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mmon octopu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Growth and mortality of the juvenil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pipe- and tire-type shelters placed in flow-through seawater tanks

  • Kwon, Inyeong;Kim, Taeho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1호
    • /
    • pp.1-8
    • /
    • 2015
  • The common octopus, which has a high growth rate and high market price, is a prime candidate for commercial marine aquaculture operation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wo types of shelters (pipe and tire types) for juvenile common octopus growing out in flow-through seawater tanks. Growth rates were evaluated in two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Experiment 1) ran for 72 days, and the second (Experiment 2; replicated) ran for 46 days. Each trial included 40 octopuses fed a diet of frozen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and swimming crab (Portunustri tuberculatus) at 3-8% of body weight once every 3 days. In the two experiments, the respective specific growth rates were 0.3 and 0.04%/day in pipe-type shelters and 0.00 and 0.88%/day in tire-type shelters, while the respective percentage survivals were 80 and 80% in pipe-type shelters and 70 and 90% in tire-type shelters. Shelter type had little influence on the growth rate (P < 0.05).

낙지(Octopus minor)에서의 브롬계화합물(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의 잔류농도와 조성특성 (Concentration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nd Their Composition in Octopus minor Collected from Seosan Intertidal Zone)

  • 이효진;김기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74
    • /
    • 2010
  • 충남 서산군 조간대에서 채집되어진 저서성 두족류 낙지(Octopus minor)에서 브롬계화합물(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을 측정하였다. 낙지 외투장과 내장에서의 PBDEs 농도 범위는 각각 29.6~109.3 ng/g lipid wt(평균53.7 ng/g lipid wt), 11.5~89.0 ng/g lipid wt(평균 48.0 ng/g lipid wt)로 나타났다. 낙지 내장에서의 PBDEs 농도는 살오징어 간에서의 농도에 비해 약 2.5배 가량 낮게 나타났으며, 퇴적물 및 이매패류 시료와 PBDEs 농도를 비교한 결과 낙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PBDEs의 조성비를 보면 낙지 외투장에서는 BDE 206, 203/200이 각각 72.3%, 11.8%로 총 PBDEs 농도의 80%이상을 차지하여 nona-, octa-BDE가 외투장에서 PBDEs의 주요 화합물로 나타났으며, 낙지 내장 시료에서는 BDE 206, 47이 각각 49%, 18.3%로 상대적으로 높은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여수 연안에 출현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 양혜진;진수연;김도균;김희용;문성용;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1000-1006
    • /
    • 2021
  •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were studied using 317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of 2020 from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The mantle length (ML) of O. vulgaris ranged from 5.1 to 19.7 cm and body weight (BW) ranged from 117.6 to 3,645.4 g.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sex ratio, gonadosomatic index (GSI), histological maturity stage, and body weight at 50%, 75% and 97.5% group maturity. The sex ratio was 1:1.0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alue that expected.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gonad development and gonadosomatic index, the spawning periods lasted throughout the year, with peak spawning periods estimated from March to April and July to August. The percentages of sexually mature females estimated using a logistic equation were over 50% at 554.46 g BW, 75% at 1,134.38 g BW and 97.5% at 2,474.22 g BW respectively.

한국 여수 연안에 출현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 김호승;진수연;문성용;김희용;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728-733
    • /
    • 2023
  • The diet composition of octopus Octopus vulgaris was studied using 392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20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The body weight ranged from 86.4 to 3,645.4 g. The most important prey item in the diet of O. vulgaris was decapods, which constituted 43.9% in ranking index (%RI). The second largest prey item was Pisces (%RI=27.9%), and cephalopods (%RI=21.8%) constituted the third largest prey item. The average trophic level of O. vulgaris was 3.97±0.59. Ontogenetic changes were significant among size classes (<400 g, 400-800 g, ≥800 g). The small size class (<400 g) mainly fed on decapods, whereas the medium (400-800 g) and large size (≥800 g) classes mainly fed on cephalopods and Pisces, respectively. The dietary composition varied significantly with season.

