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ch of Baby Boom Generation Can Get the Benefit of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bligation?

베이비붐세대와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 Received : 2016.04.19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the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obligation of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n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basic question of this study is about which of the baby boom generation can get how much benefit according as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becomes compulsory.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is the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regular full-time workers.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ing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having a high likelihood for benefits from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by tracing the economic activity state and labor history of the baby boom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nge of the economic activity state by age cohort of the male baby boomers based on the data for the Korea Labor Panel's 4th(2001) & 17th(2014)year. Using Survival analysis, this study also analyzed who will continue to remain as a regular full-time wage earner.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cohort ages of baby boomers increased, the smaller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as a regular full-time wage earner, and the group who can get benefits from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was predicted to account for only 11.4% level among the baby boomers.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likelihood of getting more benefits from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when the baby boomers worked for the government-invested institution, corporate bodies,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rather than working for private enterprises. Thus,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re might appear a generational conflict due to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in that such jobs coincide with the ones favored by the rising generation.

2013년 정년연장이 법제화되어, 베이비붐 세대가 노령기로 진입하는 2016-17년에 단계적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이 연구는 정년연장 법제화로 베이비붐세대 중 얼마나 혜택을 받으며, 실제로 누가(어떤 특성의 집단)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년연장 혜택의 귀착 규모 및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정년연장 정책의 파급효과와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년연장은 상근 정규직근로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활동상태와 노동이력을 추적하여,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상근 정규직근로자로 생존하게 되는 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4차(2001)부터 17차(2014)까지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을 통해 베이비붐세대 중 상근 정규직근로자 생존확률을 분석하였다. 생명표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 중에서 정년연장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비율은 11.4%에 불과했고, 75.3만명 규모로 추정되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과 Cox 비례위험 회귀분석(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 결과, 고학력일수록, 여성근로자에 비해 남성근로자의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으며, 공공 및 정부기관 종사자가 민간기업 종사자에 비해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1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에 근무하는 경우,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곳에 근무하는 경우 정규직 생존확률이 높았다. 이는 정년연장 혜택이 안정적 고용집단인 특정계층에게 집중되는 계층화 효과, 젠더편향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격차확대 위험을 시사하며, 청년층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에서의 일자리 경쟁과 세대갈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태, 2011, "고령자 고용법제의 현황과 개선 방안". 동아법학, 52: 845-870.
  2. 권혜자, 2010, 연령세대별 일자리 변화와 고용 서비스 정책과제, 한국고용정보원, 2010
  3. 금재호, 2011, "중장년층의 고용불안과 정년연장", 노동리뷰, 2011: 61-51.
  4. 김대건, 2015, "중고령 고용률이 청년 고용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저임금 일자리 비율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OECD 20 개국의 고용자료 분석". 노인복지연구, 70(단일호): 293-317.
  5. 김대일, 2011, "청년 고용대책: 정년연장과 관련된 논의를 중심으로", 유경준 편,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I), 한국개발연구원, 387-424.
  6. 김상문, 2011, 생존분석을 이용한 중소기업 부실예측과 생존시간 추정,상업교육연구, 24(4): 195-212.
  7. 김준영, 2011, "고연령층 고용변동이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 사업체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노동경제논집, 34(1): 71-101.
  8. 김진태, 2011,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정년제의 문제점과 법제화 방안". 동아법학, 52: 807-843.
  9. 김태영.임영언, 2012, "일본정년제도 변화와 고령자 고용창출에 관한 연구",일본문화학보, 52: 329-350.
  10. 노광표, 2015, "공공기관과 정년연장:임금피크제 수용성을 중심으로".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2015.01.23.), 603-621.
  11. 노동부, 2010. 정년 및 임금피크제도입현황과 과제, 2010.04.16
  12. 노상헌, 2013, "정년연장에 관한 논의와 평가".노동법논총, 28: 139-171.
  13. 노진귀, 2012, "정년연장에 대한 노동계 입장, 쟁점과 대안". 노동리뷰, 90: 49-59.
  14. 대한상공회의소, 2007, 정년제도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15. 류기정, 2012, "정년연장에 대한 경영계 입장: 쟁점과 대안". 노동리뷰, 90: 59-69.
  16. 박재빈, 2006, 생존분석 이론과 실제, 서울:신광출판사.
  17. 박종희, 2004, "임금피크제의 허와 실". 산업관계연구, 14(2): 23-46.
  18. 박준성, 2012, "POSCO의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 사례, 산업관계연구, 22(4): 1-29.
  19. 방하남, 2010, 한국기업의 정년제도 현황과 개선 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 방하남.어수봉.이상민.유규창.하갑래, 2012, 기업의 정년실태와 퇴직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1. 송경일.최정수, 2008, Spss 15를 이용한 생존자료의 분석, 서울:한나래.
