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onal and Nutrition Examination(KNHANE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6초

만성폐쇄성폐질환 유소견 성인의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 영향요인 (Risk Factors for Unawareness of Obstructive Airflow Limitation among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조미래;오희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0-29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risk factors for unawareness of obstructive airflow limitation among adul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4).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BM SPSS 22.0 version using frequency, percentage, odds ratio,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Ninety-eight percent of subject with a pulmonary function test score of $FEV_1/FVC$<0.7 (N=833) did not recognize that their lung function was impaired. The heavy drink, absence of tuberculosis or asthma diagnosis, and no symptom of expelling phlegm were identified as major risk factors for unawareness of airflow limitatio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awareness of airflow limitation and to prevent the worsening of the condition, the pulmonary function screening test should be provided to community residents including those who do not show symptoms of respiratory illness.

의사의 진료설명 이해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특성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Patient's Comprehensibleness of Doctor's Explanation)

  • 김미영;김유정;이은미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7-66
    • /
    • 2017
  •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patient's comprehensibleness of doctor's explan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raw data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 conducted in 2015. The survey sampled 22,948 adults, and 4,469 of them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patient's comprehensibleness of doctor's explanation. Results: The patient's comprehensibleness of doctor's explanation were more higher as age (t=5.65, p<.001), female (t=4.40, p<.001), subjective good health status (t=3.48, p=.001) were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s comprehensibleness of doctor's explanation were more higher education level (t=-6.80, p<.001), not-recent outpatient experience (t=-6.04, p<.001), pain/discomfort (t=-2.64, p=.008), anxiety/depression (t=-2.58, p=.010) were lower. Conclusion:It is necessary to be provided the patients who are higher education level,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with applying the doctor's detailed explan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만성질환을 가진 성인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 한지영;박현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39
    • /
    • 2021
  • Purpose: In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unmet healthcare needs a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worsening the illness and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A cross 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2016-2017.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6,104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The data were analyzed by Rao-Scott 𝑥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Results: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experienced unmet healthcare needs was 10.9% of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The factors affecting unmet healthcare needs of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were age, gender,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activity limitation, and perceived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may be associated with their unmet healthcare needs. Finally,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reduce unmet healthcare needs for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should consider the associated factors presented in the study.

한국 노인의 가구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 (The Role of Niacin Intak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장의미;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47-859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를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포함된 65세 이상 노인 총 1,63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가중치를 적용 후, SPSS 24.0을 이용하여 Two-way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아신(Niacin) 섭취량 역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인의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우울증상의 차이를 줄이고, 노년기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나이아신(Niacin)과 같은 영양소 섭취의 중재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성인 암환자 삶의 질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2014)

  • 박진아;홍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82-390
    • /
    • 2017
  • 본 연구는 제6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정신건강 측면에서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도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정신건강, 삶의 질을 이용하였으며 SAS 9.3 ver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 성별, 경제활동 여부, 소득사분위수(개인), 주관적 건강상태,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활동제한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증상 경험률에서 삶의 질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성별, 소득사분위수(개인),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여부, 우울증상 경험률로 이들 변인은 삶의 질을 39.1%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암환자 삶의 질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정신건강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확인하였다는 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혀내었다는데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암 진단부터 치료, 회복 후 사회로 복귀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및 안위 증진, 암의 조기검진과 암예방 교육, 우울증상 관리, 사회적지지를 포함한 장기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한국성인의 비만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Obesity Type among 19-64 year old Korean Adults)

  • 구혜민;류소연;박종;한미아;손영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45-55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types of obesity categorized by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Korean adults aged 19-64 year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 and included 11,081 study participants. Type of obesity was categorized into 4 groups (Type 1: BMI obesity + abdominal obesity; Type 2: BMI obesity only; Type 3: abdominal obesity only; Type 4: Normal). To compare the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obesity type,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with stratification of age groups (19-44 years, 45-64 years). Results: With regard to comparative analysis of diet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 qualities in energy, protein, thiamin, riboflavin, niacin, phosphorous and iron and type of obesity in the 19-44 age group,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 qualities on protein, vitamin C, phosphorous and type of obesity in the 45-64 ag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et diversity score and type of obesity in Korean adult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n Korean adults, diet qualities of some nutrients were different among obesity types, while diet diversity was not. These observ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n effort to improve intake of over-and deficient nutrients and in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ent quality on obesity.

영유아기 수유 유형과 모유 수유 기간에 따른 유아기 비만 양상 분석 - 2008~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 - (Breast-feeding and Obesity in Early Childhood - Based on the KNHANES 2008 through 2011-)

  • 연미영;이행신;김도희;이지연;남지운;문귀임;홍진환;김초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44-651
    • /
    • 2013
  • Although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breast-feeding (BF) rate in Korea, it is plateaued since 2008 and still low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Because BF has been related to lower obesity prevalence in many studies and the increase in childhood obesity became evident in Korea, we wondered if a relatively lower BF rate has anything to do with this increase. Therefore, we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 & duration of BF during infancy and weight status of toddlers using the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through 2011. Number of 2-3 year old toddlers with complete information on BF, anthropometry and normal birth weight was 674. While 87% of them were ever-breastfed, 6.2% each of them were either obese or overweight based on the Standard Growth Chart for Korean Children. Not only the obesity prevalence was different among groups of different mode of feeding, but also the mean duration of BF was significantly longer in normal weight group (9.2 mo.) compared with obese group (5.5 mo.). Accordingly, overweight and obesity prevalence of the toddlers breast-fed for 12 months or long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oddlers breast-fed for less than 12 months (OR 0.53, 95% CI 0.32-0.87). This study revealed that both BF and duration of BF affect the childhood obesity and, BF for 12 months or longer should be encouraged more aggressively as one of the main strategies to prevent and/or decrease childhood obesity in Korea.

