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cohort

검색결과 1,616건 처리시간 0.035초

스타틴이 폐경기 여성의 골밀도 혹은 골절위험에 미치는 효과 -보고된 임상연구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Efficacy of Statins on BMB or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방준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91
    • /
    • 2006
  • 스타틴이 골형성을 자극하며 골밀도를 개선한다는 다수의 동물실험과 임상보고에 의해, 스타틴을 폐경기 이후 노령의 여성 고지혈증 환자에게 골다공증의 예방 혹은 치료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하지만, 보고된 문헌들이 예방 혹은 치료효과를 제시하거나 해석됨에는 아직도 실험결과가 상이하거나 의견이 상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경기 이후의 고지혈증을 지닌 골다공증 환자에게 처방된 스타틴이 실질적으로 골다공증 혹은 골절위험을 경감시키는 예방적 또는 치료적 효과를 지니는지 규명하고자,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MEDLINE에 등재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6개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인체대상 연구보고서를 cross-sectional study, prospective cohort study 및 case-control study의 연구유형별로 수집, 분류하여 각각의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각 연구결과들은 골다공증 평가에 이용하는 다수의 측정지표들에 대하여 공히 인정될 만한 수준의 유의성 여부를 제공하기에는 곤란했는데, 이는 연구디자인이 부적절했거나 실험대상 환자들이 보유한 각종 질병요소들과 치료상황이 복잡한 상호관계를 지녔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규모의 잘 계획된 이중맹검형 다국가 임상시험을 통해서 임상적 효과 유무가 입증되기 전에는 스타틴을 고지혈증을 보유한 폐경기 이후 노령 여성의 골다공증의 예방 혹은 치료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로 사료된다.

  • PDF

베이비붐세대와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Which of Baby Boom Generation Can Get the Benefit of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bligation?)

  • 석재은;이기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107-130
    • /
    • 2016
  • 2013년 정년연장이 법제화되어, 베이비붐 세대가 노령기로 진입하는 2016-17년에 단계적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이 연구는 정년연장 법제화로 베이비붐세대 중 얼마나 혜택을 받으며, 실제로 누가(어떤 특성의 집단)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정년연장 정책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년연장은 상근 정규직근로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상태와 노동이력을 추적하여,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상근 정규직근로자로 생존하게 되는 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4차(2001)부터 17차(2014)까지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통해 베이비붐세대 중 상근 정규직근로자 생존확률을 분석하였다. 생명표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 중에서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비율은 11.4%에 불과했고, 75.3만명 규모로 추정되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과 Cox 비례위험 회귀분석(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결과, 고학력일수록, 여성근로자에 비해 남성근로자의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으며, 공공 및 정부기관 종사자가 민간기업 종사자에 비해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1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에 근무하는 경우,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곳에 근무하는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이는 정년연장 혜택이 안정적 고용집단인 특정계층에게 집중되는 계층화 효과, 젠더편향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격차확대 위험을 시사하며,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에서의 일자리 경쟁과 세대갈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 (Analysis and de lege ferenda of the Acts Related with Spread of MERS in Korea in the Year 2015 - Focused on the Controversial Clauses of Medical Service Act and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

  • 김천수
    • 의료법학
    • /
    • 제16권2호
    • /
    • pp.197-225
    • /
    • 2015
  • 이 글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2015. 6. 20. 의료법과 감염병예방법의 관련 조항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적시하여 입법론을 전개한 발표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발표에서 우선 감염병 분류 체계의 합리화를 지적하였다. 이 지적은 발표 직후의 '개정법률'에서 반영되었지만 여전히 유형의 중복성을 제거하는 등 그 합리화를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감염병의 신고 내지 보고 체계에 관하여 신고 내지 보고의 의무자와 상대방 및 그 시기 등의 관점에서 합리화를 위한 입법적 조치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감염병의 대응 조치로 도입의 필요성이 주장된 의료기관의 폐쇄에 관한 방역조치는 '개정법률' 제47조에서 반영되었다. 하지만 방역조치의 권한이 여전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병렬적으로 중첩적으로 분배되어 있다는 점은 문제이다. 그 권한 귀속의 합리화는 중앙정부로의 일원화에서 찾아야 하며, 그 논거와 함께 그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한편 역설한 점은 장관 등 중앙정부 기관장이 그러한 폐쇄 명령이나 격리 명령을 내리는 경우, 그로 인하여 의료기관이나 환자가 입은 재산상 손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국가가 전보해 줄 의무를 지도록 하는 규정이 필요함이다. 이는 권한 귀속과 연계되는 것인바, 방역조치의 권한 귀속 주체와 그 손실전보를 위한 재원의 관리주체가 일원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방역조치 권한의 실효성은 그 손실 전보의 보장이 담보하는 것이며 이는 국부(國富)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앙정부로의 일원화에 관한 입법론을 전개하였다. 나아가서 감염병으로 인한 개인이나 의료기관의 재산상 손실은 민법의 일반불법행위의 법리에 맡기는 것이 비합리적이라는 점을 논술하였다. 이 역시 중앙정부의 재정에 의한 전보와 고의 내지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는 개인에 대한 국가의 구상권 행사로 민사 분쟁을 해결함이 피해자의 구제에 합리적인 이유를 들어서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번 메르스 사태에 대한 향후 조사에서 개선이 필요한 내용이 더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논의에 따라 보다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입법론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levated On-Treatment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he Presence of Achieved Systolic Blood Pressure Targets

