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M3.0

검색결과 1,988건 처리시간 0.03초

트레드밀 전·후방 보행과 속도에 따른 다리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Gait Pattern and Speed on the Treadmill)

  • 최석화;전혜림;이규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5-61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muscle activation of leg muscles with forward and backward gait and treadmill speed. Method: The experimenter is a healthy ten male and female. They practice walking on the treadmill for 2 minutes and then walk 2km/h and 4km/h in front and back for 3 minutes. Muscle activities were recorded from the lower limb muscles (rectus femoris [RF], biceps femoris [BF], gastrucnemius [GCM]).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lower extremity muscles have higher backward gait than forward gait. Conclusion: Muscle activity at the speed indicated that the muscular activity of the lower limbs was 4.0km/h, which is higher than 2.0km/h.

비보호좌회전 확대에 따른 주기감소가 도심연동체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raffic Signal Progression on a CBD for Reducing Traffic Signal Cycle as Expansion of Permissive Left-Turn)

  • 정진형;권용석;최기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59-565
    • /
    • 2016
  • 본 교차로에 각 방향별 이동류의 상충해소를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교통신호제어는 차량증가에 따라 여러 교차로를 연계하여 정지와 지체시간을 최소화하는 간선도로 제어 목적으로 바뀌었고 이를 위해 교통신호운영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 가로축 연동체계를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보호좌회전확대로 운영되는 선직진 후좌회전 체계와 기존 실시간 대응제어 신호운영체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비교 분석을 위해 4개시 5개 지역을 선정 평균 교차로 간격, 연동 가로축 거리 등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 신호운영체계의 교통처리용량은 실시간 대응제어 신호운영체계의 교통처리용량 보다 주기 160초 때 차로 당 286대, 140초 경우 308대, 120초 경우 264대가 증가하여 1차로 도로확장을 한 만큼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로축 연동에 대해서도 가로축 길이 2.0~3.0km, 2.0km미만에서 분석 주기(160초, 140초, 120초) 모두에서 연동밴드 폭이나 정지횟수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우리나라 1등 수준망 조정 (Adjustment of 1st order Level Network of Korea in 2006)

  • 이창경;서용철;전부남;송창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6
    • /
    • 2008
  •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은 1974년부터 1986년간 관측된 자료를 1987년 동시 조정된 바 있다. 이후,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전자레벨과 바코드 함척을 이용하여 1등 수준망에 대한 직접수준측량 실시하였고, 본 연구는 이들 관측자료 분석 및 수준망 조정 결과이다. 우리나라 1등 수준망은 총 36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34노선이 11개 폐합 환을 구성한다. 1등 수준측량 관측자료 중 4개 노선은 1등 수준측량 허용 왕복차를 초과하였으며, 3개 수준환은 허용 환 폐합차를 초과하였다. 수준점간 왕복차의 표준오차(${\eta}_1$)는 $0.2{\sim}1.7mm/{\surd}km$, 환 폐합차의 표준오차(${\eta}_2$)는 $2.0mm/{\surd}km$로 IGA의 고정밀 수준측량기준을 충족하였다. 1등 수준망은 1점(수준원점) 고정방식에 의한 망조정이 수행되었으며, 기준 표준오차($\hat{{\sigma}_0}$)는 $1.8mm/{\surd}km$로, 1987년 1등 수준망 조정의 기준 표준오차($\hat{{\sigma}_0}$)보다 2배 향상된 결과이다.

순천만과 벌교 하구 연안습지의 2009년 기준 갈대 및 칠면초 우세 군집 분포양상과 면적 제시 (The 2009-based detailed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of Phragmites communis-dominant and Suaeda japonica-dominant communities on the Suncheon-bay and Beolgyo estuarine wetlands)

