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al Garden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6초

역사적 문화환경의 창조 -고대정원문화를 중심으로-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garden with special attention)

  • 민경현
    • 기술사
    • /
    • 제18권2호
    • /
    • pp.54-65
    • /
    • 1985
  • Korean Landscape Garden may be described according to its stage of development. In the primitive agricultural era, the garden was preceded by vegetable yards and at this time rock arranging (Soo-Sok garden) was initiated together with the megalithis culture of dolmens, heavenly altars and tumuli. In the early Three Kingdom period palace gardens were built on a grand scale and toward the end of fourth century temple garden were introduced along with Buddhism. These gardens evolved to the flourishment of "HWAGE"(terraced gardens) rock arrangements of ZEN, early KOR-YO period. Especially since the middle of KOR-Yo period the "IM-CHUN"(forest and pond) garden became popular, while during Cho-Son period "HWAGE" in the back yard, pond and pool garden and "IM-CHUN" style country villa became fashionable. The Korea traditional Landscape garde may be characterized that first it is a nature Landscape style, which makes the maximum accomodation with the surrounding nature. Secondly, the Korean garden is built creatively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its climate and topography, Kogu-Ryo, Paik-Je great-Kaya and Sil-Ra had developed original a castle town plans and beautiful gardens rock arrangements which precede the equivalent style of China and set the prototype for Japan. The Landscape art of waterfalls and rock arrangements at An-Ap-Chi garden of 7th century has no equals in China and set the origin of pond style of Japanese garden.

  • PDF

중국 고대 원림에 관한 연구: 진, 선한, 수, 당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inese Ancient Garden -focus on Qin, Han, Sui, Tang Dynasties-)

  • 박경자;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9-129
    • /
    • 1999
  • It may be said that ancient wild Chinese garden had been founded during Qin dynasty and completed through Han, Sui and Tang dynasties. At first used as hunting areas for kings, the ancient resort forests began to take forms of garden. They dug a pond in the garden and made a simulated mountains with the soil that came from the excavations for the pond and suc pavilions has Gyong, Ru, Gak etc. were built around the pond. The ponds were different in size from those in Korea, being of the lake-like size. they made three island in the pond, which were the islands of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called Bong-lae, Young-ju and Band-jang respectively. the traditional of making those islands began in the Qin era and were completed in the Han era, being descended to posterity as a traditional garden structure of 'three islands in one pond' garden style. Such style was brought to Korea and first appeared as Kung-Nam-Ji in Back-jae kingdom and then brought to Japan, becoming the tradition of constructing ponds from early Heian era. Those lake-like huge Chinese ponds constituted the core of ancient garden where various feasts took place. Such ponds were also placed at the center of the gardens and played the roles of feasting garden ponds.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ies of the ancient Chines garden, the origin of them and the influence of the ancient Chinese ponded garden upon those of Korea and Japan were investigated.

  • PDF

해외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의 재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tyle made in Foreign Countries)

  • 김경돈;한갑수;윤영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39-47
    • /
    • 2003
  • 해외에 조성된 한국 전통조경의 특성과 디자인 성향을 파악하고자 해외에 설계, 시공되어진 대표적 한국성 정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즉 프랑스 파리공원의 한국정원과 일본 오오사까의 쓰르미공원, 요꼬하마의 관자정 등이다. 이들 세 공간에 대해 한국고유의 디자인 원리와 image성, 경관구성요소 등의 한국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 조성된 두 곳은 직설적 공간 재현을, 프랑스 파리공원은 직설과 은유적 공간 재현방법을 응용하여 전통을 재현 하고자 하였다. 도입된 시설 및 요소들은 정자, 꽃담, 다리 등의 전통 구조물과 조산(가산) 화계, 그리고 마당개념의 공간연출 등의 요소 및 기법이 공통적으로 응용되어 한국성 image를 표현하였다.