우리나라 남해안에 분포하는 참문어 (Octopus vulgaris) 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Period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강현정;김영혜;김성연;이동우;최영민;장대수;곽우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33
    • /
    • 2009
  • 이 연구는 경남 통영과 사천지역의 연안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연안통발어업에 의해 어획된 참문어를 매월 1회 채집하여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경을 통한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10월과 12월을 제외하고 연중 관찰되었다. 수컷의 경우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방정이 가능한 성숙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다.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 1.26에서 5월 4.84로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였으며 8,9월에 다시 상승하였다가 10월에 0.38의 낮은 값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발달과정과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변화를 바탕으로 참문어의 산란기를 추정한 결과 주 산란기는 9월로 나타났다. 수컷의 경우는 연중 1.5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참문어의 50% 군 성숙체중은 919.6 g로 추정되었다.

  • PDF

Dicyema sphyrocephalum (Phylum Dicyemida: Dicyemidae) isolated from Korean common octopus Callistoctopus minor in Korea

  • Whang, Ilson;Lee, Beomseok;Krishnan, Rahul;Nakajima, Hiroaki;Furuya, Hidetaka;Shin, Sang Phil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6호
    • /
    • pp.86.1-86.8
    • /
    • 2020
  • Background: Dicyemids are parasites found in the renal sac of cephalopods. The first species of dicyemid was found from kidneys of the Korean common octopus Callistoctopus mino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cyemid and investigate the effect on renal sac of host. Method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solate to dicyemids (Dicyema sphyrocephalum, Dicyema clavatum, and Dicyema dolichocephalum) reported from C. minor in Japan. We compared the 18S ribosomal RNA (rDNA) and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of isolate to the sequences of D. shyrocephalum and D. clavatum. The infected octopuses renal tissues were histologically compared with the tissues of uninfected individuals. Resul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is isolated species corresponds to D. sphyrocephalum. The sequences similarities of 18S rDNA and COI gene of isolate are 99.7% and 98.1% with D. sphyrocephalum.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epithelia folds of kidney at the dicyemids attached area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isolate as D. sphyrocephalum an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icyemid species from Republic of Korea.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s of dicyemids on growth and health status of cephalopods will be needed.

경남 지역에서 서식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자원 변동과 생식 생태의 변화 (Variation in Catch Size and Changes in Reproductive Biology of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Coastal Waters Off Gyeongnam, Korea)

  • 송세현;박종혁;지환성;최정화;김희준;정재묵;김도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7-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annual variations in catch size and changes in reproductive biology in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a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astal waters off Gyeongnam, Korea, by coastal trap and coastal complex fishery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8. Octopus vulgaris have been decreasing in this region since 2007 and catch prices have been increasing. The mantle length (ML) of O. vulgaris ranged from 1.2 to 21.2 cm and body weight ranged from 42.6 to 5,537 g. The sex ratio differed significantly from what was expected, at 0.45:0.55 (P<0.05). Mature females were found from February to December, except in October and November, and males occurred from February to December, except in October. The gonadosomatic index value was higher from May to September than in other months. The total number of eggs in fecund individuals ranged from 40,280 in 578.1 g of body weight to 138,994 in 1,666.5 g of body we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fecundity was F=76.486BW1.0087 (r2=0.7897). At 50% group maturity, average weight was estimated to be 636.35 g, while it was 969.30 g at 75% maturity and 1736.55 g at 97.5% maturity. This study highlights changes in catch size and reproductive biology between 2007 and 2018. These results provide basic evidence that may be used to establish regulatory policy for O. vulgaris fisheries.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Octopus minor, Octopus ocellatus and Todarodes pacificus) 성숙정자의 미세구조 II (Fine Structure of Mature Sperms of Cephalopods (Octopus minor, Octopus ocellatus and Todarodes pacificus)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II)

