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rp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초

관전압 변화에 다른 실험적 골결손부의 방사선사진상의 판독 (RADIOGRAPHIC INTERPRETATION OF EXPERIMENTALLY PRODUCED BONY DEFECT ACCORDING TO kVp)

  • 남혜경;최갑식;김진수
    • 치과방사선
    • /
    • 제20권2호
    • /
    • pp.265-276
    • /
    • 1990
  • 가격 5마리의 하악에 치근단부위 병소 60례와 해면골내 병소 60례를 다양한 크기의 bur로 형성한 후 관전압을 변화시켜 촬영한 방사선 사진을 육안적으로 판독하고 농도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흑화도가 일정한 경우 65-85kVp범위내의 관전압 변화는 크기가 같은 골내병소의 판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2 병소가 2번 bur이하의 작은 크기일 때 1번 bur병소에 대한 2번 bur병소의 판독은 치근단 병소는 80kVp 이상의 관전압에서 판독이 용이하였으며 (P<0.05), 해면골내 병소는 75kVp이하의 관전압에서 판독이 용이하였다.(p<0.05) 3. 해면골내 한정된 병소는 치밀골을 포함한 병소와 육안적 판독의 차이가 있었으나(p<0.05). 해면골과 치밀골간의 경계부를 포함한 병소와는 육안적 판독의 차이가 없었다. (p>0.05). 4. 농도계로 분석한 결과 육안적 판독점수가 같았던 경우에도 농도계 계측치는 차이가 있었으며, 0.15-1.66㎜정도의 aluminum등 가치차이가 있어야 육안적으로 병소판독이 가능하였다.

  • PDF

방사선조사에 따른 백서 악하선내 혈관 내피세포 미세구조의 조기변화 (EARLY IRRADIATION EFFECTS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CAPILLARY ENDOTHELIAL CELL IN THE RAT SUBMANDIBULAR GLANDS)

  • 류정수;손정익;배용철;최갑식
    • 치과방사선
    • /
    • 제25권1호
    • /
    • pp.71-8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irradiation changes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capillary endothelial cell in the rat submandibular glands. For the study, 110 Sprague-Dawley strain male rats were singly irradiated to their neck regions with the doses of 2Gy, 5Gy, and 10Gy by 6MV X -irradiation, and sacrificed on the 3 hours, 6 hours, 12 hours, 1 day, 3 days, 7 days, and 14 days after irradiation. The authors observed the histologic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capillary endothelial cell using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 In the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the capillary dilation was observed on the 6 hours group and the capillary density was slightly increased on the 12 hours group after 2Gy and 5Gy irradiation. And luminal size and capillary density were decreased on the 3 days and the 7 days groups after irradiation, after then, they were recovered. But capillary density was still decreased on the 14 days group after 10Gy irradiation. 2. In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mild proliferation of cytoplasmic process of the endothelial cell and reduction in luminal size were observed on the 3 hours group after irradiation. After then, endothelial swelling, marked proliferation of cytoplasmic process, thickened basal lamina, and numerous pinocytotic vesicles were observed after the 1 day group after irradiation. Thickened basal lamina and numerous pinocytotic vesicles were still observed until the 7 days group after irradiation. These changes were recovered to normal on the 14 days group after 2Gy and 5Gy irradiation, but not after 10Gy irradiation. 3.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dilation of conduits and constriction, and meandering were observed on the 1 day group after 10Gy irradiation. These changes were observed with increased coarseness of the surface of the vascular resin casting on the 3 days group after irradiation. 4. From the above results, endothelial swelling, proliferation of cytoplasmic process, and thickening of the basal lamina appeared before the 6 hours group after irradiation. And these changes may also induce the increase of the capillary number and luminal size, after then, capillary permeability was increased via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inocytotic vesicles. The changes were observed earlier and more apparent with the increase of the irradiation doses under the dose of 10Gy irradiation.

  • PDF

분산 환경의 대규모 클러스터를 관리하기 위한 RISE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ISE for Managing a Large Scale Cluster in Distributed Environment)