  • Dae-Hee Kim;In-Jeong Cho;Woohyeun Kim;Chan Joo Lee;Hyeon-Chang Kim;Jeong-Hun Shin;Si-Hyuck Kang;Mi-Hyang Jung;Chang Hee Kwon;Ju-Hee Lee;Hack Lyoung Kim;Hyue Mee Kim;Iksung Cho;Dae Ryong Kang;Hae-Young Lee;Wook-Jin Chung;Kwang Il Kim;Eun Joo Cho;Il-Suk Sohn;Sungha Park;Jinho Shin;Sung Kee Ryu;Seok-Min Kang;Wook Bum Pyun;Myeong-Chan Cho;Ju Han Kim;Jun Hyeok Lee;Sang-Hyun Ihm;Ki-Chul Sung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6호
    • /
    • pp.460-474
    • /
    • 2022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events and 2 different levels of elevated on-treatment diastolic blood pressures (DBP) in the presence of achieved systolic blood pressure targets (SBP). Method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comprised 237,592 patients with hypertension treated. The primary endpoint was a composite of cardiovascular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Elevated DBP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Seventh Report of Joint National Committee (JNC7; SBP <140 mmHg, DBP ≥90 mmHg) or to the 2017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CC/AHA) definitions (SBP <130 mmHg, DBP ≥80 mmHg). Result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9 years, elevated on-treatment DBP by the JNC7 definition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he occurrence of primary endpoint compared with achieved both SBP and DBP (adjusted hazard ratio [aH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5-1.24) but not in those by the 2017 ACC/AHA definition. Elevated on-treatment DBP by the JNC7 definition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cardiovascular mortality (aHR, 1.42; 95% CI, 1.18-1.70) and stroke (aHR, 1.19; 95% CI, 1.08-1.30). Elevated on-treatment DBP by the 2017 ACC/AHA definition was only associated with stroke (aHR, 1.10; 95% CI, 1.04-1.16). Similar results were seen in the propensity-score-matched cohort. Conclusion: Elevated on-treatment DBP by the JNC7 definition was associated a high risk of major cardiovascular events, while elevated DBP by the 2017 ACC/AHA definition was only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stroke. The result of study can provide evidence of DBP targets in subjects who achieved SBP targets.

남자중학교 학생의 학교사고 발생률과 사고원인에 관한 코호트 연구 (A Cohort Study of Incidence Rate and Causes of School Accidents in a Boys' Middle School in Taegu)

