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values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8초

호텔기업 중간관리자의 조직몰입-직무가치-직무만족 경합모델 (Competitive Mod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Middle Management in Hotel Enterprises)

  • 박숙진;김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88-398
    • /
    • 2011
  • 본 연구는 호텔기업 중간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직몰입, 직무가치, 직무만족 그리고 충성도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즉, 호텔 중간관리자들의 조직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와 독립변수의 경합모형을 개발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호텔중간관리자의 직무가치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매개역할을 하지 않고 상호 독립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직무가치의 경로분석에서는 내재적 가치가 외재적 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호텔중 간관리자들은 근속몰입을 하고 있으며 직무에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는바, 조직몰입과 충성도간의 직접적인 경로가 가장 높은 경로계수를 나타내어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충성도간에는 정(+)의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호텔기업 중간 관리자들은 경제적 안정성 때문에 직무몰입과 직무에 만족하기 보다는 전문성으로 대변되는 호텔리어의 내재적 가치에 직장의 의미를 두고 있으며, 조직몰입변수인 평생직장 소속감 자긍심이 인지될 때 충성도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원 아웃소싱직원과 정규직원의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대한 차이분석 (A Study on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Job Status between Outsourcing Staff and Permanent Staff)

  • 장효강;류황건;배성권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30
    • /
    • 2007
  •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sourcing staff and the permanent staff. Also,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two groups with regards to elements of the major organization cult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carne from 9 Catholic hospitals, the outsourcing staff being 198 and the permanent staff being 206.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m, using SPSS 12.0 and carrying out t-test and ANOVA. A summary of the actual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Among the elements of organization culture (principles of understanding, practice, education, values, work environ) there appear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mong the permanent staff. As for satisfaction about the facilities, the outsourcing staffs'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in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 show that as the elements of education, values, work environ etc. were rated higher, job satisfaction came out higher. Contrary to that, job satisfaction was lower as the work hours lengthen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education program for the outsourcing staff are helped to understand the hospital's special characteristics, unique philosophy and values. Therefore, it is neede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of management for the outsourcing staff; through setting up a department whose whole responsibility is the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outsourcing staff, their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will improve.

  • PDF

유튜브 크리에이터 직업 선택 의향: Z세대 직업 가치관을 중심으로 (Intention to Work as a YouTube Creator: Focusing on Generation Z's Occupational Values)

  • 조주연;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52-760
    • /
    • 2021
  •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직업으로서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종사 의향의 예측 요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Z세대(20세~24세)의 직업 가치관, 관심과 인식, 자아존중감, 종사 의향 등을 조사하였다.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재형(-), 예술형(+), 기업형(+)의 직업 가치관이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고, 유튜브에 관한 관심도 역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실재형의 직업적 성격을 가진 사람들일수록 유튜브 크리에이터 종사 의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술형, 기업형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종사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유튜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종사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직업으로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진로 지원 서비스 구축의 필요성, 직업 가치관이나 개인의 성향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하여 직업적 관점에서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대한 종사 의향, 그리고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경기지역 IT 분야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소비가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health functional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s among workers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 Gyeonggi area)

  • 정지은;김성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1호
    • /
    • pp.54-67
    • /
    • 2020
  •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IT 분야 직장인 34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수준,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소비가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일반적 특성,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소비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의 관계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과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집단이 제품의 성분, 효능의 내재적 속성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집단이 건강기능식품 복용으로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안정감의 감정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된 건강기능식품 선택이 중요하다는 인지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중 내재적 속성,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 중 감정적 가치 및 가격, 실용성 및 안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능적 가치 (p = -0.134)를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내재적 속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의 관계에서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 중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분야 직장인들은 직업적 특성 상 지속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 있으며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선택을 통해 효과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소비가치는 소비자의 사고 및 행위를 이끄는 판단기준의 집합으로, 교육 대상자들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제품이 주는 이미지보다는 성분과 효능 및 안전성 등에 가치를 두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조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공유가치의 조절효과 (A Study of Shared Values 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양우섭;박계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11-125
    • /
    • 2013
  • 본 연구는 기업구성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조직의 개인차원, 집단차원, 조직차원의 학습활동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학습조직의 세 가지 차원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공유가치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학습조직의 개인, 집단 조직차원의 학습활동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의 세 가지 차원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공유가치의 조절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가 집단차원의 학습활동과는 부적으로, 조직차원의 학습활동과는 정적으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차원 학습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유가치가 집단차원의 학습활동과는 부적으로, 조직차원의 학습활동과는 정적으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차원학습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가치가 집단차원의 학습활동과는 부적상호작용으로 조직차원의 학습활동과는 정적상호작용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개인차원의 학습활동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율무 및 녹차의 첨가 함량을 달리한 식빵의 품질특성 (Effects of Job 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der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read)