  22. 신동균, 2004, "연령차별의 경제학적 이슈들: 문헌연구", 장지연 외,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II), 한국노동연구원.
  23. 신동균, 2009,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9(2): 1-14.
  24. 안주엽, 2010, 세대간 고용 대체 가능성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5. 안주엽, 2013, "합리적 합리적 정년연장과 청년층 고용률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KLI 고용.노동 리포트, 48
  26. 이기한, 2010, "정년제의 법제화 논의에 대한 법적 타당성 연구". 노동법학, 36: 393-443.
  27. 이승계, 2012, "선진국의 정년제도 변화 고찰과 중고령 인력의 활용방안", 경영법률, 22(3): 387-430.
  28. 이승길, 2008, "고령자의 정년연장과 규제 완화". 노동법논총, 14: 172-199.
  29. 이승길, 2013, "고령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노동입법평가 -특히, 정년제 및 임금피크제를 중심으로-", 입법평가연구, 6: 97-143.
  30. 이찬영.태원유.김정근.송민중, 2011,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파장-성장잠재력, 생산성, 세대간 일자리 대체를 중심으로, 삼성경제 연구소
  31. 장경채, 2013, "새 정부 정년연장논의에 대한 쟁점 및 정책적 대안," 지역사회, 68: 103-115.
  32. 장지연, 2006, 정년제와 중고령자 고용안정. 고령화 사회의 노동시장. 한국노동연구원.한국노동경제학회.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토론자료집.
  33. 전광석, 2008,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박영사.
  34. 정이환, 2013, 한국고용체제론. 후마니타스
  35. 조용만, 2006, 국내외 정년제도 비교와 정책방안. 고령화시대의 바람직한 정년제도, 한국경영자총협회.
  36. 조용만, 2012, "정년연장의 법적 과제". 노동정책연구, 12(3): 1-23.
  37. 조준모, 2004, "한국의 정년제에 관한 경제학적 연구-한국, 일본, 미국, 독일의 정년제 비교분석". 장지연 외. 고령화 시대의 노동시장과 고용정책(2). 한국노동연구원. 79-132.
  38. 주민규, 2012, "네덜란드 정년연장과 새로운 연금법의 의미", 국제노동브리프, 10(2): 88-96.
  39. 지은정, 2012, "OECD 15 개국 청년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의 대체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4(4): 233-259.
  40. 최아영.석재은, 2014, "정년연장제도의 도입이 베이비부머세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4년도 한국사회보장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집. 한국사회보장학회.
  41. 하갑래.최미나, 2013, 60세 정년제와 임금체계 개편 관련법적 쟁점사항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비교노동법학회.
  42. 현대경제연구원, 2010, 임금피크제 도입 관련 현안분석과 정책적 지원 과제, 글로벌 산업구조 재편과 우리의 대응 전략(VIP Report), 현대경제연구원.
  43. 홍민기, 2008, "고령자 고용정책의 고용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고용보조금제도", 전병유 외. 고령자 고용정책의 고용 효과분석, 고용노동부.
  44. 홍재화.강태수, 2015, "인구고령화와 정년연장연구-세대 간 중첩모형을 이용한 정략 분석", BOK경제연구, 2015-10.
  45. 함인희, 2014,. "정년 60세 의무화법에 대한 근로자 인식과 정책 니즈". 한국사회정책, 21(1): 179-213.
  46. 황수경, 2005, "연공임금을 다시 생각한다", 노동리뷰, 2005.
  47. 황수경, 2012, 베이비붐 세대 이행기의 노동시장 변화, 한국개발연구원.
  48. Burtless, G., and R. Moffitt, 1985,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Benefits on the Labor Supply of the Aged", Retirement and Economic Behavior, 135-174.
  49. Borsch, Supan A. and R. Schnabe, 2010. "Early Retirement and Employment of the Young in Germany."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pp. 147-266.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50. Gruber, J. and D. A. Wise, 2010. "Introduction and Summary."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pp. 1-45.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51. Jousten, A., Lefebvre, M., Perelman, S. and P. Pesieau, 2010, "The Effects of Early Retirement on Youth Unemployment: The Case of Belgium." In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Retirement arou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to Youth Employment. edited by J. Gruber and D. A. Wise, pp. 47-76.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52. Kapteyn, A., Kalwij, A. and A. Zaidi, 2009, "The Myth of Worksharing." Labour Economics 11 (June 2004): 293-313.
  53. 한국노동패널 홈페이지(https://www.kli.re.kr/klips/index.do)
  54.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http://www.esdc.go.kr)
  55.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 장례인구추계/ 경제활동 인구조사(http://kosi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