  • 홍석휘;전승수;엄진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7
    • /
    • 2015
  •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습지의 퇴적상은 대부분 실트질 니와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계절변화는 매우 작았고, 지형구배는 경사도가 $0.0007{\sim}0.002^{\circ}$로 매우 평탄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염생식물은 평균해수면보다 0.7~1.8 m 높은 곳을 점하고 있었으며, 갈대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1.1~1.8 m, 칠면초 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0.7~1.3 m 높은 고도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생육하고 있다. 2009년 분포를 기준으로 순천만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79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22km^2$로, 총 면적은 약 $1.01km^2$이다. 벌교천 하구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 면적은 약 $0.31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031km^2$이며, 총 면적은 약 $0.341km^2$이다. 순천만-벌교 하구 염습지에서 각기 105개와 60개의 염생식물 단위군락의 분포양상과 면적이 제시될 수 있었다. 2008/2009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양상과 면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염습지인 해당 연구지역에서 향후 염습지 관련 모니터링의 기본자료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라디오존데 고층관측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2019년도 여름철 대기 안정도 특성 분석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Stability from Radiosonde Observation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ummer of 2019)

  • 신승숙;황성은;이영태;김병택;김기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96-503
    • /
    • 2021
  •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여름철 대기 안정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 특성에 맞는 강수 예측을 위한 대기 안정도 지수의 정량적인 임계값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성 표준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2019년도 여름철 라디오존데 집중관측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총 관측자료는 243개 이다. 강수 유무 및 중규모 대기 현상에 대한 대기 안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대류가용잠재에너지(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와 폭풍지수(Storm Relative Helicity, SRH)를 비교하였으며 특히 SRH 분석은 고도 별로 총 4개의 층으로(0-1, 0-3, 0-6, 0-10 km) 세분화하였다. 강수 유무에 따른 분석은 강수가 없는 경우, 강수발생 전 12시간, 강수 발생 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19년도 보성에서 발생한 여름철 강수 예측에는 CAPE 보다 SRH가 더 적합하며 0-6 km SRH가 약한 토네이도가 발생가능한 기준과 같은 150 m2 s-2 이상일 경우 강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 된다. 또한, 장마와 태풍 기간의 대기 안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SRH는 대기 깊이가 두꺼워 질수록 값이 커지는 데 반해서 0-10 km SRH 평균값 보다 0-6 km 의 SRH 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2019년도 보성에서 발생한 태풍에 의한 강수를 판별하는 데는 0-6 km 의 SRH 값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한 지진의 지속시간과 H/V 비율 (The Duration and H/V ratio of the Ground Motion in Southern Korea)

  • 최호선;박창업;조남대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50
    • /
    • 2002
  • The duration and H/V ratio(the amplitude ratio of the horizontal to vertical components) of ground motions caused by earthquakes in southern Korea are analyzed. Total 329 seismograms of horizontal component recorded at hypocentral distances of 10 to 350 km from 27 earthquakes with local magnitude 2 to 4 are used for the analysis. Simplified 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ground motion( $T_{d}$) and the ratio($\chi$) of Arias intensity( $I_{A}$) and squared maximum acceleration($\alpha$$_{max}$$^{2}$) is determined to be $T_{d}$ = 3.423$\chi$$^2$+ 8.200$\chi$ + 0.029, which is useful for the estimation of the duration in southern Korea. There are three distinct distance ranges with different linear variations of the duration in hypocentral distance. They are distance intervals of 10~80km, 80~140km, and the distance greater than 140km. The duration in southern Korea shows clear proportionality to the local magnitude at magnitudes greater than 3.1. The value 1.37 of the H/V ratio obtained in southern Korea is similar to the value 1.4 of ENA(Eastern North America). The H/V ratio in southern Korea increases in the frequency range from 0.3 to 10Hz. The duration and H/V ratio of ground motions deriv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stochastic simulation of strong ground motion.ion.n.n.

  • PDF

브레이크 디스크 커버의 제동 열손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Braking Thermal Damage of Brake Disk Cover)

  • 고광호;문병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71-178
    • /
    • 2015
  • 디스크 커버는 브레이크 디스크 및 캘리퍼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고, 고객에게 인도되기 직전에 제거된다. 본 연구에서 디스크 커버의 온도는 주행 시험 차량(2000cc, 디젤)을 대상으로 측정되었다. 주행 시험(120km/h-제동(0.3G)-정지-120km/h-제동(0.5G)-정지)에서 측정된 최고 온도는 디스크 커버 상부에서 $260{\sim}270^{\circ}C$이었고, 디스크 커버 주위에 상당한 변화를 보였다. 이는 고온 디스크로부터 커버로의 주요 열전달이 대류를 통해서임을 커버 주위의 온도 분포로부터 추론 할 수 있다. 즉, 마찰 제동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공기가 디스크 커버 상부까지 올라간 것이다. 그리고 주행 시험 중에 디스크 커버의 상부 영역만이 용융되었다. 디스크 커버의 두께를 0.7mm부터 1.0mm로 증가시키고, 마스킹 테이프 1장을 디스크 커버 상부 영역에 부착하였다. 그 후에 디스크 커버는 주행 시험 시 마찰 제동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공기에도 변형되지 않았다.