  • 김상원;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33-345
    • /
    • 2001
  • 두족류 3종(Octopus minor, Octopus ocellatus, Todarodes pacificus)의 성숙정자를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팔완류인 서해박지와 주꾸미의 성숙정자 전체 길이는 각각 $390{\mu}m$$125\sim130{\mu}m$정도였고, 십완류인 살오징어의 길이는 $35{\mu}m$정도로 매우 짧았다. 서해낙지는 나선형의 첨체와 약간 굽은 바나나 모양의 머리를 소지하고 있었으며, 주꾸미는 꼬인 첨체와 막대 모양의 긴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침체 내강에는 규칙적 구조(periodic structure)인 많은 가로무늬가 관찰되었고, 머리의 내강에는 치밀전 (dense plug)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살오징어의 첨체는 전자밀도가 낮은 둥근 모자 모양이 였으며, 머리는 길쪽한 장타원형을 나타내었다. 특히 첨체 하단부에는 2개의 작은 강(cavity)이 관찰되었고, 이들 내강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들(juxtanuclear acrosomal materials)로 채워져 있었다. 3종의 성숙정자 중편은 서해낙지와 주꾸미에서 미토콘드리아가 mitochondrial sleeve를 형성하였지만, 두 종간 미토콘드리아의 수는 각각 $11\sim12$개와 $8\sim9$개로 관찰되어 수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살오징어는 미토콘드리아가 축사와 분리되어 mitochondrial spur를 형성하였고, 이들 spur내에는 $10\sim13$개의 미토콘드리아와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들이 밀집되어 있었다. 서해낙지, 주꾸미, 그리고 살오징어의 축사는 공히 9+2구조에 9개의 금은섬유가 둘러싸고 있었고, 살오징어의 축삭내에서만 작은 입자형의 글리코겐이 관찰되었다. 금은섬유들은 서해낙지와 살오징어에서는 꼬리의 주편까지만 관찰되었으나, 주꾸미에서는 단편에서도 관찰되었다.

  • PDF

한국 남해안에 분포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영혜;강현정;이은희;이동우;장대수;곽우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1-166
    • /
    • 2008
  • 본 연구는 경남 통영과 사천지역의 연안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매월 1회 연안통발어업에 의해 채집된 참문어를 대상으로 참문어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10월과 12월을 제외하고 연중 관찰되었다. 수컷의 경우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방정이 가능한 성숙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다. 난소의 성숙발달에 따른 난경크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난소 내 난경조성의 월 변화를 조사한 결과 9월에 1.1-1.2 mm로 최고값을 나타냈다. 암수의 비율은 약 0.48:0.52로 나타났지만 암수의 성비(1:1)에 대한 유의한 차는 없었다(p > 0.05).

  • PDF

황해산 두족류의 가용성 단백질에 대한 연구(II) (Soluble Proteins Analysis of Class Cephalopoda in the Yellow Sea(II))

  • 허회권;황규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25-433
    • /
    • 1997
  • 황해산 두족류 6종(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 쇠갑오징어, Sepiella japonica : 한치꼴뚜기, Loligo chinensis :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 참꼴뚜기, Loligo beka : 낙지, Octopus minor)의 안구단백질을 추출하여 항원-항체 교차반응을 실시하였다. 쇠갑오징어, 살오징어와 낙지의 안구단백질로 항혈청(antiserum)을 제작하였으며 갑오징어목, 살오징어목 및 낙지목에 속하는 두족류 6종의 안구단백질을 항원(antigen)으로 사용하였다. 갑오징어목 속하는 쇠갑오징어 및 참갑오징어에서 항원-항체 반응 양상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종간 비교에 기준이 될 수 있고 또한 유의성있는 침강선을 볼 수 있었다. 또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살오징어의 안구단백질을 분획하여 crystallin을 분리하였으며, 주 분획을 SDS-PAGE 전기영동 방법으로 분자량을 추정해 본 결과 약 20-35 KDa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