  • 박두식;양우진;반민호;정갑주;이종현;이상문;이창성;신순철;이인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7호
    • /
    • pp.421-4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클러스터 시스템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3-tier 구조의 원격 설치 및 백업 방안을 소개한다. 최근에는 클러스터 시스템이 수백 노드 이상의 대규모 시스템이며, 공인망과 사설망이 혼재되는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클러스터 시스템에 적합한 클러스터의 OS 설치와 원격지에서 클러스터 노드의 장애를 효과적으로 복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2-tier 구조의 클러스터 설치 및 이미지 백업 방법들은 공인망과 사설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클러스터의 경우, 원격지에서 접근과 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3-tier 구조의 RISE(Remote Installation Service Environment)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RISE 시스템은 2-tier 구조의 마스터 노드 역할을 관리노드(GRISE)와 지역관리노드(LRISE)로 나누어줌으로써 다양한 네트워크환경하에서 초기설치 및 장애 발생시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관리노드와 지역관리 노드들의 동기화 기능을 통해 지역관리노드들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있다. 64개 노드의 클러스터 시스템과 Gigabit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한 실험을 통하여, 1.86 GByte의 시스템 이미지를 5분 53초 안에 확보 할 수 있었고, 64개 노드 클러스터 시스템의 초기설치 작업을 평균 17분 38초 안에 완료할 수 있었다.

남극 연안생태계에서 일차생산력의 계절변화 (The 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Antarctic Coastal Ecosystems)

  • 김해철;양성렬;배세진;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2호
    • /
    • pp.80-89
    • /
    • 1998
  • 남극 내만 생태계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에 따른 분포 및 생리상태, 그리고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남극에 위치한 Maxwell 만과 Marian 소만에서 1994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색소량, 일차생산력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 동안 관측한 chlorophyll a의 농도는 미검출 수준(not detected)~3.03 ${\mu}g/l$ (평균 0.63 ${\mu}g/l$)의 비교적 큰 변화를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0.53~18.95 mg C/$m^3{\cdot}day$를 기록하였으며, 수층적분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은 41.28~560.20 mg C/$m^3{\cdot}day$의 범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일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2$=0.29, p < 0.01), 일차생산력은 일사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나($r^2$=0.85, P < 0.001), 온도와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절하는데 기여하지 않았다.

  • PDF

함치성 낭의 임상 방사선학적 연구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DENTIGEROUS CYSTS)

  • 이강숙;최갑식
    • 치과방사선
    • /
    • 제25권2호
    • /
    • pp.399-408
    • /
    • 1995
  • 악골의 매복치아와 관련된 단방성의 치관부 방사선투과상을 나타내는 병소들 중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함치성 낭으로 진단된 233증례들의 임상, 방사선학적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함치성 낭은 10대(38.2%)에서 가장 호발되었으며, 남성(67.4%)에서 더 많았다. 2. 주소는 무통성의 종창(33.9%)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외과적으로 치료되었으며 적출술(76.6%) 또는 조대술(23.4%)이 사용되었다. 3. 병소는 중심형(72.5%)이 대부분이었으며, 병소의 크기는 2~2.9cm인 경우(33.0%)가 가장 많았다. 4. 병소는 상악에서는 전치부(32.6%), 하악에서는 구치부(22.7%)에서 호발되었으며, 원인치아는 상악 과잉치(34.3%)에서 가장 많았다. 5. 주변 정상 골조직과의 경계는 과골성의 분명한 골경화로 나타난 경우(49.8%)가 가장 많았으며, 병소의 변연형태가 평활한 경우(73.4%)와 병소 내부의 방사선투과상이 균일한 경우(79.4%)가 대부분이었다. 6. 병소와 관련된 피질골의 비박과 팽융이 대부분의 경우(82.0%)에서 나타났으며, 그 방향은 협측인 경우(64.0%)가 가장 많았다. 7. 병소가 발생된 치아의 전위(41.2%)와 치관발육의 지연(19.3%)이 나타났으며, 원인치아의 백악ㆍ법랑 경계부와 치아부착부 사이의 거리는 2mm미만인 경우(79.6%)가 가장 많았다. 8. 병소와 관련된 치아의 치조백선 소실(66.8%), 치근 흡수(33.9%), 치아 전위(31.5%)가 관찰되었으며, 하악관의 전위(46.5%)와 상악동 또는 비강의 전위(72.2%)가 관찰되었다.

  • PDF

Radiopacity of contemporary luting cements using conventional and digital radiography