  • PDF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8-38
    • /
    • 2011
  • 주거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이 총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지속성과 변화를 반영한다.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은 외부공간이긴 하나, 안채와 맞물린 한 짝의 공간으로 내부공간에서 못다 이룬 주거기능의 많은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개화기 이후 우리의 주거문화는 급격한 환경변화의 과정 속에서 가치관과 주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마당의 형태, 기능, 의미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47개 연구대상지를 통해 주택마당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마당의 변용과 분화를 분석, 종합하였다. 연구대상지에 전통주택 마당의 원형과 달리 분화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 대표적인 요소는 재식의 재료와 방법, 점경물의 이용, 포장재료, 물의 이용, 텃밭의 변화 등이었다.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인 분화는 마당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정원 영역의 분화가 나타났고, 경계와 적극성의 정도에 따라 정원 형태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장식성과 실용성의 추구에 의한 정원의 기능 분화와 편리성 추구에 따라 정원의 소재 분화가 나타났다. 그 밖에 상징과 일상적인 의미에서 상업성, 개방정원의 의미가 추가되어 정원의 이용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고산 윤선도 수정동 정원유적 정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lanning for Sujeong-dong Garden Heritage Maintenance)

  • 김무한;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20
    • /
    • 2015
  • 수정동 원림은 조선중기 고산 윤선도에 의해 조영된 곳으로 국문학적으로나 정원사에 있어 중요한 정원유산 이지만 최근 주변 개발로 인한 외부요인에 의한 훼손우려와 오랫동안 방치된 결과 정원 내부의 훼손이 진행되고 있어 대상에 대한 신중한 조사와 분석을 통한 정비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정원 유산인 수정동 원림을 대상으로 진정성 있고 신중한 정비방향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지역주민과 전문가들의 인터뷰와 자문, 문헌고찰, 현장조사와 정밀측량, 전문가집단의 참여를 통한 현장 고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구에 대한 핵심 권장 검토 발굴 구역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위적으로 조영된 환경을 대상으로 고산 당대 조성 혹은 명명된 유구와 조성시기 확인이 요구되는 유구로 구분하여 정비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자연지형 요소에 대해서는 식생정비계획과 활용측면에서 간단한 시설 도입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산이 정원을 즐기고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간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동선과 관련 정비내용을 제시하였다.

한국전통정원의 소리환경에 대한 연구(1) - 전통별서정원 소쇄원을 중심으로 -

  • 신용규;남기봉;국찬동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22-1027
    • /
    • 2004
  • Soswaewon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garden in Korea which has the highest reach of soundscape with the sounds and landscape component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nd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soundscape in Korean traditional garden an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of soundscape research. Literature survey, of ancient poetry, acoustical survey on the sound itself and questionnaire survey to the visitors were carried out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mages perceived by the visi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ndscape components in Soswaewon.

  • PDF

Analysis on Four types of Japanese garden Built in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 Hong, Kwang-pyo;LEE, Hyu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89-97
    • /
    • 2020
  • There are remains of Japanese gardens in Korea which were built during Japanese occupation in 1910-1945. However, systematic database has not been established for location, quantity, nor types of remaining gardens. This study is aimed at defining current status of Japanese gardens built in Korea. By categorizing types of remaining these Japanese gardens, we also aimed to build a systematic data base for Japanese gardens in Korea. This study was co-conducted by researchers from Korea and Japan. The team identified 17 Japanese gardens remaining in South Korea and categorized them into 4 groups; 1) Japanese garden built by Japanese in modern Japanese house in South Korea, 2) Japanese garden built by Korean in traditional Korean garden and 3) Garden built by Japanese in temples in Korea. (at request by Koreans). This categorization reveals information about the inflow of Japanese gardening culture into Korea and deserves to be an important part of modern gardening History. And the rest are 4) Japanese gardens built at Korean residence, but with much damage and altern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findings to serve as preliminary data for defining Korean traditional gardens and for utilizing Japanese gardens in Korea as historical and cultural infrastructure.

파리 서울공원 설계 (Design of Seoul Park in Paris)

  • 김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32-137
    • /
    • 2000
  • In June, the City of Seoul held a design competition for $\ulcorner$Seoul Park$\lrcorner$in Paris to promote friendly relations with its sister c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ticulate the design concept of a scheme submitted by the author. The author interpreted the object of this design competition as follows: if we regards a park not as on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but as a space for expressing a culture, $\ulcorner$Seoul Park$\lrcorner$in Paris is a space expressing Korean culture, or a culture of the City of Seoul in Paris, France. Three points were emphasized in this scheme: 1. Physical and non-physical aspects of Korean culture, or a culture of the City of Seoul were expressed separately. In physical part, a traditional Korean garden was reappeared to express its authenticity compared to its counterpart, French classical garden - its formal and grand style. In nonphysical part, Seoul's features and its citizen's facial expression were engraved on 'free standing walls' named 'Seoul Expression'. In addition, Korean traditional and modern performing arts will be performed in a square named as 'Seoul madang' surrounded by the free standing walls. 2. A space clearly divided by the fence was necessary to distinguish a traditional Korean garden from the place which looks like an amusement park. Traditional wall, mounding and pine tree groves were included. 3. Bamboo grove with the way taking a walk was introduced. The author expected that Parisian feels oriental mystery, the sound of wind, and the time lag of past and present in this sounding bamboo grove.

