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s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Automatic Thought of Adolescents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 애착과 자동적 사고의 관계

  • Lee, Young-Hwa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Lim, Jung-H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 이영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 임정하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1.10.21
  • Accepted : 2011.12.3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utomatic thoughts of adolescents. A sample of 443 students at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Adolescents reported parent and peer attachment using the modified version of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rmsden & Greenberg, 1987) and automatic thoughts using the modified version of Automatic Thought Questionnaire (Hollon & Kendall, 1980; Ingram & Wisnicki, 1988).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effects of attachments were different by the type of automatic thoughts. Specifically, trust in peer relations, trust in father-adolescent relations and communication in mother-adolescent relations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 whereas alienation in father-adolescent relations, alienation in peer relations and trust in mother-adolescent relations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애착요인으로 부애착, 모애착, 또래애착을 선택해, 이들이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443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애착, 또래애착, 긍정적 자동적 사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기술통계,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은 중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또래애착이 안정적이었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부모 및 또래 애착은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 및 또래 애착이,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는 부모애착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 애착이 자동적 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며,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사회적 관계망이 확장된 청소년기에도 여전히 청소년의 사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