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hat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73초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gerstrom Test for Cigarette Dependence in a Sample of Arabic Speaking UK-Resident Yemeni Khat Chewers

  • Kassim, Saba;Salam, Mohamed;Croucher, Ra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285-1288
    • /
    • 2012
  • Background: The Fagerstrom Test for Cigarette Dependence (FTCD) (formally FTND) is widely used for measuring physical dependence on nicotine. Objective: To explore the cross cultur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TCD amongst Arabic speaker cigarette consumers who chew khat leaf, a stimulant green leaf. Method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TCD were assessed in a subsample (91regular cigarette smokers) of purposively selected 204 UK-resident Yemeni khat chewers recruited during random visits to khat sale outlets. Data were collected via a 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tests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wo factors were obtained by a principle axis factor analysis and these were termed as urgency of restoring the level of nicotine after abstinence during sleeping and maintaining the level of nicotine during waking. The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whole FTCD is low (.68) as well as for the two subscales (.60) and (.62)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rabic version of the FTCD scale in this sample of Yemeni khat chewers who smoked regularly confirmed what has been established in other cultural sett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yet to be cross validated amongst other appropriately representative sample of Arabic speakers.

Development of a Semi-automatic Search Program for Crown Delineation Based on Watershed and Valley Following Algorithms

  • Sim, Woodam;Park, Jeongmook;Lee, Jungs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42-144
    • /
    • 2018
  •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emi-automatic search program for crown delineation in stand level. The crown of an individual tree was delineated by applying the Watershed (WS) and Valley Following (VF) algorithms.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s were used in the semi-automatic search program to delineate the crown area. The overall accuracy and Khat were used in accuracy assessment. WS algorithm's model showed the overall accuracy and Khat index of 0.80 and 0.59, respectively, in Plot 1. However, the overall accuracy and Khat of VF algorithm's model were 0.78 and 0.51, respectively, in Plot 2.

고려 수지침 요법의 항바이라스 및 세포재생 효과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Antiviral and Cell Regeneration Effects of the Korean Hand Acupuncture(Koryo Sooji Chim) Therapy)

  • 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4
    • /
    • 2023
  • 배경: 고려수지침을 이용한 항바이러스성 치료에 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상태이다. 목적: Herpesvirus-2에 감염된 환자에 대한 수지침 자극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환자에 대한 수지침의 자극은 압봉 1호와 지압봉을 이용하여 수지 혈 자리에 부착하고, 5일간을 지나서 환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대상자 3명에 수지침혈 자리에 자극하면서 매일 관찰한 결과 20대의 환자는 3일째, 50대는 4일째, 그리고 70대는 5일째에 완치가 되었다. 결론: 수지침 자극으로 바이러스 감염으로 파괴된 세포가 재생되었고, 세포 내의 바이러스의 증식도 사라졌다. 수지침을 이용한 항바이러스성 치료가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KOMPSAT-2 화상기반의 중분류 토지피복도에 대한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for Intermediate-Classified Land Cover Map Based on KOMPSAT-2 Imagery)

  • 김천;홍성후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25
    • /
    • 2009
  • 본 논문은 기 구축된 환경부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올해 KOMPSAT-2 화상으로 갱신하기 위한 예비연구에서 분류결과의 정확도 평가를 중점적으로 나타낸다. KOMPSAT-2 화상기반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는 객체지향의 분류기법을 이용하였고, 경계선 수정의 경우 반자동 기법에 의해 제작되었다. 계통표집과 임의표집에 의한 Kappa 분석에서 계통 표집의 KHAT값은 0.81, 임의표집의 KHAT값은 0.89를 각각 가지므로 거의 완벽의 일치성을 표시한다. 따라서 전술한 지도화 방법을 통해 제작된 KOMPSAT-2 화상의 중분류 토지피복도는 이용자에게 토지피복정보의 신뢰성도 함께 제공한다.

