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hought

검색결과 8,482건 처리시간 0.043초

친환경농업 특화지역 농업인의 농업.농촌에 대한 의식조사 (Survey Results of the Organic Farmers' Attitude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

  • 허승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7-275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is the farmer's attitude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 where is develope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EFA). To analysis satisfaction level and prospect about EFA, famer's survey were conducted. The sample size of the survey was 176 respectively. Of the famers surveyed, 85.9% thought their income is higher than general farmer in the same area. However, when asked how the future income change, 40.7% responded that will be decreasing step by step. 89.2% of the farmer respondent thought that they want dwelling in rural area and continuing agriculture in the future. However, 29.9% of the farmer respondent thought that rural area is not proper to their children as the future residence. In order to training of new lamer, it is very important to set up stable income structure, improving of welfare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and education infra and so on. In addition, it need to develop and sprea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technology, price preserv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 and supply extens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material etc.

  • PDF

한방병원에 입원한 화병 환자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핵심칠정척도 단축형을 활용한 후향적 관찰연구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wa-Byung Inpatients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Using the Core Seven-Emotions Inventory-Short Form)

  • 김주연;강동훈;강형원;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9
    • /
    • 2022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hiljeong (七情) characteristics of Hwa-byung patients using the core seven-emotions inventory-short form.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from a Korean medicine hospital. We included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wa-byung and examined with Core Seven-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SEI-S) during hospitalization periods. We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by demographic information, CSEI-S, Hwa-byung scale, and Korean Symptom Checklist 95.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CSEI-S and other clin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Chiljeong characteristics of Hwa-byung were high in the order of Sorrow (悲), Thought (思), Fear (恐), Fright (驚), Depression (憂), Joy (喜), and Anger (怒).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emotion. After combined Korean medical treatment, Sorrow (悲) and Thought (思)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sorrow (悲) and fright (驚), thought (思) and sorrow (悲), depression (憂) and sorrow (悲), depression (憂) and fright (驚), thought (思) and depression (憂), fear (恐) and fright (驚), anger (怒) and thought (思), thought (思) and fright (驚), sorrow (悲) and fear (恐). Sorrow (悲) and Hwa-byung characteristics scale showed static correlation. Joy (喜)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disharmony between the heart and kidney scores of the Hwa-byung pattern identification. Between KSCL-95 and CSEI-S, static correlation appeared in depression (憂)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leep problem scale, sorrow (悲) with depression and anxiety, fright (驚) with depression and obsessive symptoms. Conclusions: Despite several limitations due to the study design and small sample size, this research successfully used CSEI-S to study the Chiljeong (七情) characteristics of Hwa-byung for the first time.

한국적 품질경영 시스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Introductory Study on Korean Quality Management System)

  • 박재홍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63
    • /
    • 2004
  • On the process of Korean last half century's condensed economic growth, the contribution of quality management was very important. But if we continued the way in which U.S.A. developed and Japan revised, we would not be able to catch up the developed country. This paper says allegedly that we'd better introduce Korean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thought.

한국유교의 기원과 동이문화(東夷文化) - 류승국 교수의 설을 논함 - (The Origin of Korean Confucianism and Dongyi Culture - Discussion on the Theory of Professor Lew, Seung-Kook)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7호
    • /
    • pp.31-55
    • /
    • 2018
  • 도원(道原) 류승국(柳承國: 1923~2011) 교수는 20세기 한국 동양철학계의 거장이었다. 또 '한국사상의 원형(原型) 정립'에 심혈을 기울였던 '한국철학'의 개척자였다. 학문의 뿌리는 '유학'이었지만 동양철학 전반에 걸쳐 폭넓게 연찬하였다. 류 교수는 '유교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하여 남다른 견해를 보였다. 그는 1970년 이전에 나온 고고학-특히 갑골학- 의 연구 성과와 종래의 문헌에서 말했던 내용을 정밀하게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다년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학사상 형성의 근원을 논함에 있어 동이족과의 관계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유교는 동이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그가 동이족-인방족(人方族)에 대해 주목한 것은 '동이족과 그 문화'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었던 것이 아니다. 유교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 과정에서 동이족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었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그가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든 간에 '한국사상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과도 맞물려 있었다. 류승국 교수의 설은 당시는 물론 현재까지 학계의 통설과 다르다. 아직까지 학계에서 정면으로 논한 적이 없음은 아쉬운 일이다.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이 노골화한 이 시점에 류승국 교수의 학설을 진지하게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College students' implicit theory of Korean creativity and creative environment)

