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nior college

Search Result 3,3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음식물찌꺼기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 퇴비화로서 - (A Study on Recycling of Food Garbage - For Compost -)

  • 김남천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51-64
    • /
    • 1994
  • 본보는 종합병원에서 발생되는 유기성쓰레기인 음식물찌꺼기를 미생물에 의해 고속발효공법을 동원하여 24~48시간 이내에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 전환시키기 위한 중간처리방법이 된다. 처리를 위한 발효조건은 함수율이 60%, 발효온도는 $50{\sim}60^{\circ}C$, 산소공급을 위한 송풍량은 $50{\sim}200L/min{\cdot}m^3$ 정도가 필요하다. 함수율을 60%정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두부비지와 톱밥을 사용하였고 고속발효에 필요한 미생물균주는 호기성 균주로서 발효물의 전체중량의 1/300정도 투입하였다. 운전방법은 1차발효가 끝난 다음 감량 및 인출량을 체크하고 그 상태에서 새로운 음식물찌꺼기를 투입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발효물에 대한 감량은 비교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56.6%와 35.6~47.7%를 나타내었고 발효물에 대한 감량은 bulking agent에 따라 차이가 다소 있었으나 대략 50% 수준이었다. 발효시에 발생되는 탄산가스 농도는 1,000~1,500ppm 정도였고 연속발효일수록 황색에서 갈색, 검은색으로 변하였다. 발효물에 대한 퇴비화의 이화학적 분석에서는 pH는 약산성, 함수율은 10%미만이였고, 수분조정제에 따라 퇴비화 시간과 T-N, $P_2O_5$, $K_2O$에는 차이가 있었고, C/N 비에도 차이가 컸다. 보편적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대상으로한 고속발효화는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서 가치는 있으나 완숙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간처리 방법으로서는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천연염색포의 습식세척에 의한 색상변화 (Effects of the Wet Clean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Dyed Fabrics with Natural Dyes)

  • 백영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7
    • /
    • 2012
  • 조선시대 양반가의 장례시 매장방식은 회곽묘제를 사용하였으며, 그 유물들이 현대에 형태를 유지한 채로 출토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그 내부에서 발견되는 섬유유물들은 예전에는 염직물이었을 것으로 예상되나 오랫동안 시즙과 수분에 의해 오염되어 고유의 색상 및 물성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출토 후에도 계속적으로 유물의 변퇴색 및 열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적합한 세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습식세척 후 출토염직물의 색변화를 최소화할 적합한 세정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색계 7종, 청색계 1종, 황색계 6종, 녹색계 4종, 자색계 4종의 천연염색 염색포(견과 면)을 만들어서 이를 돈육과 함께 6개월간 냉장보관한 후 꺼내어 물, 음이온계면활성제(SDS), 비이온계면활성제(TritonX-100), 천연계면활성제(Saponin) 등 4종의 세정액를 이용하여 $20^{\circ}C$$40^{\circ}C$의 온도에서 습식세척하여 염직품들의 색상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상의 변화는 세정온도, 섬유소재, 세정제, 이용한 염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두 ${\alpha}-galactosidase$의 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soybean ${\alpha}-galactosidase$)

  • 금종화;오만진;김성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49-257
    • /
    • 1991
  • 대두 발아 과정 중의 ${\alpha}-galactosidase$를 추출하여 염석,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겔 여과 등의 방법으로 정제한 후 정제효소의 효소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대두 ${\alpha}-galactosidase$의 활성은 $25^{\circ}C$에서 120시간 발아시켰을 때 가장 높았으며, 대두 중의 raffinose는 96시간, stachyose는 120시간 발아시켰을 때 완전히 분해되었다. 대두 ${\alpha}-galactosidase$는 황산암모늄염석, DEAE-Cellulose 및 DEAE-Sephadex A-50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G-150 겔 여과 등에 의하여 비활성은 825U/mg protein으로써 6.6배까지 정제되었으며 수율은 2.5%이었고 HPLC와 PAGE에 의하여 순도를 확인하였다. 정제효소의 등전점은 pH 4.8이었고, 분자량은 30,000인 monomer이었으며 정제효소의 최적작용 PH는 6.0, 최적작용온도는 $40^{\circ}C$ 이었고, $60^{\circ}C$에서 10분 처리시 25%의 잔존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효소는 stachyose보다 raffinose를 쉽게 분해하였으며 PNPG에 대한 Km값은 5.3 mM, 활성화 에너지는 13.02 cal/mole이었다.