  • PDF

단일 시기의 Landsat 7 ETM+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작성 (Fire Severity Mapping Using a Single Post-Fire Landsat 7 ETM+ Imagery)

  • 원강영;임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4호 Proceedings of the 2001 KSRS Spring Meeting
    • /
    • pp.71-76
    • /
    • 2001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산불피해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KT(Kauth-Thomas)변환기법과 IHS(Intensity-Hue-Saturation)변환기법을 적용하여 비교해 보고 산불피해등급지도를 작성하였다. 방사보정과 지형보정을 수행한 영상을 각각 IHS와 KT로 변환시킨 후 최대우도법에 의하여 분류하였다. 정확도 평가에서 KHAT statistic은 각각 0.67와 0.76을 나타내었다. 현장데이터가 부족하여 cross-validation을 수행하였으며, 일관되게 KT변환기법에 의한 분류결과가 IHS기법에 의한 분류결과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KT feature space 와 IHS 컴포넌트의 분광 분포를 그래프 상에서 분석해 보았다. 3개의 KT feature 중, greenness와 wetness가 brightness 보다 각 클래스에 대해서 보다 높은 분리성을 제공하였다. 하니만 IHS 컴포넌트의 분광분포는 뚜렷한 분리성이 나타나지 않고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KT변환기법이 IHS변환기법보다 산불피해지역을 추출함에 있어 더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산불과 관련된 지표의 물리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표준화 주성분 분석(Standardized PCA)을 이용한 LANDSAT 위성자료 분류 (Classification)의 정확도 향상 (LANDSAT remotely sensed data's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 Using Standardiz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장훈;윤완석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3년도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5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LANDSAT ETM+ 수도권 영상을 이용하여 도시지역 10개소, 식생지역 10개소를 선정해서 각각에 대해 표준화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두 지역간의 고유벡터 매트릭스를 비교ㆍ분석해보았다. 도시 지역과 식생 지역각각에 대해 총 6개의 주성분이 생성되었으며 PC-2와 고유벡터 부호가 변한 밴드(band2, band7)를 RGB로 조합하여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분류(Classification)한 결과의 정확도를 분광서명 분별 분석(Signature Separability Analysis)통해 얻은 밴드조합(band1, band3, band5) 영상의 분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수원지역 2000년 IKONOS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4×4m)와 전정색 밴드(1x1m)를 융합한 영상이 분류 정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비교결과 분류 전체 정확도는 각각 87.7%, 77.29% Khat 지수는 0.83, 0.68로 나타나 PC-2, 밴드2, 밴드7을 이용했을 때 분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Jazan, Saudi Arabia: A Hospital Based Case Control Study

  • Quadri, Mir Faeq Ali;Alharbi, Fahd;Bajonaid, Amal Mansoor S;Moafa, Ibtisam Hussain Y;Sharwani, Abubakker Al;Alamir, Abdulwahab Hussain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335-4338
    • /
    • 2015
  • Background: Oral cancer is the third most common malignancy in Saudi Arabia, the highest incidence of which is reported from Jazan provi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various locally used substances, especially shamma, with oral cancer in the Jazan region of Saudi Arabia. Materials and Methods: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was designed and patient records were scanned for histologically confirmed oral cancer cases. Forty eight patients who were recently diagnosed with oral cancer were selected as cases. Two healthy controls were selected for each observed case and they were matched with age (+/- 5 years) gender and location. Use of different forms of tobacco such as cigarettes, pipe-smoking and shamma (smokeless-tobacco) was assessed. Khat, a commonly used chewing substance in the community was also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follow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and without interaction) to deriv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s). Results: Mean age of the study sample (56% males and 44% females) was 65.3 years.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hamma use increased the odds of developing oral cancer by 29 times (OR=29.3; 10.3-83.1). Cigarette (OR=6.74; 2.18-20.8) was also seen to have an effect. With the interaction model the odds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for shamma users (OR=37.2; 12.3-113.2) and cigarette smokers (OR=10.5; 2.88-3.11). Khat was observed to have negative effect on the disease occurrence when used along with shamma (OR=0.01; 0.00 - 0.65).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shamma, a moist form of smokeless tobacco is a major threat for oral cancer occurrence in the Jazan region of Saudi Arabia. This study gives a direction to conduct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in the region with increased sample size representing the population in order to provide more substantial evidence.

