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ointment of medical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through medical testing. To date, most of the research done on these tests has focused on the testing system and its formal qualities without any study of actual test cases.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examination format and contents through a test paper contained in the book "Joseonuihaksageupjilbyeongsa (朝鮮醫學史及疾病史)" by MikiSakae (三木榮). The literature confirms that the medical exam paper is the same format as "Gangji (講紙)," and that the test format called "Gangseo (講書)" is a very high-level test. Therefore, analysis of the case suggests that the format of the medical examination reflects the demand for high-quality medical learning for applicants. This consideration is meaningful because existing medical test papers are very rare.
After the port opening in 1876, the western people made joseon image as the land of morning calm. there was a conception that joseon was a uncultivated country in the meaning of the land of morning calm. famous modernists such as gil-jun yu, kwang-su lee also had same conception. but such conception began to change in 1930's. the number of motor vehicle began to increase rapidly in 1930's. and also many of motor vehicle were equipped with air horn or electronic horn instead of bulb horn. bulb horn made thick and low rubber sound. but air horn or electronic horn made sharp and high metallic sound. city people of colonial joseon began to recognize air horn or electronic horn as city noise. so they tried to control the use of air horn or electronic horn. finally, in late 1930's, the use of air horn and electronic horn were prohibited.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07.05a
/
pp.741-745
/
2007
The magnitude of natural disaster is much bigger than the past. Only short time return period can be estimated due to limited number of measured data. Therefore, back-data extension studies are undergoing in various area through historical records. In this study, data gathering and analysis of historical flood records such as Joseon wangjo sillok(Annals of Joseon Dynasty) and Jeungbo munheon bigo (enlarged encyclopedic literature) was achieved for the usage of extreme flood study in various ways. Analysis of 479 flood events from Joseon wangjo sillok and 143 flood events from Jeungbo munheon bigo during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in statistical way.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basic bibliographic details, such as the publication period, of the 20th century Joseon dynasty royal prescription book, Eoyong Tangjechaeg (御用湯劑冊).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royal family members who were given the prescriptions from the royal prescription book, as well as the doctors who gave the prescription, we aim to study its purpose as well as its value in terms of medical history. By studying this piece of medical literature, we will be able to shed light on the Joseon dynasty's royal Korean medicine practices as it passed through the turbulence of history during times such as the Korean Empire (1897-1910)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We illustrate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royal Korean medicine at the time, and also consider the trends of royal prescriptions as well as their significance from a Korean medicinal stand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n's boots in the Joseon Dynast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to find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Boots in the Joseon Dynasty are divided into several kinds such as Heukgwejapihwa, Hheuksapihwa(黑斜皮靴), Heukpihwa(黑皮靴), Mokhwa(木靴), Hyeopgeumhwa(挾金靴), Suhwaja (水靴子), Jeonpihwa, Gijahwa(起子靴), and Baekhwa(白靴). In addition, Jeong(精: footwear) was put inside boots. They tend to be nam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or ornaments on them. First, Jeong put inside the boots is regarded as footwear for the comfort of the feet or protection against cold. Mokhwa appears in literature around the 19th century. As shown by remains and paintings of those days, it is considered to have become the common name of boots as it underwent many changes. On the other hand, a book in the era of King Gojong includes pictures of Suhwaja. Compared to Hukpihwa in the same book. The topside seems to have been raised in order to make the wearer who put on a military uniform feel comfortable when walking, since the bottom piece is hard. Baekhwa is worn not only with funeral garments but also with Sibok(時服), one of official uniforms. Boots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made following the design of the Ming Dynasty since official uniforms were conferred upon King Gongmin in the late Koryo Dynasty. But turn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s detailed design changed little by little. The topside of the boots became more round, the entrance part became wider, height of the shoes became taller, and the bottom piece became parallel to the ground.
