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Native goat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재래산양에서의 계절이 정소기능, 정자의 내동성 및 수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II. 혈청내 Testosterone수준의 계절 및 하루중 변화 (Effect of Season on Testis Function and Freezing and Fertilizing Ability of Spermatozoa in Korean Native Goat II. Seasonal and Diurnal Change in Serum Testosterone Level)

  • 김창근;정영채;김광식;김수;권처진;한기영;윤종택;정영호;이장희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5-329
    • /
    • 1994
  •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 in serum testosterone was measured by radioimmunossary in 3 mature Korean native male goats. Blood was collected at 3-h intervals for 24h in each season. Mean levels of 4 seasons ranged from 0.82 to 2.06ng/ml and no difference was among seasons, although level in fall and winter was slightly higher. Diurnal level tended to increase at daytime in all season and when diurnal variation in level was compared to daily mean of each season, level of daytime greatly(P<0.05) increased in summer. However, variation between light and dark period in other season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aytime increase of testosterone was found 3 to 4 after dawn and level increased 1 to 2h ahead in summer and fall than that in others. These results in serum testosterone suggest that there was no great seasonal variation in endocrine function of goat testis.

  • PDF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Wild Korean Lespedeza (Lespedeza stipulacea Maxim.)

  • Lee, Hyung Suk;Lee, In-D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396-400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ry matter (DM) yield, quality and utilization of nutrients in Korean lespedeza (Lespedeza stipulacea Maxim.) swards as a roughage source. DM yield in various stages, chemical composition, and DM digestibility were observed, and DM intake, digestibility and utilization of nitrogen and energy by Korean native goat were determined. Experimental diets include three treatments: mixture hay (MH) 100%, MH (80%)+wild Korean lespedeza hay (LH) 20% and MH (60%)+LH (40%). As growth stage advanced, the DM yield of Korean lespedeza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p<0.05). The mean DM yield of all growing stages was observed as 7,336 kg/ha. Crude protein (CP) content of Korean lespedeza tended to decrease, but fibrous contents tended to increase when the growth stage advanced. The tannin content of Korean lespedeza was the highest at the bud stage (64.7 mg/g). However, i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growth stage advanced, and thus it was the lowest at the ripe seed stage (26.8 mg/g) (p<0.05). With increasing level of LH, voluntary DM intake by Korean native goats slightly increased,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diets. The digestibility of DM, cellular constituents and NDF was slightly higher in LH containing diets than that of MH 100% diet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arently digested N% among all diets, but retained N% and retained N% of the absorbed were higher in MH (60%)+LH (40%) than those of other diets (p<0.05). A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energy was not detected. In conclusion, Juvenile LH improved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presumably due to its high CP content and low fibrous compound. Especially, tannin in LH did not affect in DM intake, but increased the nitrogen utilization of Korean native goats. Accordingly, it could be suggested that Korean lespedeza has a potential to be provided as a roughage source for Korean native goats.

전북지역 염소에서 Coxiella burnetii 감염실태 조사 (Prevalence of Coxiella burnetii in native Korean goat in Jeonbuk province)

  • 강수진;정재명;김현관;이재욱;손구례;박태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9-246
    • /
    • 2016
  • The prevalence of Coxiella burnetii in native Korean goats in Jeonbuk province was investigated using ELISA (sera) and PCR (vaginal mucus). A total of 798 blood samples from 189 farms were collected in 2013 and 2015. Seroprevalence was 13.6% in 2013 and 15.7% in 2015. Tracking survey of six seropositive farms on the prevalence of C. burnetii was conducted. 137 (41.4%) out of 331 goats were seropositive and 47 (17.6%) out of 267 goats were positive in PCR. The higher seropositivity observed in adult goats and female goats significantly, the seroprevalence of C. burnetii was higher as age increased (<1 y=13.2%~${\geq}5$ y=100%)(P<0.05) and female goats (44.8%) was higher than male goats (24.1%) on the seroprevalence (P<0.05). 21 (7.9%) goats positive in PCR was seronegative. The prevalence of C. burnetii in native Korean goats in slaughter house was 30.0% in ELISA and 11.5% in PCR. Significantly, female goats (62.8%) was higher than male goats (12.3%) on the seroprevalence (P<0.05). Based on these data, C. burnetii was easily exposed in domestic animals: native Korean goats-related areas such as farms and slaughter house.

