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orea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Parents about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System)

  • 박대휘;안효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82-19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ystem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2008 and to obtain the implementation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otal of 1,0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00 parents in Busan, and 766 of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follows excluding the retrieved and insincerity responses. First, the national assessment showed negative perception from the teachers, whereas the par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nd the method to reduce the gap of perception is needed. Second, it has to be improved after collecting opinions of a teacher and parents of students for improvement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and reviewing enough the potential problem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n Korea and school.

3차원 과학 평가틀을 활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분석 -초등학교 지구과학교과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tems using three dimensional scientific assessment framework)

  • 김은정;한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48-256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tems surveying to sixth-year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utilizing three dimentional scientific assessment framework.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ing. Science contents territory of national level study achievements estimation were set a problem energy, substance, life, earth relatively evenly. Action territory was set a problem most 'Comprehension' territory. In the case of science situation area, 'Purity scientific situation' among 5 category appeared the most.

  • PDF

국가수준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5권1호
    • /
    • pp.21-39
    • /
    • 2001
  •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framework, test items and questionnaire for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hich administer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this year(2000). According to the first year study result of the NAEA,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two core subjects, Mathematics and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test items and sets of questionnaire and administered pretest were developed in the last year. In this year, the NAEA was administered with the adjusted test item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and would be reported to the public. NAEA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of the nature and objectives of subject curriculum in Mathematics (and also Social Studies). In the framework of assessment, we set up four differentiated levels of student achievement:‘under basic’,‘basic’,‘intermediary’, and ‘advanced’. Here ‘the intermediary level’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dvanced level ’indicate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master all th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nd apply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to a variety of situations. ‘The basic level’means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which students do not achieve the intermediary level. Students who do not understand average content of subject curriculum are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basic level. Finally, this study would explain how to administer and analyze the test int he future. The test result was analyzed to report students’s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regions, content area,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tc. This study would show how to report test results and how to set u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PDF

$2003{\sim}2006$년 국가수준 과학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 정은영;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38-452
    • /
    • 2008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고 연도별로 학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 정책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과 학업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3{\sim}2006$년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성취도는 증가 또는 감소의 특별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과 우수학력에 속하는 성취수준 비율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았지만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아졌다. 한편 기초학력미달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은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을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모두 읍 면지역 학생들의 성취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성별, 지역별 점수 차를 줄이기 위하여 교육적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결과가 교육과정 및 교육 정책 입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분석: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cused on Chemistry)

  • 최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27-137
    • /
    • 2013
  •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았다. 우수학력 학생들은 현상의 변화를 물질의 특징과 모형을 함께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보통학력 학생들은 단순한 상황에 한정하여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기초학력 학생들은 모형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여 물질 현상을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하지 못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지역 규모별 특성 분석 -2010년, 2011년 초등학교 수학과 결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 Based on the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 조윤동;조성민;최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03-317
    • /
    • 2013
  • Recently in South Korea, various methods are followed in decreasing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 and social classes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tends to strengthen responsibility of school education and manage quality of curriculum. Besides, the NAEA intends to bridge achievement gap which is one of educational gap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bility to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There is not much research about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Therefor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closely, we analyse the 2010, 2011 NAEA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nd explore characteristics of items which have sharp differences between local population s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been showed that the educational gap between 'big-sized cities' and 'small and midium-sized cities' has been increased, but the overall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has been decreased.

수학과 교수.학습 시사점 도출을 위한 2010, 2011년 국가수준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내용 비교 분석 (Analysis of Item Contents of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t elementary school for deduction of suggestions to the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 조윤동;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95-413
    • /
    • 2012
  •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s important standard reference to become the basic data for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ed and the educational policies put in force presently and preparing the new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ies. In this paper, we looked into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alibrated score of whole group and male/female students, the correct answer ratio of each performance level and the correct answer ratio of each content domain, etc. in the results of NAEA at 6th elementary school. The analytic objects are 2010 and 2011 NAEA that are changed into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the standard referenc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new calibrated score is applied to. And we analysed and compared correct answer ratio of the each content domain and each item to conform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these informations, we investigated that here is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to the whole group and what kind of suggestions to the teaching-learning. And we were going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needs to understand which content of mathematics is needed and which thinking methods are needed.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y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이재봉;구자옥;최원호;심규철;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73-483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3개, 기초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개였다.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하였거나 우수학력 학생들만 숙달한 성취기준이 전체 성취기준의 절반 이상이므로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개수가 비슷하였으나, 물질과 생명 영역에서는 우수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명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우수학력에 해당하였다. 우수학력 학생들도 성취하기 어려운 6개의 성취기준은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조정하거나 학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Student-related Variabl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6)

  • 최원호;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48-859
    • /
    • 2008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3%를 표집하여 2006년에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학생들의 과학과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많을수록, 방과 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책을 많이 읽을수록, 자기조절 학습정도, 학교 생활 적응 정도, 과학 수업 충실도, 과학 수업 이해 정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을 묻는 설문 결과에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주도하는 교육 풍토가 입시 위주임을 알 수 있었으나, 학생 관련 배경 변인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에서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단지 공부만을 강조하는 외적 동기 위주의 자극보다는 흥미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습 방법, 인간관계 등 내적인 동기를 자극하는 접근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 이봉우;이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65-47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물리의 광학 영역 문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물리 문항 중 광학 영역에 해당되는 10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광학' 영역의 성취수준은 다른 영역(역학, 전자기학)에 비해서는 높았다. 둘째, '빛' 영역에서 '상의 형성'과 관련되어 학생들이 낮은 성취수준을 보였으며, '파동' 영역에서는 '파동의 전파에서 위상의 변화'와 관련되어 낮은 성취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들은 상황 의존적인 문제풀이 전략 및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학 개념에 대한 교육과정 수준의 재검토, 기초학력 단계 학생들에 대한 추가적인 교수학습의 필요성, 실제적인 현상 및 상황 중심의 교수학습의 필요성 등의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