Spatio-temporal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 Lim, Woo-Ri;Park, Won-Bae;Lee, Chang-Han;Hamm, Se-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39-556
    • /
    • 2022
  • In the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composed of volcanic rocks, saltwater intrusion occurs due to excessive pumping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Ground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in multi-depth monitoring wells in coastal areas were characterized from 2005 to 2019. During the period of the lowest monthly precipitation, from November 2017 until February 2018, groundwater level decreased by 0.32-0.91 m. During the period of the highest monthly precipitation, from September 2019 until October 2019, groundwater level increased by 0.46-2.95 m.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between the dry and wet seasons ranged from 0.79 to 3.73 m (average 1.82 m) in the eastern area, from 0.47 to 6.57 m (average 2.55 m) in the western area, from 0.77 to 8.59 m (average 3.53 m) in the southern area, and from 1.06 to 12.36 m (average 5.92 m) in the northern area. In 2013, when the area experienced decreased annual precipitation, at some monitoring wells in the western area, the groundwater level decreased due to excessive groundwater pumping and saltwater intrusion. Based on EC values of 10,000 ㎲/cm or more, saltwater intrusion from the coastline was 10.2 km in the eastern area, 4.1 km in the western area, 5.8 km in the southern area, and 5.7 km in the northern area. Autocorrelation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revealed that the arithmetic mean of delay time was 0.43 months in the eastern area, 0.87 months in the northern area, 10.93 months in the southern area, and 17.02 months in the western area. Although a few monitoring well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nearby pumping wells,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of the groundwater level was the highest with precipitation in most wells. The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indicated that the groundwater level will decrease in most wells in the western area and decrease or increase in different wells in the eastern area.

하수관거보수 순위결정을 위한 침입수/유입수량에 대한 정량/정성 분석의 실행 연구 (A Quantitative/Qualitative Study of Infiltration/Inflow for Order Decision of Sewer pipe Maintenance)

  • 박명균;김대성;안원식;오정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2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quantities of infiltration, inflow and exfiltration on sewer pipes of three areas at a small city. From the results, the most investigated sewer pipes should be infiltrated by underground water and undetermined water. Flowrate commonly showed two peak at 6 to 8 a.m. and 6 to 9 p.m. and which may be influenced by the sewer flowrate with washing or bathing time. BOD/TN ratio of below 4.0 were inferior as compared with proper criteria 5.1. Infiltration/inflow rates of three areas were 21.7% and $0.08m^3/km$ of A, 12.4% and $0.015m^3/km$ of B, 22.4% and $0.021m^3/km$ of C,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infiltration/inflow rate of A was obviously greater than that of B and C. Also, these results show that we can conduct sewer maintenance in good order as A, C and B zone.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단파 및 혼파 재배가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culture and Mixtures on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 정종성;최보람;한옥규;이배훈;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8-94
    • /
    • 2023
  • 본 연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를 단파 및 혼파에 따라 건물수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이상기상 발생 시 적합한 품종을 추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천안의 평균온도와 천안의 30년 간 평균온도는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11월과 3월은 이상기상으로 판단된다. IRG 품종은 Green Fram(GF, 극조생), Kowinearly(KE, 조생), Kowinmaster(KM, 중생), Hwasan 104(H104, 만생)로 단파 또는 혼파하였다. GF 출수 기준으로 수확 시 GF+H104의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KE와 KM 출수기준으로 수확 시 KE 및 KE+KM의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104 출수기준으로 수확 시 건물수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KM이 16,763.1 kg/ha로 가장 높았다. IRG 수확시기의 건물수량을 비교하였을 때 KE, KM의 단파 및 혼파에서 가장 높았다. 최근 봄 가뭄 등 이상기상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상기상에 대비하기 위하여 조생 및 중생을 이용한 IRG 혼파재배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