한국 재래흑염소의 계통별 인공수정과 임신진단 키트의 활용 (Application of artificial insemination and pregnancy diagnosis kit for Korea native black goats)

  • 김관우;이진욱;전다연;이성수;김승창;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46-4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수정 기법을 이용한 한국 재래흑염소 계통별 인공수정 수태율을 알아보고자 정액의 성상, 수태율 및 분만율을 조사하고, 임신진단을 위한 소의 임신진단 키트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재래흑염소에서 전기자극을 통해 정액을 채취하여 3계통(당진, 장수, 통영)별 정액분석과 발정동기화 된 암컷에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계통별 번식능력을 조사하였다. 인공수정된 암컷에서는 소의 임신진단 키트(IDEXX Rapid Visual Pregnancy Test kit)와 초음파진단으로 임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통별 정액채취량은 1~1.5 ml 내외였으며, 정액농도는 $18{\sim}25{\times}10^8/ml$, 정액 채취 직후 정자활력은 97% 이상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임신진단의 결과에서 소의 임신진단 키트와 초음파진단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계통별 인공수정 수태율의 효율은 20~44%로, 통영계통이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장수계통이 20%로 인공수정 수태율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재래흑염소의 계통별 인공수정 효율을 알 수 있었고, 조기 임신진단을 위한 소 임신진단 키트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재래흑염소 증식과 개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추동물의 제일위내 미생물에 관한 연구 - 제2보 한국재래산양의 제일위내 섬모충에 관한 기초연구 (Studies on Microorganisms in Rumen of Ruminants - 2. Basic Studies on Ciliate Protozoa in Rumen of Korean Native Goats)

  • 이호일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5권8호
    • /
    • pp.459-461
    • /
    • 197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of rumen ciliate protozoa and pH of rumen contents of Korean native goat, 20 goats, slaughtered at Jeonju private abattoir, were selected from Februry to April 1979.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were summarized

  • PDF

반추수의 내부기생충에 대한 신종 광범위구충제의 구충효과 - I. Albendazole (Valbazen-B)의 구충효과 (Field Trials on the Efficacy of New Broad-Spectrum Anthelmintics 1. Anthelmintic Efficacy of Albendazole Against Gastrointestinal Nematodes, Trematodes and Cestode in Korean Native Goat)

  • 서명득;이순선;조희택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1권10호
    • /
    • pp.605-611
    • /
    • 1985
  • The anthelmintic efficacy of Albendazole(Valbazen-B) at a dose rate of 10mg /kg of body weight was tested in naturally infected Korean native goats against gastrointestinal nematodes, trematodes and cestode. The drug was administered with Valbazen-B bolus

  • PDF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Feed Value,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at Native Pasture Grazed by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Capra hircus coreanae))

  • 윤영식;성혜진;장치만;정상욱;이가을;박재현;장세영;이진욱;김관우;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5
    • /
    • 2018
  •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pm}0.56%$, $24.4{\pm}0.8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재래흑염소 개체식별과 친자확인을 위한 Microsatellite Marker Set 개발 (Development of a Microsatellite Marker Set for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Parentage Verification of Korean Native Black Goats)