  • 박정한;박미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0권2호
    • /
    • pp.331-340
    • /
    • 1987
  • 남자 중학생의 학교 사고발생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대구시내 일개 남자중학교 학생전원 2,324명을 대상으로 1986년 3월 3일부터 1987년 2월 23일까지 한 학년도에 발생된 교내사고에 대해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사고에 대한 자료는 양호실을 찾아오는 학생을 연구자가 직접 처치후 면담조사하였고 학교행사에 관한 자료는 학교일지에서 얻었다. 한 학년도의 사고발생 건수는 총 1,126건이며 사고자수는 총 603명으로 사고발생자의 1인당 평균 사고회수는 1.9회였다. 일일 사고발생건수는 5.1건이며, 사고발생률은 1,000학생일당 2.2회였다. 반별 사고빈도는 연간 평균 약 30회 정도이나 체육특기생이 한 반에 많이 배치되었거나 담임교사가 장기간 부재한 학반에서 54건 및 58건으로 사고발생이 더 많았다. 월별 사고발생율은 6월이 1,000학생일당 3.4건으로 가장 높고 12월과 2월에는 각각 1.5 및 0.7건으로 가장 낮으며 요일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사고 원인의 62.2%가 장난과 부주의였고, 부적합한 교구 및 시설물이 18.6%였다. 부적합한 교구 및 시설물의 49.3%가 노후된 책걸상으로 인한 사고였다. 병.의원 후송률은 맑은 날에 비해 흐린 날이 3배, 비오는 날이 5배나 되었다. 시험기간 중에는 사고가 거의 없다가 시험이 끝난 후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사고발생 양상을 볼 때 사고 예방을 위해 반 편성시 체육특기생은 분산시키고, 담임교사의 장기간 부재시는 그 학반과 가장 친숙한 임시담임교사로 대치하여 기강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며, 노후한 교구 및 시설물을 정비 또는 대체하고, 흐린 날이나 비오는 날, 그리고 시험 후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많으므로 방송, 훈화, 체조 등을 통한 분위기 조절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말기암환자의 섬망으로 인한 진정제 투약과 생존기간에 관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 (Retrospective Cohort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Sedative for Delirium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Survival Time)

  • 박형숙;김대숙;배은희;김정림;서정화;윤정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119-126
    • /
    • 2016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섬망이 있는 말기암환자에 있어 진정제의 투약 투약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진정제 투약군과 비투약군 간의 생존기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B 광역시 소재 P대학교병원에서 응급실과 수술실, 중환자실을 제외한 병동에서 임종한 암환자 900명 중 경과기록지, 간호기록지를 통해 섬망선별 도구인 Nu-DESC를 이용하여 섬망이 있었던 말기암환자 24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투약기록지를 통해 진정제인 haloperidol, diazepam, lorazepam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로 규칙적이거나 필요 시 투여한 횟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섬망기간은 최소 1일에서 최대 61일까지 나타났고, 중앙값은 5일이었다. 연구 대상자에게서 나타난 섬망 특성은 부적절한 행동이 35.0%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F=3.96, P=0.021), 원발암의 종류(F=3.31, P=0.010), 항암치료 여부(t=-3.44, P=0.001)에 따른 섬망기간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대상자가 진정제를 복용한 경우는 72.1%이었고, 투약된 진정제의 종류는 haloperidol이 59.6%로 가장 많았다. 진정제 투약군의 생존기간은 평균 16.85일, 비투약군은 9.37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아(t=1.766, P=0.079) 진정제 투약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섬망 발생 시 진정제 투약이 생존기간에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명단축의 윤리적 문제로 인해 진정제 사용을 꺼려하기 보다는 증상완화를 위한 진정제 치료를 적극적으로 권유할 수 있다. 또한 섬망은 가족이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장애를 유발할 뿐 아니라 환자나 가족들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며 돌봄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키므로, 적절한 진정제의 투여는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안위를 위해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바이다.

서울 경기지역 성인의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자 평균발생률;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일개 병원의 종합검진 자료를 중심으로 - (Incidence Density of Antibody against Hepatitis C Viru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Based on Medical Screening Data from a General Hospital -)

  • 류승호;김동일;서병성;김원술;장유수;백승호;이수진;김용규;송재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4호
    • /
    • pp.337-344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density and the prevalence of sero-positive hepatitis C from 1999 to 2002 among adults aged 20 and over resid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Method : The data for period was obtained from 114,635 adults, residing in Seoul or the Gyeonggi province, who had undertaken comprehensive health screening tests from Jan 1999 to Dec 2002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mong them, subjects with sero-negative status against hepatitis C were selected (21,408 in 1999, 28,830 in 2000) and then followed up until Dec 2002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hepatitis C during this period. The serum was tested with the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which uses third generation HCV antibody. Age adjusted rates were estimated by direct standardization using a reference population of 2000 aged from 20 to 80 years. Results : The prevalence of anti-HCV from 1999 to 2002 was 2.1 per 1000 persons(95% CI $1.8{\sim}2.4$). Male showed 1.7 per 1000 persons (95% CI $1.4{\sim}2.1$), while female showed 2.7 per 1000 persons(95% CI $2.2{\sim}3.2$). Age?sex adjusted rate showed 2.8 per 1000 persons (95% CI $2.64{\sim}2.96$), which is lower than the results of some previous study. The prevalence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ing pattern with age both in males and females (p<0.05). The incidence density of anti-HCV among the population aged 20 and over was 1.1 per 104 person-years at risk (95% CI $0.6{\sim}2.4$); 1.2 (95% CI $0.6{\sim}2.7$) for males and 0.8 (95% CI $0.6{\sim}4.2$) for females. Age adjusted incidence density was 2.91 per 104 person-years at risk (95% CI $2.43{\sim}3.38$) for those aged 20 and over. It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with age (p<0.05), especially for those age over 50 years. Conclusion : The stud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upposedly healthier than the general population so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for the general population are thought to be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건강보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충청남도 지역 환자의 특성에 따른 관외 의료이용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 Characteristics of Chungnam-do and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Using Health Insurance Cohort DB 2.0)

