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dergartens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자기조절과 리더십간의 관계 연구: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분석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on,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 박미숙;안효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7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 리더십 간의 관계를 밝히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인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5세 유아 211명이었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한 교사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분석 하였다. 분석은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자기조절, 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조절은 유아 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상호작용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조절은 유의한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리더십 교육에 있어 주목해야 할 요소로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Verbal Expression Ability on Their Prosocial Behaviors)

  • 정윤이;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23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9개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 44명과 만 5세반 유아 42명, 총 84명이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은 장영애(1981)가 만 3-5세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표현능력 도구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김영옥(2003)이 개발한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표현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그림보고 이야기 꾸미기의 하위 요인 중 내용의 일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언어표현능력이 뛰어난 유아가 또래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도움을 주며,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또래를 배려해 줄 수 있고, 자신의 것을 나누며 감정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유능하다고 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는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제공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언어를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 효과 -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using Play - for the Kindergarten Children -)

  • 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7-62
    • /
    • 2005
  • 본 연구는 연극제를 이용하여 유치원 아동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화성시에 소재한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전, 교육후 총 762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강실천에 관항 사항에서 교육전과 교육후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서 교육후의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6개월마다 정기검진 여부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2. 구강건강관심에 관한 사항에 있어서도 교육전과 교육후를 비교해 본 결과 모든 변수에 있어서 교육후에 관심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3.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95% 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함으로써 만족하고 있었으며, 구강보건교육 연극에 재관람하고 싶다는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유아 아동들에 있어 공부하는데 가장 흥미를 주는 구강보건교육 매체가 인형 등의 도구를 통한 연극이라고 50%이상이 답하였으며, 가장 기억에 남는 매체에 있어서도 연극이라고 답하였다. 특히 연극이 가장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다는 결과에서는 교육전보다 교육후가 약 40%에서 약 50%로 증가하였다.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강보건교육이 필수 요건이며,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건강습관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피교육자가 흥미있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매체를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며, 이를 위해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이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태백시 미취학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리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CHANGES IN ORAL HEALTH CARE OF PRESCHOOLERS IN TAEBAEK CITY THROUGH ORAL HYGIENE EDUCATION)

  • 문상진;박재홍;최영철;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1-77
    • /
    • 2009
  • 본 연구는 올바른 구강보건교육과 칫솔질 교육을 통해 아동들의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구강관리법의 변화와 개선 정도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좀 더 효율적인 구강보건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태백시 보건소에서 2003년 4월 1일부터 12월 16일까지 구강보건교육에 참가한 631명의 미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매회 약 20-30명 정도를 대상으로 약 30분 정도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치과의사의 직접설명과 아동들이 참여놀이를 이용하여 구강보건교육 후 칫솔질 교육과 불소 겔 도포를 시행하였으며, 불소도포 과정 중 대기하는 아동들은 구강보건교육 비디오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와 아동들의 구강 건강관리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반기 교육 후 아동들의 부모와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그 결과를 수집,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보건소에서의 전문가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한 후 치아우식증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었으며,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가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다. 많은 아동들이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칫솔질 횟수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칫솔질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도 나타내었다. 아동들은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치아에 좋은 음식과 해로운 음식을 구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고 미약하나마 식습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조사를 통해 미취학 아동의 구강보건교육은 매우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정에서나 유치원, 치과에서의 구강보건교육의 확대가 요구된다.

  • PDF

60 Hz 고압송전선로 인접 주거지역의 자기장 노출수준 평가 (Evaluation of the Magnetic Field Exposure Level in 60 Hz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Nearby Residential Area)

  • 홍승철;정준식;김근영;박현주;최성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7-33
    • /
    • 2008
  • In order to evaluate the magnetic field (MF) exposure level in residential areas near high voltage power lines, this research measured MF levels at 120 sites near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in the Busan region, Gwangju region, Daegu region and Changwon region from July to December, 2005,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iciencies by measuring and applying the MF emission levels of underground cables and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MF exposure level by the building usage, the average MF level of 17 locations at schools was $2.44{\pm}2.45mG;$ that of 10 locations at hospitals $6.21{\pm}12.39mG;$that of 76 locations at apartments $2.55{\pm}2.98mG;$ and that at kindergartens and infant houses $3.32{\pm}4.21mG$. MF exposure was analysed as a function of distance from the source and the MF levels directly below a source were $5.15{\pm}8.72mG$, those within 30 m were $3.10{\pm}3.32mG$, while those within 50 m were $2.45{\pm}2.38mG$, and within 100 m were $0.71{\pm}0.93mG$.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MF levels by the actual distance from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within the same building, the evaluation of the floor position and the MF level has shown that the MF levels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roof, 4th floor, 3rd floor, 2nd floor and 1st floor. Comparison of MF emission intensity of underground cables and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has shown that underground cables have an 86-94% of reduction ratio in MF compared to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thus demonstrating higher efficiency.

