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Wet Clean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Dyed Fabrics with Natural Dyes

천연염색포의 습식세척에 의한 색상변화

  • Baek, Young-Mee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Goto-Doshida, Sumiko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Aikoku Gakuen Junior College) ;
  • Saito, Masako (Department of Textile and Clothing, Kyoritsu Women's University)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 ;
  • Received : 2011.12.12
  • Accepted : 2012.02.16
  • Published : 2012.03.20

Abstract

In the Chosun period, the noble class usually buried the dead bodies in the lime-covered tomb. Recently their costumes are excavated while maintaining the shape. However, the textiles discovered from the inside have been degradated by a body and moisture. To conserve these textile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how to clean these textiles right after the exca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et cleaning to minimize the color change of textile remains. For this purpose, silk and cotton were dyed with natural dyes (7 red, 1 blue, 6 yellow, 4 green and 4 purple colors), then they were kept for 6 months with pork meat at $10^{\circ}C$, and were washed by four cleaning solutions (water, anionic surfactant (SDS), non-ionic surfactant (Triton X-100) and natural surfactant (saponin)) at $20^{\circ}C$ and $40^{\circ}C$. The color change was evaluated by color difference (${\Delta}E$) between non-treated and after washed sample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lor chang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shing temperature, textile material, the cleaning agents and the type of dyes.

조선시대 양반가의 장례시 매장방식은 회곽묘제를 사용하였으며, 그 유물들이 현대에 형태를 유지한 채로 출토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그 내부에서 발견되는 섬유유물들은 예전에는 염직물이었을 것으로 예상되나 오랫동안 시즙과 수분에 의해 오염되어 고유의 색상 및 물성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출토 후에도 계속적으로 유물의 변퇴색 및 열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적합한 세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습식세척 후 출토염직물의 색변화를 최소화할 적합한 세정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색계 7종, 청색계 1종, 황색계 6종, 녹색계 4종, 자색계 4종의 천연염색 염색포(견과 면)을 만들어서 이를 돈육과 함께 6개월간 냉장보관한 후 꺼내어 물, 음이온계면활성제(SDS), 비이온계면활성제(TritonX-100), 천연계면활성제(Saponin) 등 4종의 세정액를 이용하여 $20^{\circ}C$$40^{\circ}C$의 온도에서 습식세척하여 염직품들의 색상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상의 변화는 세정온도, 섬유소재, 세정제, 이용한 염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gnes Timar-Balazsy, Dinah Eastop, "Chemical Principles of Textile Conservation". Butterworth Heinemann, Lodon, p155-271, (1998).
  2. Dinah D. Eastop, Mary M. Brooks, "To Clean or Not to Clean: The Value of Soils and Creases (1996)". Changing Views of Textile Conservatio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Los Angeles, p228, (2011).
  3. Sheila Landi, "The Textile Conservator's Manual second edition". Butterworth Heinemann, Lodon, p79-105, (1992).
  4. 백영미, 권영숙, "대전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 보존과학회지, 25, p219-231, (2009).
  5. 배순화, 이미식, "출토직물의 과학적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 세척방법과 다림질 방법-". 한국의류학회지, 23, p987-997, (1999).
  6. 박윤미, 황은경, 정복남, "선령 전의이씨 출토복식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 p956-966, (2003).
  7. 배순화, 이미식, "출토직물의 세탁방법에 따른 물성변화". 복식, 54, p1-10, (2004).
  8. 강민혜, 강대일, "섬유유물 변형 최소화를 위한 습식세척법의 연구". 제25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78-79, (2007).
  9. 오준석, "전승 및 출토 견직물의 습식세척에 관한 연구, 이진 숭묘 출토복식". 국립민속박물관, p122-135, (2010).
  10. 백영미, 권영숙, 後藤純子, 齊藤昌子, "HPLC를 이용한 출토염직물의 염료분석". 제34회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49-52, (2011).
  11. 齊藤昌子, 梶容宣子, "赤色系天然染色布の洗淨に ようる変退色". 文化財保存修復學會 第27回 大會 要旨集, p246-247, (2005).
  12. 김재필, 이정진, "한국의 천연염료 전통염료와 천연염색 기술 ".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2008).

Cited by

  1. Detergency of Natural Surfactant for the Cleaning of Excavated Cotton Fabrics vol.33, pp.2, 2017, https://doi.org/10.12654/JCS.2017.33.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