한국 성인의 국물 음식류 섭취에 따른 식생활 평가 : 2011~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Dietary assessment according to intake of Korean soup and stew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2011~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권용석;한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335-346
    • /
    • 2016
  • 본 연구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20,926명을 중심으로 한식 국물 음식에 섭취에 따른 식생활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물 음식 섭취에 따른 식생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전체 국물 음식 섭취량과 국/탕 및 찌개/전골 섭취량으로 분류하였으며, 전체 국물 음식 섭취량은 4 분위수로 분류하였다. 국물 음식의 섭취가 가장 높은 Q4군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남성의 비율이 여성 비율보다 높았고, 연령층은 만 30~49세 연령, 기혼자이며, 가구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관련 요인들을 살펴보면 Q4군으로 갈수록 아침식사 결식의 비율이 낮아지며, 하루 1회 이상 외식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국물 음식 섭취 4분위수 범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결과 지방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 섭취량과 에너지 기여도의 비율 (지방의 에너지 기여된 비율 제외)이 Q1에서 Q4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식사가 제공된 조리 장소별 국물 음식 섭취량 역시 전체 국물 음식, 국/탕 및 찌개/전골 섭취량 모두 가정, 상업적 외식 및 단체 급식에서 Q1~Q4군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물 음식 섭취 4분위수 범위에 따른 식품 섭취량의 결과에서는 곡류, 서류, 두류, 견과류, 체소류, 버섯류, 과일류, 육류, 어패류, 우유/유제품류, 오일류 및 조미료류가 Q1 군에서 Q4 군까지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물음식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남성, 높은 연령, 기혼자와,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 가정식과 단체급식에서 제공된 식사를 하는 경우 및 주 당 평균외식 빈도와 에너지 및 나트륨 섭취가 증가할수록 전체적으로 국물음식 섭취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국물 음식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영양소나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나트륨의 섭취량은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도와 관련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예측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의 2차 자료 분석 (Predictors of Breastfeeding in Adult Women: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3), 2018)

  • 성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40-448
    • /
    • 2020
  •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 자료 중 건강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이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SPSS Win 22.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 교육 수준, 흡연이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39세 연령군인 경우 19-29세 연령군인 경우보다 3.06배,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인 경우가 대학 이상의 학력인 경우보다 4.70배, 비흡연자가 흡연자에 비해 2.51배 모유수유율이 높았다. 따라서 30세 미만의 연령의 경우 모유 수유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40세 이상의 연령의 경우 모유생산량을 높이고 돌봄 제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에는 직장생활 등의 제한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모유수유 방법을 익히고 수유부를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흡연자의 금연프로그램에는 임신 및 수유와 관련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성인의 커피 섭취 유형에 따라 비만 및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13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Association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ccording to the kind and amount of coffee intake in Korean adults: 2013~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형섭;이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69-382
    • /
    • 2019
  • 본 연구는 제 6기 (2013 ~ 2015년), 제 7기 1년차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13,429명 (남 : 5,284명, 여 : 8,145명)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커피 섭취빈도 및 섭취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커피, 설탕, 프림 섭취 빈도를 활용하여 하루 단위의 커피 섭취횟수와 커피 섭취 유형을 분류한 후 비만 및 복부비만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커피 섭취횟수를 보면 커피 미섭취군 11.6%, 하루 1회 미만 22.3%, 하루 1회 18.5%, 하루 2회 23.7%, 하루 3회 이상 23.9%로 조사대상자의 65% 이상은 하루 1회 이상 커피를 섭취하였고, 커피 섭취자 중 블랙커피 섭취자 보다는 믹스커피 섭취자가 2배 이상 많았다. 커피 미섭취군에 비해 하루 3회 이상 커피 섭취군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및 당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을 뿐만 아니라, 비만과 복부비만자의 비율 역시 유의적으로 많았다. 커피 섭취가 비만 발생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커피 미섭취군에 비해 하루 2회 섭취군에서 1.30 (95% CI: 1.08 ~ 1.57), 하루 3회 이상 섭취군에서 1.33 (95% CI: 1.11 ~ 1.60)으로 나타나 하루 2회 이상의 커피 섭취는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30% 정도 증가시켰고, 복부비만의 위험은 커피 비섭취군에 비해 하루 1회 미만 섭취군 1.27 (95% CI: 1.02 ~ 1.57), 하루 1회 섭취군 1.34 (95% CI: 1.08 ~ 1.66), 하루 2회 섭취군 1.35 (95% CI: 1.09 ~ 1.67), 하루 3회 이상 섭취군 1.40 (95% CI: 1.14 ~ 1.72)로 나타나 하루 1회 이상의 커피 섭취는 복부비만의 위험을 34% 정도 높였으며, 성별에 상관없이 커피 섭취는 커피 미섭취자에 비해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커피 섭취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면 전체 대상자의 경우 블랙커피와 믹스커피 모두 비만과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추이를 보였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커피 섭취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블랙커피의 경우 남성에서는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여성에서는 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추이를 보였고, 믹스커피의 경우 남성은 하루 3회 이상 섭취 시, 여성은 하루 2회 이상 섭취 시 비만과 복부비만의 위험을 34% 정도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커피를 섭취하는 방법이 비만과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보이긴 하였으나, 전체대상자를 보았을 때 커피의 종류에 상관없이 커피섭취는 비만 및 복부비만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식이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비만 및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커피 섭취 유형 및 적정수준의 커피섭취량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위한 근거자료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