  • 박금순;이선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44-1250
    • /
    • 1999
  •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der were added to bread mixture and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of bread were investigated using sensory evaluation and some physical tests.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flavor, hard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der was increased. Lightness and redness value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der, while yellowness values increas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springiness was highest in bread with 3% green tea powder among the batches tested, while gumminess showed highest in control. Hardness of 3% green tea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It appears that the higher the moistness, the higher the value of redness. Chew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ellowness. Gummi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lor and flavor. Bread with 1% green tea powder and 10% Job's tears powder showed good overall preferen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Job's tears powder and green tea powder to bread exhibited small pores and crude surface.

  • PDF

중소기업에서 핵심가치 내재화 수준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냉동식품 제조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internalized level of Core values upon employees in small and medium industry - Based on S company)

  • 김광철;전명진;김창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1-256
    • /
    • 2015
  • Numbers of successful companies in the world develop The core values of action in order to produc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culture. Core values are belief, and values that are shared by all members to maintain organization. Also, The core values function as to inspire motivation and decision making for organization's identity and assist to settle their own uniqu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core values to the members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from small and medium company that is comparatively less focused to settle their own core values.

치위생과 학생의 취업가치관과 취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values and job prefer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경미;정영란;한화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areer and employmen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an attempt to get an accurate grip on their preparation for career and employment. And it's also meant to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guidance by dental hygiene education institutions for career and employ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dental hygiene student at three different colleges. Afte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In regard to the future prospects of dental hygienist, 44.2 percent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believed that there would be a bright future for dental hygienist, and 55.8 percent didn't agree to that or considered the prospects to be neither bright nor bleak. 2. As to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51.2 percent thought that it was easy for dental hygienists to get a job, and 22.2 percent wanted to be a professional. 3. Concerning preference for workplace, they hoped to work in a hospital-sized or larger institutions including dental hospitals. As to the reason why they wanted a job, 76.2 percent had their sight set on standing on their own feet. 4. As for the top priority for employment, they took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o account the most(3.63), followed by aptitude(3.52) and working conditions/environments(3.51). 5. In terms of job values by academic year, all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academic standing in the previous semester, the students who got an A, B or C put more value on human relations, and those who got a D gave more weight to social status and fame.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impact of the high schools they graduated from, they took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a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rrespective of their alma mater.

  • PDF

취업 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별 지각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에 대한 잠재평균분석 (Latent Means Analysis of Perceived Stigma,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Hours among the Employ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 이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31-438
    • /
    • 2018
  • 본 연구는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취업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에 따른 지각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보며, 지각된 낙인감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심리적 역량강화가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취업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낙인감, 심리적 역량강화, 직무만족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 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인감과 직무만족 사이 그리고 심리적 역량강화와 직무만족 사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심리적 역량강화는 낙인감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잠재평균분석 결과, 전일제 근로 정신장애인이 지각된 낙인감 수준이 더 높고, 직무만족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제 근로 정신장애의 심리적 역량강화 수준이 전일제 근로 정신장애인보다 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취업정신장애인의 근로시간 형태를 고려한 직무만족 향상, 낙인감 감소, 심리적 역량강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전라북도(全羅北道) 공무원(公務員)의 체격(體格)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Physical Measurement of Officials in Jeonbug Province)

  • 이상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9권1호
    • /
    • pp.25-29
    • /
    • 1976
  • A study was conducted on 2,210 officials in Jeonbug Province to check out their physical growth, development and nutritional state during the period June 1st 1975 to August 31, 1915.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1. Physical measurement a. Body height: The mean body height of male was $166.8{\pm}4.6cm$ and that of female was $156.3{\pm}4.9cm$. The highest value of mean body height was $167.1{\pm}3.9cm$, showing by male of administrative job. The lowest valthe of that was $165.7{\pm}5.2cm$, showing by the male functional job, while the difference of body height was not significant in female. b. Body weight: The mean body weight of male was $61.5{\pm}4.6kg$ and that of female was $51.2{\pm}3.9kg$. The administrative job heavier than functional job of male by type of job, while that of female of functional job heavier than administrative job. c. Chest-girth: The mean chest-girth of male was $90.8{\pm}3.2cm$ and that of female was $83.6{\pm}3.6cm$. 2.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e a. The relative body weight was normal in male except the young man under 25 years, while that of female was under the level of standard. b. The relative chest-girth was showed standard values by all age group of officals. c. The Rohrer and Kaup indices were showed standard values except under 19 years officials and 30 to 34 years female officials. 3. Vervaeck index for nutritional status was appeared normal in male but under the values of standard in fem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