  • 성은현 ;한순미 ;하주현 ;이정규 ;류형선 ;한윤영 ;박병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367-3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한국적 창의성 개념과 대학생들이 창의성을 어느 정도 발휘하고 있는지, 그리고 창의성의 저해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하였다. 더불어 한국의 창의적 인물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생각을 탐색하였다. 한국적 창의성은 융통/응용/변환, 독창성, 꾸준한 노력, 탈고정관념, 예술 심미 선호, 온고지신을 포함하였다. 대학생들은 스스로 창의성을 보통 이상(M=3.2)으로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예체능계열이, 성별에 있어서는 남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창의성을 더 많이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창의성 저해요인으로는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와 융통성 없는 사회풍토를 포함하는 사회제도적 요인들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적인 인물들이 가난한 가정환경과 부유한 가정환경이라는 극단적인 경제 환경을 가졌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화목하고 민주적이고 자유로우며 지지받는 가정 분위기를 가졌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생활 및 환경에 대해서는 창의적 인물들이 학교교육 및 학교생활에 부적응했다고 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교우관계는 긍정적이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본 연구는 한국적 창의성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탐색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종교의 가정윤리에 관한연구 (A Study on Family Ethic of Buddhism)

  • 서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1-120
    • /
    • 199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how the family moral principles are placed in the Buddhist Sutra how they come up to the surface through certain course. We set up the following five kinds of question for aim of this study First in which form are the family moral principles placed in the Buddhist Sutra ? That is are they shown devided into two between the fundamental though of Buddhism and the concrete description? Second how are the family moral principles melted into the fundamental though of Bud-dhism ? Buddhism takes a cognitive method of pursuiting one from divesification,. If that is so the family moral principles will establish the fundamental thought of Buddhism melted along with other phenomena. When the fundamental thought of Buddhism is restored to the family moral principles which image are they presented with us? Third if the family moral princprinciples melted into the fundamental thought of Buddhism in itself came up to the surface ? Buddhism has a and is mixed together. The family moral principles of Buddhism are named from the fundamental thoughts to the family moral principles and do not come up to the surface but are melted into the important concepts of Buddism that is charity kama nirvara emptiness the principle of middle way. The aspects of the family moral principles which are melted into theses thoughts: 1) The concept of loving-kindness including equality non-self practice is shown in the family moral principles. 2) The thought of karma includes the moral principles for interdependence between the building up of home and family members. 3) Home should be a place of self-realization from the suffering realization This kind of home salvation should be set up by family members themselve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master that such salvation is neither to be made by others not to be given by god is presented one should be the master of one's life 4) The thought of emptiness includes the social extension of home and those of the moral principles of collective body of family. 5) The Buddnist family is moralit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middle way shich means neither too extrim nor lacking.

  • PDF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 애착과 자동적 사고의 관계 (Parents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Automatic Thought of Adolescents)

  • 이영화;임정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애착요인으로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을 선택해, 이들이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443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긍정적 자동적 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기술통계,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은 중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또래애착이 안정적이었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부모 및 또래 애착은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 및 또래 애착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애착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 애착이 자동적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며,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된 청소년기에도 여전히 청소년의 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 PDF

초ㆍ중ㆍ고등학교 교사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 조사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pinion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 김숙희;이경애;유춘희;송요숙;김우경;윤혜려;김주현;이정숙;김미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8호
    • /
    • pp.701-711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nutrition education, workload changes, and demand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 (SFPs). The subjects were 630 teachers at 12 elementary, 9 middle, and 9 high school within the nation. Ninety five percent of the teachers felt that there was a necessity for SFPs. Middle school teachers (MTs) and high school teachers (HT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in order to reduce the students' burden of carrying lunch boxes. The teacher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ir school's foodservice management types, food distribution types, meal quality, and sanitation. Elementary teachers (ETs) and HTs had a higher satisfaction than MTs. Teachers thought that SFP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tudents' nutrition and health, enhancing desirable eating habits, and socialization. ETs had more positive opinions than MTs or HTs. ETs and MTs thought that their workload had been increased by SFPs more than HTs, but they had relatively positive opinions on the workload change. ETs taught nutrition and health through SFPs more frequently than MTs or HTs.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re was a lack of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Some teachers thought that the problems in the present SFPs were: a lack of cafeteria facilities, poor quality of meals, and management of leftovers. Their demands for SFPs were a improvement of meal qu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cafeterias. In conclusion, MTs had more negative opinions than ETs or HTs. ETs perceived that SFPs had a function as an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y as well as the supply of nutritional meals. MTs or HTs tended to consider only a meal.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especially MTs and HTs, should modify their attitudes and recognize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SFPs.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under government auspices.