신종 마약류 증가에 따른 대응방안 (Study on Countermeasures Against Increasing New Drugs)

  • 신재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70-279
    • /
    • 2023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신종 마약류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근절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의 연구이다. 연구방법: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의 선행연구 및 통계, 해외 자료 등을 이용하여 신종 마약류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과거에 비해 국내로 마약류 투약·유통·제조하는 마약류 범죄자의 적발 사례가 급격하게 증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1년 마약류 관련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2021년에는 전년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적발되는 마약량은 세배 이상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마약사범이 급벽하게 증가하고 있고, 마약류 사범의 연령대가 감소하는 우려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종 마약류 확산이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특히 펜타닐과, 야바, 까뜨, 크라톰 등과 같은 신종마약류의 확산과 새로운 향정신성의 의약품 및 대마관련 물품의 영향이라고 보여진다. 결론: 신종마약류의 확산에 따라 임시마약류 지정방식을 간소화하고 외국인 마약사범의 단속을 확대하고, 관세청 및 식약청 등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마약사범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통하여 신종마약류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해 본다.

QuickBird 화상을 이용한 산불 삼림교란도 작성 (Fire-Induced Forest Disturbance Mapping by Using QuickBird Imagery)

  • 김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5-94
    • /
    • 2009
  • 본 논문은 중적외선 밴드가 없는 고해상도 QuickBird 화상을 이용하여 옥계 산불피해지의 삼림교란 지도화에 관한 연구이다. Landsat ETM+ ${\Delta}NBR$에 기초한 QuickBird NBR을 통해 산불피해등급도 보다 발전된 산불후 삼림교란도를 작성하였다. 무엇보다 QuickBird 수분지수와 Landsat ETM+ 7(중적외선)밴드 간의 상관계수에 QuickBird 수분지수를 곱한 치환수치로 생성되는 MIR모의밴드를 통해 산불피해 등급도와 산불후 삼림교란도가 제작된다. QuickBird NBR기반의 산불후 삼림교란도는 Landsat ETM+ ${\Delta}NBR$기반의 산불피해등급도와의 비교 정확도 평가에서 본질적 확실의 높은 일치성(KHAT값=0.7886)을 갖고 있어, 산불피해지의 자연복원 나아가 삼림벌채로 야기된 삼림교란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on Knowledge of Oral Cancer among the Youth of Jazan, Saudi Arabia

  • Quadri, Mir Faeq Ali;Saleh, Sanaa Mahmoud;Alsanosy, Rashad;Abdelwahab, Siddig Ibrahim;Tobaigy, Faisal Mohamed;Maryoud, Mohamed;Al-Hebshi, Nez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1913-1918
    • /
    • 2014
  • Background: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to be conducted in Saudi Arabia (KSA), aiming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oral cancer among the yout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51 young Saudis (57% males and 43% females with a mean age of $20.4{\pm}1.98$) were selected using multi-stage cluster sampling. Knowledge assessment was accomplished using a closed-ended questionnaire which was subjected to reliability tests. Prevalence of risk factors in relation to gender was analyzed using the chi-squared test. Effectiveness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means, using the two-tailed paired t-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in order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awareness of risk habits, signs/symptoms and prevention of oral cancer. The significance level in this study was set at 0.05. Results: Females were seen to be more into the habit of sheesha smoking (3.3% rather than the use of other forms of risk factors. Prevalence of diverse risk factors such as cigarette smoking (20%), sheesha (15.3%), khat (27%) and shamma (9%) was seen among males. Gender and the use of modifiable risk factors among the study sample were significantly (p<0.001) associated with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highly effective (p<0.001)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oral cancer among the youth in Jazan, KSA.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age and gender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knowledge. Conclusions: The study gives a direction for further public health initiatives in this oral cancer prone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