  • PDF

일부 복원 사례를 통해 본 전통정원 보존기법 - 한·중·일 궁궐정원 유적을 중심으로 - (The Traditional Garden Conservation Techniques through Partial Restoration Case - Focusing on the Palace Garden Sites of Korea, China and Japan -)

  • 김동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8-35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정원 유적의 복원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중·일 궁궐정원유적을 대상으로 기단복원, 개별 정원요소 복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보존기법별 고려되어야 할 특징들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단복원이 이루어진 정원유적들을 살펴본 결과, 북해공원의 만불루 경구는 관련 문헌과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기단부와 주춧돌만을 복원하였다. 부여 관북리 유적은 발굴이 완료된 지역 중 연못과 수로, 대형건물 터에 남아있는 기단과 흙다짐 기초만을 복원하였다. 평성궁의 제2대극전은 건물지와 기단을 복원하고 주변에 제2태극전의 영역을 알 수 있도록 장대나 말뚝을 설치하였다. 둘째, 개별요소의 복원이 이루어진 경주 동궁과 월지는 초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연못 정원유구와 사료들을 토대로 전통정원 유적을 선제적으로 복원하였다. 원명원의 황화진은 서양동판화와 관련 기록들을 토대로 복원하였으나 복원 이후 추가로 발견된 자료를 통해 현재의 모습과 다르게 복원한 점을 확인하였다. 평성궁 동원 정원은 기존 유구들을 복토하고 그 위에 건물들을 복원하였으며, 경석과 수로 등 대표적 정원 요소들을 보존처리하여 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기단복원은 전통정원 유적의 현재 상태 또는 발굴조사를 통해 기단부가 확인된 경우로 입면 구성방식이나 규모 등이 확인된 기단부를 우선 복원하여 영역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복원은 전통정원 유적 내 일부 건물이나 시설물 등 개별 요소들에 대해 문헌 고증을 통한 복원이 가능한 대상들을 한정하여 복원하는 방법으로 면밀한 문헌 고증이 요구된다.

한국전통정원에 구현된 풍수미학 연구 - 고산 윤선도의 원림을 중심으로 - (Pungsu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 Focused on Kosan Yoon Sun-Do's Gardens in Mountain-)

  • 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80
    • /
    • 2012
  • 한국정원을 풍수적 시각으로 바라본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엄밀히 말하자면 풍수 이론이 적용된 정원을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한국정원, 특히 산수간에 조영된 전통원림을 풍수와 관련시켜 고찰해 볼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그 까닭은 첫째, 풍수나 정원 모두 자연에 대한 인간 대응 방식 내지 태도의 산물이라는 점과 둘째, 입지와 차경상 주변 산수와의 어울림을 중시하게 되는 전통원림에서는 풍수적 안목이 유용하게 작용하였을 것이고 셋째,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풍수의 비보적 처방에 정원 또는 정원적 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루어졌음에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풍수와 한국정원과의 상관성을 풍수미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정원은 물론 풍수의 동시대적 의미와 효용을 풍부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산 윤선도의 부용동과 금쇄동 원림에 구현된 풍수미학으로 풍수 형국에 입각한 공간 구도상의 틀과, 각 요처들 간의 시각구도에서 발견되는 감상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전자는 보길도 섬 전체의 형국을 읽으면서 핵심 요처를 찾아내어 풍수적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서 심적 이미지로서의 풍수형국이고, 후자는 각 요처에서 주변을 보다 편안한 시선으로 감상하도록 해주는 차경과 관련된 시각구도이다. 그렇게 탁월한 안목으로 풍수적 의미망과 미학 가득한 정원 부용동을 조영하면서 고산 윤선도는 아름다운 자연 속 체험을 예술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