Drinking Patter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of Male Workers Diagnosed by NAST, Alcoholism Screening Test of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 Hong, Soon-Myung;Jung, Soon-Im;Kim, Mi-Ree;Jo, Jee-Y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8권3호
    • /
    • pp.142-146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rinking patterns and needs for nutritional education of male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5 male workers in Ulsan Cit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1.2 years old, height was 171.8cm, weight was 69.6kg and Body Mass Index(BMI) was $23.6kg/m^2$.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drinking patterns such as 'normal drinker(ND)', 'excessive drinker(ED)', and 'alcoholic drinker(AD)' diagnosed by NAST (Alcoholism Screening Test of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Each group was 31.6%(ND), 43.2%(ED) and 25.3% (AD). The amount of one time drinking, frequency, kind of alcohol and spending mon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87.8% of ND thought that the self identity of drinking habits was good. But twenty seven percent of AD thought that it was just not bad, one-half of them(51.4%) thought they seemed to have problems and 20.8% of them thought they were serious. 38.9%(AD), 22.8%(ED) and 6.7%(ND) of each group tried to abstain by turn. Reasons of trying to abstain were health problems, disharmony of family and bad influence on the business and job place. The methods of abstaining were to avoid a drinking gathering or to refuse drinking in the party. 70.8% of AD, 59.3% of ED and 40% of ND thought they needed to take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abstaining. 58.3% of AD, 43.1 % of ED and 31.1 % of ND answered they would join an alcohol program.

대순사상에서의 도(道)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The Concept of Tao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Daesoon Thought)

  • 이지영;이경원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219-255
    • /
    • 2019
  • '도(道)'는 동아시아 종교 사상의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를 나타내는 주요한 용어이다. 대순사상이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도통진경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道)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경(典經)』에는 금문(金文)에 처음 등장하는 '길'로서의 도에서부터 음양(陰陽)의 도, 인도(人道), 천도(天道) 등 각기 다양한 도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상도(常道), 천도(天道), 신도(神道), 인도(人道), 상생(相生)의 도 다섯 가지 '도'로 분류하였다. 우주만물의 생성과 성장, 소멸하는 모든 자연현상은 천지자연의 이치이다. 따라서 대순사상에서의 상도는 자연계와 신계뿐만 아니라 인간계에도 적용되는 영원불변의 진리이자 천지의 운행 법칙으로 인간의 행위에도 궁극적인 준칙이 된다. 천도(天道)는 천을 주재하고 통제 관장한다는 관점에서 구천상제의 '대순진리'이자 세상을 구제하는 '제세대도'라고 본다. 신도는 모사재천 성사재인에 의해 '신의 법칙과 뜻에 따라 인간이 일을 완성해야 하는 도' 즉 '상제의 천명에 의해 신과 인간이 인의예지를 지향점으로 함께 신인합일을 이루는 도'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이 우환과 위기에 빠졌을 때 요청되는 성인의 도를 『전경』에서는 요순의 도로 상징하고 있다. 진멸해 가는 세상에서 천하를 구하고 창생을 구제하는 대순사상의 성인의 도는 '제생 의세(濟生醫世)'라 한다. 제생의세는 구천상제의 천명인 제세대도를 따르는 인간의 도리라 할 수 있으며 대순사상의 인도(人道)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상생의 도는 '상도를 다시 세우고 제생의세의 인도를 펼치는 도'이며 남을 잘되게 해야 내가 사는 후천의 윤리로 상극적 세상을 바로 잡는 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천계와 지계, 신계와 인간계 모든 곳에 치우침 없이 적용되고 작동되는 구천상제의 제세대도로서 대순진리라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도는 그것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특징을 담고 있다. 중국 고전에서 말하는 도와 동아시아의 사상을 대표하는 유·불·도에서 전개하는 도의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특별히 신앙대상으로서의 상제의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보인다. 대순사상은 도 개념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한국 근대의 민족종교사상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 갈래를 조화하고 발전시키면서 전개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