  • PDF

방사선 전신 조사 치료시 정확한 환자자세 및 조사야 재현을 위한 방법 ('THE METHOD OF TBI FOR ACCURATE REPRODUCTION OF RADIATION FIELD AND PATIENT POSITION')

  • 권영호;이병구;황웅구;김유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6-166
    • /
    • 1995
  • 방사선 전신조사는 일반적인 방사선 치료와는 달리 환자의 몸 전체를 포함할 수 있는 큰 조사야와 확장된 SAD가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치료실이 충분히 커야 하고 전신에 균등한 선량을 주기 위해서는 환자 체표면 윤곽의 불규칙성과 조직 불균질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보상체가 필요하며 피부선량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적절한 두께의 방사선 산란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치료장치 및 사용 에너지, 총선량, 선량률, 선량분할, 환자의 자세, 정상적인 조직과 장기의 차폐 등도 방사선 전신조사를 위한 중요한 인자들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방사선 전신조사 치료방법은 환자치료를 위한 준비시간과 실제 치료시간이 길기 때문에 일상 치료환자 일정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연속되는 치료기간 동안 치료조사야의 정확한 재현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원에서는 환자의 자세를 굴곡좌위로 함으로써 짧은 거리에서도 환자를 조사야내에 충분히 포함시켰고, 납 보상체를 제작하여 조직결손 부위를 보상하여 전신에 균등한 선량을 줄 수 있었으며 폐 차폐물을 제작하여 폐의 선량을 조절하였다. 치료계획시 환자의 음영을 치료실 벽면에 그려넣음으로써 조사야 재현시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치료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 PDF

우뭇가사리로부터 고강도 한천의 제조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Agar with Strong Gelling Ability from Gelidium amansii)

  • 도정룡;박진희;조길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73-676
    • /
    • 1998
  • 국내 연안산 우뭇가사리로부터 고강도 한천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처리한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을 제조하고 한천의 수율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의 최적 처리조건을 찾기 위하여 처리농도, 온도 그리고 시간 등 다양한 조건을 검토하여 우뭇가사리로부터 고강도의 한천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0, 2, 4, 6 그리고 $8\%$$80^{\circ}C$에서 3시간 처리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수율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산화나트륨의 처리 농도는 $6\%$가 적당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의 최적 처리 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의 처리농도를 $6\%$로 하고 40, 60,70, 80 그리고 $90^{\circ}C$에서 3시간 처리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수율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산화나트릅의 처리 온도는 $80^{\circ}C$가 적당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의 처리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6\%$의 수산화나트륨을 $80^{\circ}C$에서 2, 3 그리고 4시간 처리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수율 및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산화나트륨의 처리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였다. 우뭇가사리로부터 고강도 한천을 제조하기 위한 수산화나트륨의 전처리조건을 수산화나트륨의 농도, 온도 그리고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 최적의 전처리 조건은 $6\%,\;80^{\circ}C$에서 2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하지 않은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Gal는 $53.28\%$, An-Gal는 $4.24\%$였으며,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의 경우, Gal는 $51.69\~52.96\%$, An-Gal는 $44.05\~46/10\%$로 수산화나트륨 처리로 인한 구성당의 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멸치육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로부터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제의 분리 및 그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Peptic Hydrolyzates of Anchovy Muscle Protein)

