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인숙, 문혁준 (2012).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놀이신념과 유아리더십이 유아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5), 233-252.
- 고종욱, 류철 (2011).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 그린.
- 교육과학기술부 (2013).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김성숙 (2009).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 김영미, 김현주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1), 231-24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31
- 김정효 (2006). 아동리더십 : 인성교육의 열쇠. 서울: 교육과학사.
- 노인순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노현미, 최외선, 박인전 (2009).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81-292.
- 노형진 (2011). AMOS로 배우는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학현사.
-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with AMOS 17.0. 서울: 학지사.
- 문혁준 (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기질, 또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 박민영 (2014). 유아의 자기조절과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연경 (2009).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보건복지부 (2013). 건강한 국민, 행복한 대한민국. 서울: 보건복지부.
- 서기남 (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심희옥 (2000).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1(1), 19-33.
- 양옥승 (2006). 3-6세 유아의 자기조절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61-187.
- 양옥승 (2013). 영아 자기조절 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유아교육연구, 33(2), 427-443.
- 위영희 (2004). 유아의 정서 능력과 또래 유능성. 교육발전학회지, 23(1), 137-158.
- 이광자 (2014). 유아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또래상호작용과 유아리더십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명숙 (2006). 또래관계에서의 유아리더십 양상과 성 및 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85-106.
- 이명숙, 조희정 (2005).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적합한 유아 리더십교육. 아동복지연구, 3(2), 141-159.
- 이미나, 정주선 (2012).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2), 147-161.
- 이순규 (1994). 자기조절 학습훈련이 아동의 자주적 학습태도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연실 (2010). 유아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3), 151-174.
- 이연실 (2011).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101-135.
-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이채호, 이찬숙 (2009). 유아 리더십과 사회적 능력, 기질 및 어머니 양육태도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89-303.
- 이채호, 최인수 (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 이화정 (2013).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 및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 정유정 (2008).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정유정, 이혜상, 김규수 (2008).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77-293.
- 정회욱, 박병기, 최성욱, 강일국 (2003). 지도력 진단도구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03-15-2.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 차배근, 차경욱 (2013). 사회과학연구방법: 실증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최미숙, 홍성희, 임연자 (2013).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09-129.
-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2), 311-329.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311
- 최수경, 박인전 (2012). 유아의 놀이성, 사회적 유능감, 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0, 55-76.
-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허소영, 김수영 (2013).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분석. 아동교육, 22(3), 231-244.
- 허태근 (2015). 유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45-165.
-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 황윤세 (2010).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 간의 관계.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2), 115-129.
- Arnott, L. (2013). Are we allowed to blink? :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ownership while mediating interactions around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1(1), 97-115. https://doi.org/10.1080/09669760.2013.772049
-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39.x
-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ryn, C. L. S., Spybrook, J. K., Evergreen, S. D. H., & Blinkiewicz, M. V.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ocial-emotional learning scale.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7(3), 283-295. https://doi.org/10.1177/0734282908328619
- Denham, S. A., Blair, K. A., DeMulder, E., Levita, J., Sawyer, K., Auerbach-Major, S., & Queenan, P.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47(1), 238-256.
- Eisenberg, N., & Fabes, R. A. (1992). Young children's coping with interpersonal anger.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63(1), 116-128.
- Fantuzzo, J. W.,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 (3), 411-431.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48-9
- Geangu, E., Benga, O., Stahl, D., & Striano, T. (2011).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s' emotional resonance to a peer in distress : Self-other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20(3), 450-470. https://doi.org/10.1111/j.1467-9507.2010.00596.x
- Gottman, J. (1983). How Children Become Friend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86.
- Gottman, J., Gonso, J., & Rasmussen, B. (1975). Social interactio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6(3), 709-718. https://doi.org/10.2307/1128569
-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 Nelson, A. E. (2011). Leadership aptitude. Leadership Excellence, 28(3), 16-17.
- Ramani, G. B., Brownell, C. A., & Campbell, S. B. (2010).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 in 3- and 4-year-olds in relation to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1(3), 218-250. https://doi.org/10.1080/00221320903300353
- Rubin, K. H., & Coplan, R. J. (1998). Social and nonsocial-play in childhood: An individual differences perspective. In O. N. Saracho, & B. Spodek (Eds.), Multiple perspective on play in early children education (pp.144-170).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Totan, T. (2014). The canonical effect of task articulation, peer relations, and self-regulation 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needs to fields of self-efficacy. Education and Science, 39(171), 331-343.
- Zins, J. E., & Elias, M. J. (2007).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l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7(2-3), 233-255. https://doi.org/10.1080/1047441070141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