenched diphenyl picryl hydrazyl radical and superoxide radical, though it could not catalyse the breakdown of hydrogen peroxide. Post treatment with the protein for 3 days after 2 days of chloroform administration showed similar results. Histopathological studies indicated that chloroform induced extensive tissue damage was less severe in the mice livers treated with the 43 kD protein prior and post to the toxin administration. Results from all these data suggest that the protein possesses both preventive and curative role against chloroform induced hepatotoxicity and probably acts by an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염활성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arassis crispa extracts)

  • 최우석;신평균;유영복;노형준;김군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1
    • /
    • 2013
  •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염증반응 시 유도되는 NO 생성을 저해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 ${\mu}g/ml$의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NO 저해능이 최대 효과를 보였고 RAW264.7 cell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NO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NO 생성의 저해는 iNOS의 발현이 감소한 것에 의한 결과임을 단백질과 mRNA의 발현량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mRNA 발현 변화는 iNOS 유전자의 전사를 담당하는 전사인자인 $NF-{\kappa}B$와 STAT-1의 활성감소에 의한 결과임을 western blot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NF-{\kappa}B$의 활성감소는 $I{\kappa}B{\alpha}$의 활성증가에 의한 $NF-{\kappa}B$의 억제능 향상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고, 활성억제된 $NF-{\kappa}B$가 핵 내부로의 이동이 저해되면서 iNOS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NO 저해능을 이용한 항염증소재로서 염증성질환의 완하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rotein Tyrosine Kinases, $p56^{lck}\;and\;p59^{fyn}$, MAP Kinase JNK1 Provide an Early Signal Required for Upregulation of Fas Ligand Expression in Aburatubolactam C-Induced Apoptosis of Human Jurkat T Cells

  • BAE MYUNG AE;JUN DO YOUN;KIM KYUNG MIN;KIM SANG KOOK;CHUN JANG SOO;TAUB DENNIS;PARK WAN;MOON BYUNG-JO;KIM YOUNG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756-766
    • /
    • 2005
  • The signaling mechanism underlying aburatubolactam C-induced FasL upregulation was investigated in human Jurkat T cells. After treatment with aburatubolactam C, the src-family PTKs $p56^{lck}\;and\;p59^{fyn}$, and MAP kinases ERK2 and JNK1, were activated prior to FasL upregulation; Both $p56^{lck}\;and\;p59^{fyn}$ were directly activated 2.4- and 2.2-fold, respectively, in vitro by aburatubolactam C. The aburatubolactam C-induced cellular changes, including the activation of ERK2 and INK1, and FasL upregulation, were completely prevented by the PTK inhibitor genistein. The activation of protein kinase C (PKC$\delta,\;\epsilon\;and\;\mu$ was also induced following aburatubolactam C treatment. Although the activation of $p56^{lck}$ and tyrosine phosphorylation of the cellular proteins were not blocked by the PKC inhibitor GFl09203X, the activation of ERK2 was completely abrogated, along with a detectably enhanced JNK1 activation; FasL upregulation, and apoptosis. However, the FasL upregulation and apoptosi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PKC activator PMA, with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ERK2 activation. The cytotoxic effect of aburatubolactam C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the anti-Fas neutralizing antibody ZB-4. Although ectopic expression of Bcl-2 failed to completely block the cytotoxicity of aburatubolactam C, it was clearly suppressed. The c-Fos mRNA expression was upregulated in a biphasic manner, where the second phasic expression overlapped with the FasL upregulation. According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buratubolactam C-induced apoptosis is exerted, at least in part, by FasL upregulation dictated by activation of the PTK ($p56^{lck}\;and\;p59^{fyn}$) /JNKI pathway, which is negatively affected by the concurrent activation of the PKC/ERK2 pathway proximal to PTK activation.

음나무 삽목 번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Root Cutting Propagation of Kalopanax pictus Nakai)

  • 정상덕;성정숙;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6
    • /
    • 2005
  • 음나무 근삽의 연령별 발근율 및 근삽의 길이별 조제 방법이 발근율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생장 촉진제인 IBA처리의 발근율의 효과에 대한 음나무 삽목상에서 사용가치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음나무를 공시 수종으로 선정하여 발근율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삽의 채취 연령별 평균 발근율은 1년생 근삽 $92\%$가 가장 발근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오래된 근삽일수록 발근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1년생 기준으로 근삽의 길이별 평균 발근율은 근삽길이 10cm, 15cm 두 처리구는 발근율이 비슷하였으나, 근삽길이 5cm 처리구는 발근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근삽의 호르몬 처리별 평균 발근율은 IBA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약간 발근율이 높았으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삽목에 의해 생육된 개체가 실생법의 의한 개체보다 전반적으로 생육이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