  • An, Seo-Young;An, Chang-Hyeon;Choi, Karp-Sik;Huh, Kyung-Hoe;Yi, Won-Jin;Heo, Min-Suk;Lee, Sam-Sun;Choi, Soon-Chu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8권2호
    • /
    • pp.97-10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adiopacity of contemporary luting cements using conventional and digital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Disc specimens (N=24, n=6 per group, ø$7mm{\times}1mm$) were prepared using 4 resin-based luting cements (Duolink, Multilink N, Panavia F 2.0, and U-cem). The specimens were radiographed using films,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and a photostimulable phosphor plate (PSP) with a 10-step aluminum step wedge (1 mm incremental steps) and a 1-mm-thick tooth cut. The settings were 70 kVp, 4 mA, and 30 cm, with an exposure time of 0.2 s for the films and 0.1 s for the CMOS sensor and PSP. The films were scanned using a scanner. The radiopacity of the luting cements and tooth was measured using a densitometer for the film and NIH ImageJ software for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CMOS sensor, PSP, and scanned film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Results: Multilink (3.44-4.33) showed the highest radiopacity, followed by U-cem (1.81-2.88), Panavia F 2.0 (1.51-2.69), and Duolink (1.48-2.59). The $R^2$ values of the optical density of the aluminum step wedge were 0.9923 for the films, 0.9989 for the PSP, 0.9986 for the scanned films, and 0.9266 for the CMOS sensor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s. Conclusion: The radiopacities of the luting materials were greater than those of aluminum or dentin at the same thickness. PSP is recommended as a detector for radiopacity measurements because of its accuracy and convenience.

악골 섬유성 골병소의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Fibro-osseous lesions of the jaw bones)

  • 권경윤;최갑식
    • 치과방사선
    • /
    • 제28권1호
    • /
    • pp.27-3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features of the fibro-osseous lesions in the jaws. For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and analysed the clin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71 cases of 68 patients in fibrous dysplasia, 35 cases of ossifying fibroma and 30 cases of 16 patients of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diagnosed by clinical and radiographic 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L Fibrous dysplasia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2nd decade (30.0%), ossifying fibroma in the 3rd-4th decades,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in the 4th decade, and all of three lesions showed slight predilection in females. In most cases, chief complaints were painless facial swelling in fibrous dysplasia and ossifying fibroma, and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was found accidentally in radiographs. 2. Fibrous dysplasia wa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maxilla, ossifying fibroma in mandible and both lesions in premolar-molar area.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was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mandibular anterior area. The size of fibrous dysplasia was larger than that of ossifying fibroma, and the shape of ossifying fibroma was more round and elliptical than fibrous dysplasia whose was fusiform. 3. Fibrous dysplasia was shown homogeneous radiopaque shadow of 57.6% and ossifying fibroma &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were shown mixed appearance of radiolucency and radiopacity shadows at 74.2%, 60.0%, respectively. 4. Fibrous dysplasia was entirely shown poorly defined at 87.7%, but ossifying fibroma &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were shown well outlined at 60.0%, 70.0%, respectively. 5. Cortical thinning and expansion were observed in fibrous dysplasia and ossifying fibroma, and severe in ossifying fibroma than fibrous dysplasia, and those signs were not seen in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Loss of lamina dura was dominant in fibrous dysplasia and root resorption was dominant in ossifying fibroma. Displacement of mandibular canal and the degree of the increase of vertical dimension were alike in both lesions. Displacement of maxillary sinus or nasal cavity, thinning & expansion of the maxillary sinus were dominant in fibrous dysplasia. 6.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was occurred at 5.9%, Multiple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at 43.7%. Occurrence rate in the edentulous area of fibrous dysplasia and ossifying fibroma were 7.0%, 8.6%, respectively.

  • PDF

p53 암억제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pOPINEneo-3C-GFP 벡터의 효율 분석 (Analysis of Efficiency of Recombinant pOPINEneo-3C-GFP Vector with p53 Tumor Suppression Gene Inserted)

  • 사영희;최창식;이기환;홍성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3-536
    • /
    • 2019
  • 재조합 배큘로 바이러스는 배양 된 곤충 세포에서 이종 유전자를 발현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재조합 배큘로 바이러스는 광범위한 포유류 세포 유형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위한 유전자 전달 벡터로서 작용할 수있다. 바큘로 바이러스 시스템은 안전성, 대규모 및 높은 수준의 유전자 발현 관점에서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pOPINEneo-3C-GFP 벡터로부터 재구성 된 바큘로 바이러스 벡터를 사이토 메갈로 바이러스 (CMV) 프로모터, 강화 된 녹색 형광 단백질 (EGFP) 및 p53과 NcoI 및 XhoI로 재조합시켰다. 이러한 재조합 벡터를 다양한 세포 및 세포주에 감염시켰다. 이와 같이 개발 된 바큘로 바이러스 벡터는 재조합 유전자의 전이 및 발현을 통상적 인 벡터와 비교하여 분석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바큘로 바이러스 벡터가 대조군 벡터보다 전이 및 전이에서 더 높은 효율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과학 기술부, 한국 정보 기술 진흥 기금 (MSIP)이 후원하는 한국 연구 재단(NRF)을 통해 중견 연구원 프로그램 (NRF-2016R1A2B4016552)을 통해 지원되었다.