어린이 화상사고 유형과 어머니의 예방, 태도, 지식에 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the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Preventive Attitudes to, and Knowledge of Burns)

  • 한정석;김동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97-104
    • /
    • 1998
  • Burns in children result in the loss of precious life, or if the child survives, in much suffering from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se burn accidents to children happen in the bustle of family life and frequently without any warning.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ty types of burns in children and mothers' attitudes towards, and knowledge of burn prevention, in order, to not only, in still a safety consciousness regarding the seriousness of burn accidents and the strengthening prevention, but also as basic data towards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aimed at prevention. From May 1 to May 25 in 199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five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which had been selected for the study. The tools used for the study, whic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urveyed the type of burns suffered by children, mothers' knowledge of burns and attitudes toward burn acciden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real numbers percentages and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computer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ost frequent type of burn accidents were those caused by hot water(55.4%) and these were frequently related to everyday habits that easily lead to danger. Further, the first aid treatment following a burn was weak. The majority of the mothers had not instructed their children on who to contact in the case of a fire, first aid for burns, or how to take escape in the case of a fire. This left the children in a defenseless position in case of a fire. The mothers showed a lack knowledge, on what to do when a blaze is discovered, how to put out a fire, first aid for burns, escaping from a fire and appropriate water temperature, in that 50% of the time they answered incorrectly. From this study a prevention program, HIPP (Home Injury Prevention Program) could be developed that includes fire prevention habits and first aid for burns. This program can be used wi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group education on fire prevention and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construction of a system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o prevent fires and also prevent injury from fires.

  • PDF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학교적응기대와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의 관계 (Mothers' Expecta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 of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Competence)

  • 신호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7
    • /
    • 2007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교적응기대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 5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4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취학 전 유아 어머니의 자녀 학교적응기대는 첫째,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직장에 다니고 있으며, 자녀를 초등학교에 진학시킨 경험이 있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아보다는 여아에 대해, 첫째 자녀보다는 둘째 이상의 자녀에 대해 높은 학교 적응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아의 월령이 높을수록 그 기대가 높았다. 둘째, 취학 전 유아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과 규칙 등의 학교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가 높았다. 셋째, 취학 어머니가 자녀의 사회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인지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수업과 규칙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직장보육시설 위탁 운영 어린이집 학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국·공·사립과 위탁·직영 간 차이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arents' Satisfaction of Contracting-Out System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National·Public·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Contracted-Out·In-House Services -)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82-290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의 위탁운영형태별 이용 만족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국 공 사립 이용학부모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전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보육요인으로서 위탁 직영 모두 보육 환경, 보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보육 운영 요인이 잘 되어 있을수록 시설, 프로그램, 운영, 보육 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들 관계의 충족에 따라 직장 보육시설의 이용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보육시설 운영에 따른 차이비교에서도 규모에 있어 50~74명 규모가 가장 선호되고 직장 내 직접 운영보다 전문보육기관에 위탁이 선호되고 소재지 또한 직장 내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의 영유아부모들의 맞벌이 추세의 증가에 따라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다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알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시설보다 50명 내외 중소규모가 선호되고 전문위탁운영기관에 의한 위탁을 통해 보육프로그램, 시설, 양질의 교사 확보 등이 선행될수록 만족도 또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 전병주;윤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60-271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 북,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3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건강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조직건강의 원장 지도성,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학력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건강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 지도성, 유치원 교사는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등의 영역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 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보통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도 (5-year-old Nuri Course Teacher's Guidebook on Multimedia Content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lash)

  • 박선영;홍순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27-537
    • /
    • 2017
  •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교수학습을 돕는 콘텐츠 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44명이며, 5세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플래시에 대한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5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대체로 만족해하고 도움을 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실제 현장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비교적 낮게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플래시에 대한 유아교사의 활용은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이상이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 소집단 활동영역과 생활주제별에 따른 활용과 만족도는 동화 동시 동극과 이야기나누기, 그리고 우리나라,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만족도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