  • 김선봉;이태기;박영범;염동민;김외경;도정룡;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
    • /
    • 1994
  • 수산식품중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의 계통적 해석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소화효소에 의한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I 전환효소(ACE) 저해물질을 추출, 분리하여 이들 각 획분들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수분해에 따른 ACE 저해효과는 pepsin에 의하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있어서는 peptide-nitrogen의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한 가수분해 20시간째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Gel 여과에 의하여 분리된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획분별 ACE 저해작용을 검토한 결과, 획분 2와 4가 ACE 저해작용이 우수하여 이들을 rechromatography하여 분리한 단일획분인 2'와 4'획분의 $IC_{50}$은 각각 45, $76{\mu}g$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분리한 단일 획분인 2'와 4'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2'획분은 glutamic acid,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획분은 aspartic acid와 threonin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오동도의 해조 군락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AT ODONG-DO)

  • 송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05-112
    • /
    • 1971
  • 1970넌 6월부터 1971넌 5월까지 여수 오동도의 2개 조사지점에서 월 2회 조사한 해조 군락은 아래와 같다. 1. 총출현종은 69종으로 녹조류 12종, 갈조류 17종 및 홍조류 40종이며, 조사 장소에 따른 출현종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2. 계절별 해조 군락은 대부분 주년 출현종으로 층위가 형성되어 출현종의 변화가 적으나 Ulva pertusa, Enteromorpha sp., Sphacelaria sp., Scytosiphon iomentaria, Colpomenia sinuosa, Sargassum thunber gii, Pterocladia tenuis, Amphiroa ephedrea, Carpopeltis affinis, Gigartina tenera, Polysiphonia yendoi, Chondria crassicaulis, Symphyocladia atiuscula등은 피도의 증감이 많았다. 3. 층위의 출현종은 대체로 변화가 적어, $200\~150cm$층은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orpha sp.등이고 $150\~100cm$층은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등이며, $100\~50cm$층은 Gigartina tenera, Pterocladia tenuis, Scytosiphcn lomentaria, Polysiphonia yendoi 등이고, 제일 아래층인 50cm 이하에는 Sargassum sagamianum, Cystophyllum sisymbrioides, Gelidium amansii, Acresorium yendoi, Microcladia elegance등으로 층위가 형성되었다. 4. A, B 두 조사지점은 100cm층을 중심으로 아래층에는 차이가 적으나 위층에는 차이가 있어, A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Polysiphonia yendoi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형성되나, B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urpha sp.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간단하였다. 5. Taniguti의 해조 군락 분류에 의하면 Myelophycus caespitosus 군단의 Gigartina intermedia-Sargassum sagaminnum군집 (Sargasseto-Gigartinetum Taniguti)에 속한다.

  • PDF

정어리 마쇄육의 저수분에서의 유전특성 1. 수분함량과 주파업에 따른 유전특성 (Dielectric Properties of Sardine-Starch Paste at Low Moisture Contents 1,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Frequency)

  • 이병호;김장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32
    • /
    • 1983
  • Dielectric properties of sardine-starch paste with moisture content of 4 to $13\%$ were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moisture and frequency. And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fat and starch of the mixtures upon dielectric permittivity, critical moisture, were also mentioned. In addition, a theoretical prediction of frequency dependence of dielectric constant which was computed by the lumped circuit of two layer condenser model was evaluated. For the preparation of sardine-starch paste, comminuted sardine meat was washed thoroughly several times in chilled water by soaking and decanting, and finally centrifuged. This procedure was extended longer to provide a low fat sample. The centrifuged meat was mixed with adequate amounts of starch and salt, and ground for 25 minutes in a stone mortar, moulded in the form of disk with 7cm diameter and 1.2cm thickness and then freeze dried. Dried meat disks were cut off for the size of 5.5cm diameter and 1.0cm thickness and their moisture contents were controlled in humidified desiccators with saturated solutions. Dielectric constants of sardine-starch paste tended to decrease frequency was increased showing a critical charge at the moisture called critical moisture content. In case of the sample with $20\%$ starch and $2\%$ salt an average complex permittivity($\epsilon^{\ast}$) at 7 to $8\%$ morsture as the critical moisture content was presented; $\epsilon^{\ast}$=3.37+j 0.39 at 0.1 MHz, $\epsilon^{\ast}$=2.54+j 0.19 at 15 MHz, and $\epsilon^{\ast}$=2.15+j 0.08 at 1.8 GHz, respectively. The theoretically obtained complex permittivity values from the two layer condoner model were in close agreement with these actual measurement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at appeared as $\epsilon^{\ast}$=2.53+i 0.09 at 0.1 MHz and $\epsilon^{\ast}$=2.28+j 0.06 at 15 MHz, respectively. The fast level of the mixture also revealed an influence on dielectric property that defatted neat with $1.0\%$ fat showed a higher hc and $\epsilon^{\ast}$ value than the meat with $4.8\%$ fat. Complex permittivity being related to the moisture level remained nearly unchanged or slightly changed at the moisture range of 4 to $8\%$ but was dispersed widely at higher moisture contents.