This study examined dahoe(多繪-braided cord) and mangsu(網綬-ornament of husu for ceremonial dress) used in myeon gwan(冕冠), daedae(大帶), and husu(後綬) among royal formal dresses in the Joseon Dynasty(1392-1910)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literature, relics, and pain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myeon-gwan, dahoe was used for cap strings, goeing(紘) and yeong(纓). Cap strings were applied to the king, the Crown Prince, and the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regardless of their status, and they showed differences among the periods. Both goeing and yeong were us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and then only yeong was used in the late period. As goeing was removed and only yeong was used in the late period, patterns combining goeing and yeong, in color and wearing method, appeared. Dahoe used in cap strings is dongdahoe(童多繪-a kind of braided cord). In daedae, 'nyuyak(紐約)' was tied up to its fastening part. The material of nyuyak was changed from dongdaho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guangdahoe(廣多繪-a kind of braided cord) in the late period, and the method of using it was also changed. Husu was imported from Beijing in China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ut in 1747, it was regulated to be woven in Joseon, and at that time, King Yeongjo attempted to restore the institution of weaving husu with "320 su(首)," namely, 6,400 strands as specified for the status of a prince of the Ming Dynasty.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2
no.4
/
pp.1-21
/
2016
This article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Jeonuhwa as recorded in 16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eonuh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6.0% for gray mullet(秀魚) and fish(生鮮), 14.2% each for liver and cow stomach, 12.3% for sea cucumber(海蔘), 4.7% each for crab(蟹), clam(生蛤), and chunyup(千葉), 3.9% each for pork meat(豬肉), octopus, 2.8% each for oyster(石花), pheasant(生雉), and chicken(鷄), 2.0% each for croaker(民魚), and brain (骨), 0.9% each for duck(鴨子), pigeon(山鳩), dobi(都飛), snapper, white fish(白魚), mussel(紅蛤), haeran(蟹卵), quail(鶉鳥), egg(鷄卵), and sesame(實荏子). This obser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Euigwe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Jeonuhwa.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3
no.2
/
pp.1-13
/
2017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Eumchungru as recorded in 16 royal palace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Eumchungru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Hwachae(花菜), Sujunggwa(水正果), Isug(梨熟), Sumyeon(水麵), Sangseolgo(霜雪膏),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 Hwamyeon (花麵), Cheongmyeon(淸麵), Semyeon(細麵), Saeng-isug(生梨熟), Osaeg-sudan(五色水團), Sudan(水團), Maeg-sudan(麥水團), Bogbunjago(覆盆子膏), Milsu(蜜水). The frequency of the Eumchungru typ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Hwachae(花菜) 26.4%, Sujunggwa(水正果) 20.7%, Isug(梨熟) 17%, Sumyeon(水麵) Sangseolgo(霜雪膏) each 5.6%,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 Hwamyeon(花麵) Cheongmyeon(淸麵) each 3.8%, Semyeon(細麵) Saeng-isug(生梨熟) Osaeg-sudan(五色水團) Sudan(水團) Maeg-sudan(麥水團) Bogbunjago(覆盆子膏) Milsu(蜜水) each 1.9%.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hwachae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1
no.4
/
pp.1-11
/
2015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Sujeonggwa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Sujeonggwa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Sujeonggwa(水正果), Geunsi-Sujeonggwa, Saengri-Sujeonggwa(生梨水正果), Weigamja-Sujeonggwa(倭柑子水正果),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 Yuja-Sujeonggwa(柚子水正果), Jabgwa-Sujeonggwa(雜果水正果), Duchung-Sujeonggwa (杜沖水正果), Yukyeldo-Sujeonggwa(六月桃水正果), Bokbunja-Sujeonggwa(覆盆子水正果), Aengdo-Sujeonggwa(櫻桃水正 果), Sansa-Sujeonggwa(山査水正果. The frequency of the Sujeonggwa typ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Geunsi-Sujeonggwa(20%), Saengri-Sujeonggwa(生梨水正果)r(15%), Sujeonggwa(水正果)(10%), Weigamja-Sujeonggwa(倭柑子水正果)(10%),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10%). The other Sujeonggwa each(5%).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Sujeonggwa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fter the war, the circle literature movement took place in Japan around the 1950s.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movement, the Korean-Japanese, have produced and expanded their political rights and claims through circles and organs in conjunction with the literary movement. Howeve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changes and conflicts between the political subjects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the literary circle movement as a concrete case to date are still insignificant. After liberation, the endless worries and confrontations to the post-colonialization of literary Koreans in Japan were analyzed as 'community with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opic and creative language', and as 'conflict with Korean association in japan'. The process leading to dissolution was analyzed. The spirit of the era of Koreans in Japan in the 1950s identifi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he starting point of study of the humanities in Japa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