  • PDF

파노라마방사선사진상의 이공에 관한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THE POSITION AND SHAPE OF MENTAL FORAMEN IN PANORAMIC RADIOGRAPHS)

  • 최갑식;배용철;김동윤;손정익
    • 치과방사선
    • /
    • 제27권1호
    • /
    • pp.189-201
    • /
    • 1997
  • 22세에서 25세의 남녀 각각 10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표준 위치에서 촬영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이공의 정상적 형태 및 위치를 분석하고, 다시 남녀 각각 50명씩 100명을 선별하여 두부를 10mm 전방 이동, 10mm 후방 이동, 10° 하방 이동, 그리고 10° 상방 이동시킨 후 촬영된 각각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피사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이공의 형태 및 수평, 수직적 위치의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 공의 형 태 는 elliptic질형 (43.3%), round 또는 oval형 (42.5%), unidentified형 (7.5%), diffuse형(6.7%)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2. 이공이 치아에 대한 수평적 위치는 제2소구치 부위(54.2%)와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43.1%)에서 대부분 관찰되었으며,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2.7%)의 순으로 관찰되었고, 제1소구치 부위,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 제1대구치 부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이공의 수직적 위치는 치근단 하방(88.2%)에서 대부분 관찰되었으며, 치근단에 접하는 경우(9.7%), 치근단과 겹쳐 나타난 경우(1.9%), 치근단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0.2%)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4. 피사체 두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이공의 형태 변화는 표준 위치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표준 위치에서 두부를 10mm전방 이동시킨 위치에서 unidentified형(9.0%)이 증가하였고, 두부를 10mm 후방 이동시 킨 위치와 피사체의 턱을 10° 상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round 또는 oval형(57.5%, 52.5%)이 각각 증가하였으며, 피사체의 턱을 10° 하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diffuse형(3.5%)이 감소한 것 외에는 표준 위치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5. 피사체 두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이공의 수평적 위치의 변화는 표준 위치에서 두부를 10mm 전방 이동시킨 위치에서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에 위치한 경우(35.2%)가 감소한 반면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위치한 경우(8.8%)는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두부를 10mm후방 이동시킨 위치와 피사체의 턱을 10° 상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에 위치한 경우(6.1%, 7.5%)가 더 많이 관찰되었으며, 피사체의 턱을 10° 하방 이동시킨 위치에서는 표준 위치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6. 피사체 두부 위치의 변화에 따른 이공의 수직적 위치 변화는 치근단에 비해 하방에 위치한 경우가 약 90%로 대부분이었으며, 치근단에 접하는 경우, 치근단과 겹쳐 나타난 경우의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치근단에 비해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파노라마 촬영시 두경부 주요기관에 대한 흡수선량 분포 (DISTRIBUTION OF ABSORBED DOSES TO THE IMPORTANT ORGANS OF HEAD AND NECK REGION IN PANORAMIC RADIOGRAPHY)

  • 김병삼;최갑식;김진수
    • 치과방사선
    • /
    • 제20권2호
    • /
    • pp.253-264
    • /
    • 1990
  • PanelipseⅡ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시 두 경부 주요기관의 방사선 흡수선량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LiF(TLD-100/sup R/) 열발광선량계를 phantom (RT-210 Humanoid Head & Neck Section/sup R/)내부의 중요 해부구조물과 피부표면에 위치시켜 관전류 4㎃와 노출시간 20초의 조건하에서 관전압변화(65kVp. 75kVp, 85kVp)에 따른 방사선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내부해부구조물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비인강부위에서 104mGy, 1.065mGy, 2.09mGy로써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하선의 내엽부위에서는 0.525mGy, 0.579mGy, 1.108mGy로, 악하선부위에서는 0.481mGy, 0.608mGy, 1.191mGy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85kVp에서만 흡수선량이 측정된 안구와 갑상선부위는 0.172mGy와 0.128mGy로써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피부표면의 방사선 흡수선량은 제1경추 후방부위에서 1.263mGy, 1.538mGy, 2.952mGy로써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하선부위에서는 0.267mGy, 0.401mGy, 0.481mGy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인중부위는 0.057mGy, 0.068mGy, 0.081mGy, 85kVp에서만 흡수선량이 측정된 턱의 중앙부위는 0.059mGy로써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내부해부구조물의 방사선 흡수선량 증가는 65kVp에서 75kVp로 증가함에 따라 1.1배로 나타났으며, 76kVp에서 85kVp로 증가시에는 1.9배로 나타났다. 관전압 증가에 따른 피부표면의 방사선 흡수선량 증가는 65kVp에서 75kVp로 증가함에 따라 1.3배로 나타났으며, 75kVp에서 85kVp로 증가시에는 1.6배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