  • 이상훈;강호찬;이성수;이진욱;김은호;명철현;김관우;임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12-918
    • /
    • 2020
  • 본 연구는 재래흑염소와 교잡종 염소 총 304두를 대상으로 Microsatellite (MS) marker의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염소의 개체식별과 친자확인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각 MS marker 별 대립유전자형의 다형성을 토대로 11종의 MS marker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MS marker를 사용할 경우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출현할 확률이 무작위, 반형매 교배집단에서 각각 5.58×10-10, 1.15×10-7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친자감정 확률은 부모의 정보가 있을 경우 0.999996, 부모의 정보가 없을 경우 0.999833으로 분석되어 국내에서 사육하고 있는 염소들의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내 재래흑염소 4 계통과 교잡종 염소들 간의 혈연관계 분석을 통해 국내 재래흑염소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염소의 개량 기반 구축에 필요한 개체관리와 친자감별 및 향후 염소고기의 생산 이력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방제재 급여가 재래 흑염소육의 육질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Herb Resources Powder on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 김병기;이지홍;정대진;조광현;황은경;김수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11-818
    • /
    • 2010
  • 거세 재래흑염소를 각 처리구별로 8두씩 배치하여 총24두(3처리$\times$8두)를 대상으로 대조구(무첨가)와 시험구인 T1구(한방제재 1%첨가)와 T2구(한방제재 2% 첨가)로 구분 배치하여 총 500일간 비육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육 전기간(500일간) 동안의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T2가 28.30 kg과 0.057 kg으로 타 처리구보다 가장 높았다. 총 사료섭취량에서도 T2구가 519.20 kg으로 크게 높았으며, 사료요구율은 18.35으로 사료효율성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도체율은 T1구가51.10%로 가장 높았고(p<0.05), 흑염소 등심육의 가열감량과 드롭로스는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크게 높았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은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p>0.05). 또한 관능검사의 연도, 향미, 조직감 및 염소 특이취는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크게 낮아져 (p<0.05), 종합적인 관능평가에서는 시험구(3.71점, 3.90점)가 대조구(4.82점)보다 더 좋게 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의 단가불포화지방산(MUFA)/포화지방산(SFA)과 불포화 지방산(UFA)/포화지방산(SFA)의 비율에서는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육자원(肉資源) 개발(開發)을 위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Native Goat for Meat Production)

  • 라광연;권순기;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75-83
    • /
    • 1977
  • 1.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사료섭취(飼料攝取) 경향(傾向)은 주간(晝間)이 야간(夜間)보다 많으며 중량(重量)에 대한 생초섭취량(生草攝取量)은 9~15%였다. 2. 하기(夏期)에는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이 감소(減少)되며 체중(體重)도 감소(減少)되었다. 3. 생초(生草)나 건초(乾草)의 품질(品質)이 저질화(低質化)되면 농후사료(濃厚飼料) 섭취량(攝取量)이 증가(增加)된다. 4. 강류급여구(糠類給與區)나 배합강료급여구(配合糠料給與區)에 있어서 조사료(粗飼料)의 섭취량(攝取量)은 동일(同一)하였다. 5. 사양표준(飼養標準)에 의(依)해서 재래산양(在來山羊)을 사육(飼育)하는 것이 T. D. N이나 D. C. P. M. E의 요구량(要求量)을 감소(減少)시킬 수 있다. 6. 자양(仔羊)의 주폐사원인(主弊死原因)이 되는 내부기생충(內部寄生蟲)은 위충(胃蟲), 장결절충(腸結節蟲), 간질(肝蛭), 코크시듐이며 주기적(週期的) 예방(豫防)이 필요(必要)하다. 7. 격목구(擊牧區) 농원사료구(農原飼料區), 배합사료구(配合飼料區)에서 육성(育成)된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도체시험(屠體試驗) 결과(結果) 격목구(擊牧區)는 35.10%의 도체율(屠體率)과 29.92%의 정육율(精肉率)을 얻었고 농원사료구(濃原飼料區)는 42.17%의 도체율(屠體率)과 30.25%의 정육율(精肉率) 증가(增加)를 가져왔고, 배합사료구(配合飼料區)는 44.56%와 33.99%의 가장 좋은 산육성(産肉性)을 나타냈다. 8. 각구별(各區別) 도체성분(屠體成分)의 일반조성(一般組成) 분석결과(分析結果)는 농원사료(濃原飼料)의 급여(給與)에 따라서 지방함량(脂肪含量)은 증가(增加)하고 수분(水分) 및 조회분(粗灰分)등은 감소(減少)하는 현상(現象)을 나타냈다. 9. 이취주성분(異臭主成分)인 체지방(體脂肪)이 정육(精肉)에서 4 %정도 채취(採取)되었다. 10. Sausage, 통조림 제조(製造)에 사용(使用)된 향신료(香辛料)중 Clover Pepper, group가 가장 풍미개선(風味改善)에 효과적(效果的)이였다. 11. 제조기술적면(製造技術的面)에서 볼 때 가공용(加工用) 육자원(肉資源)으로써 사용(使用)이 가능(可能)하다고 인정(認定)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