  • 이영준;명세현;문현우;우서현;김선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8-58
    • /
    • 2024
  • 연구배경: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충청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입원 및 외래 환자들을 통해 도내 진료권을 분석하고, 수도권 및 대전권 의료기관에 대한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파악하여 도내 의료전달체계 개선 및 건강보험 재정 안정 도모를 위한 충청남도 의료정책 사업의 근거적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보험 코호트 DB 2.0 2016-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원시 자료 중 환자의 거주지가 충청남도 지역이면서, 이용한 요양기관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인 환자로 한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570,439건(입원=43,309, 외래=2,527,130)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먼저,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변수별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외 의료기관 이용에 따른 입원 및 외래 환자의 진료 1건당 의료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심사결정 후 건강보험 총요양급여비용을 자연로그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대전권, 수도권 순으로 의료기관을 많이 이용하였고, 입원 및 외래 환자 모두 천안, 아산 거주 환자들에 비해 모든 권역에서 관외 의료기관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공주, 부여, 천안(odds ratio [OR], 72.931) 및 계룡, 논산, 금산(OR, 116.817) 거주 입원 환자는 대전권 의료기관 이용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의료기관에 비해 수도권(외래=17.01%, 입원=22.11%)과 대전권(외래=16.63%, 입원=15.41%) 의료기관에서 더 많은 의료비를 지불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의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분석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지역 의료기관과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와 환자의 주진단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료의 지역화와 의료공급 효율성 및 건강보험 재정 건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통증에 대한 한의치료의 효과 : 후향적 연구 (Effects of Korean Medicine on Pai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Retrospective Study)

  • 정혜선;김하리;김서영;임태빈;진철;권승원;조승연;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박성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947-958
    • /
    • 2020
  • Objectives: To investigate efficacy of Korean medicine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with pain.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for patients diagnosed with PD between 2012 and 2019 at Gangdong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in South Korea. Results: Twenty-two patients with King's Parkinson's Disease Pain Scale(KPPS) scores at least twice were analyzed for evaluating the efficacy of Korean medicine for pain treatment in PD. The mean total scores before and after Korean medicine treatment were 15.23±1 .01 and 9.2±8.7, respectively,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before/after total scores was 6.0±5.8 (P<0.001). Specifically, the score of radicular pa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48).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medicine could be beneficial for reducing pain associated with PD. Clinical efficacy should be confirmed by further studies, such as large-sample cohort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o clarify the pathological pain relief mechanism and the analgesic effect of Korean medicine.

대장암 환자의 한약 및 침치료에 대한 국내외 임상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 Pubmed를 중심으로 (Review on Clinical Stud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s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 강윤환;홍미나;한창우;최준용;박성하;김소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9-22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analyze the clinical studie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s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searched in Pubmed and Cochrane library in English. We collected the clinical studies, includ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se control study and cohort study, in the PubMed and Cochrane library using keywords 'Colorectal Cancer', 'Korean Medicin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ampo' and 'Acupuncture'. Then we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e therapy, i.e. improving therapy prognosis, reducing chemotherapy's adverse event and reducing operational adverse event. In case RCT, we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udy with jadad scale. Total 18 studies were selected. There were 3 studies about improving therapy prognosis, 6 studies about reducing chemotherapy's adverse event and 9 studies about reducing operational adverse event. Traditional medicine might improve therapy prognosis in terms of the survival rate, relapse/metastasis rate,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The specific herbal formula, 'Goshajinkigan' might not be successful about reducing chemotherapy's adverse event, peripheral neurotoxicity. 'Hangeshanshinto' might reduce the duration of oral mucositis but it is not clear to reduce the incidence of that. 'PHY906' might reduce the incidence of diarrhea. Acupuncture might reduce operational adverse event such as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and pain. And 'Daikenchuto' might not be successful in reducing operational adverse event,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efficacy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