  • PDF

띠 전개범식 안강망어구의 연구 (A Study for Designing the Zonal Canvas Type of Stow Net)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
    • /
    • 1985
  • 본연구에서는 전개장치를 띠모양의 소형 범포들로 구성하는 띠전개범식 안강망어구를 고안하여 재래의 그들을 이용한 1/3 모형어구 및 그물을 개량한 실물어구를 각각 제작하여 실험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재래의 안강망어구의 축척비 1/3인 모형어구의 총저항 R(kg)을 실물로 환산하면 $R=5.6{\times}10^{3}V^{l.5}$ 또는 $R=3.5\frac{d}{l}{\lambda}_b{\lambda}_l\;V^{1.5}$로 주어진다. 단, V 유속(m/sec), d는 그물실의 직경, l은 그물코 다리 한개의 길이, ${\lambda}_b$는 그물아궁이의 뻗친 둘레(m), ${\lambda}_l$은 그물의 뻗친 길이(m)이다. 2. 모형실험에서 망고는 유속에 따라 거의 일정하며 옆줄 길이의 $83\%$ 정도로 유지하였다. 3. 망폭은 유속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유속 1m/sec 일 때 모형실험에서는 뜸줄길이의 $90\%$정도, 실물실험에서는 $95\%$정도 유지하였다. 4. 어구조작은 선미식 트롤어선으로 행한 결과 전개장치의 선미경사로 통과가 여의치 않았고 장망시 선미경사로상에서 뜸줄, 발줄 및 옆줄이 뒤로 쳐져 엉키는 현상이 일어났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저온성 젖산균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소명환;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6-515
    • /
    • 1995
  • 저온발효된 김치에서 분리되어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Leu. paramesenteroides, Leu. lactis, Lactobacillus bavaricus 및 Lac. homohiochii로 각각 동정된 저온성 젖산균 60주에 대하여 여러 조건에서의 배양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모든 균주들이 $5^{\circ}C,\;10^{\circ}C$$37^{\circ}C$에서 증식하였고, $45^{\circ}C$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최적 증식 온도는 Leu. mesenteroides의 균주들은 $33{\sim}34^{\circ}C$이었고, Lactobacillus속의 균주들은 $34{\sim}36^{\circ}C$이었다. Leu.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속의 균주들은 모두 초기 pH 4.8 및 4.2에서 증식하였으나 4.0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Glucose broth에서의 최종 pH는 Leu. mesenteroides의 균주들은 $3.85{\sim}4.10$이었고, lactobacillus속 균주들은 $3.82{\sim}3.99$이었다. 60균주 모두 litmus milk에서 우유를 응고시키지 못하였고, litmus를 환원시키지도 못하였다. Leu.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속의 균주들은 모두 에탄올 7% 함유배지와 NaCl 6.5% 함유배지에서 증식하였고, 에탄올 15% 함유배지와 NaCl 10% 함유배지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균주들이 pH 3.5인 인공위액과 40%의 담즙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Leu. mesenteroides의 균주들은 모두 pH 3.0인 인공위액에서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젖산균들의 생리적인 특성은 여러 점에서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기재된 내용들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더욱 정밀한 조사를 실시하여 분류학상의 위치를 정확히 밝혀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