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valuation

검색결과 846건 처리시간 0.023초

은퇴예정자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Planning on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Moderating Effects o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 김선화;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70-586
    • /
    • 2015
  • 본 연구는 은퇴를 앞둔 은퇴예정자들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보고, 은퇴설계가 국가의 사회적비용 절감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은퇴설계의 사전교육과 은퇴준비에 대한 관심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배포하여 회수된 335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주택소유형태와 학력에 따라 총체적 만족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택소유형태는 임대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총체적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는 휴식으로의 전환이 부(-)의 영향, 출발에 대한 기대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고 부정적 인생평가가 독립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보에는 휴식으로의 전환과 강요된 좌절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업 불만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 개선에는 은퇴설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비 지출의 파급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Capital Expenditures)

  • 김금환;박애경;김윤재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3호
    • /
    • pp.121-131
    • /
    • 2012
  •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이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장애인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장애인복지예산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수도권 3개 지자체의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조 3천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8,015.9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7,673.2명의 고용 및 26,825.2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사회복지예산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장애인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 PDF

맞춤형 방문구강보건사업 현황조사 (A study on the state of customized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 정재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06-619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ustomized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in a bid to help facilitate the unified operation of the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required guideline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 dental hygienists who were professionals responsible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s across the nation. Results : 1. Regarding the form of employ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investigated many contract and daily workers. 2. As to the possession of equipment necessary for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denture cleaners(12.2%) were most widely possessed in some regions, followed by mobile scalers(10.2%) and mobile suctions(8.2%). In terms of expendable devices and materials, dental mirrors, pincettes and explorers were the most widely possessed dental checkup devices, and the most widely possessed oral hygiene supplies were toothbrushes, interdental brushes and denture cleaners. Those devices and materials were in more possession than the other types of devices and materials. The most widely possessed equipment for educational purpose was laptop computers, followed by beam projectors and screens. The most widely possessed teaching materials were dentiform, followed by CD-ROMs. 3. Those whom they visited the most for oral health care service were elderly people, followed by the disabled an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e dental hygienists who went out to visit those people outnumbered the others who stayed at public health centers. Concerning the types of visiting oral health care service, the most prevalent service provided to the elderly included denture cleaning/management, oral massage and preventive treatment against dental caries. The most dominant service provided to the disabled involved education of the oral health care act, preventive treatment against dental caries and toothbrushing by professionals. The most common service offered to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as education of the oral health care act and oral health education. The dental hygienists paid a visit to a mean of 5.8 households a day. The average weekly number of households cared by the dental hygienists was 27.3. It took a mean of 37.1 minutes for them to take care of each household. 4. As fo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they expressed the greatest satisfaction at teamwork with professionals($3.56{\pm}0.94$), followed by the professionalism of their work($3.21{\pm}0.94$) and workload($3.08{\pm}0.94$).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work conditions required for creative job performance($2.75{\pm}0.98$) and partnership with other institutions($2.64{\pm}1.03$) was below 3.0. In regard to the impact of their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satisfaction level with workload. The unmarried dental hygienists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workload than the married ones(p<0.05). 5. As to needs for education fo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they asked for education about visiting oral health care skills the most, followed by education about oral health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education of planning/evaluation and education of oral health care for the disabled. Conclusions : The top priorit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programs was the procurement of budget, followed by the procurement of equipment and educational media and the procurement of human resources.

  • PDF

대구.경북지역 고등학생의 식생활교육 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needs of Dietary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90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식생활영역 실천도 및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해 대구 경북지역의 1, 2학년 고등학생 46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식생활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수준은 3.47/5.00점으로 높았다. 식생활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건강관리와 성장에 필요하기 때문이 54.6%로 가장 높았다. 일상생활에서 식생활 지식의 활용도는 3.16점, 식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도는 3.23점이었고, 식생활교육이 흥미로운 이유는 내용이 다양하고 재미있어서가 28.3%로 가장 높았으며, 직업선택을 위해(21.2%),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해(20.7%), 실습이 많아서(19.7%) 등이었다. 식생활 영역의 난이도는 2.82점으로 낮은 편이었고, 식생활교육 요구도는 3.24점으로 조리능력 향상을 위한 요구도가 3.59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3.46점)에 대한 요구도가 많았다. 식생활 영역의 실천도는 3.43점으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품선택(3.72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손 씻기 등의 위생적인 식생활(3.71점)이 높았지만 건강한 생활을 위한 식생활, 식생활 평가, 생애주기를 고려한 식생활에 대한 실천도가 낮았다. 식생활교육 실천도는 필요성 인식, 활용도, 흥미도, 요구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난이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시기의 식생활교육은 성장과 발달, 건강과 행복한 가정생활을 위해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교육내용과 방법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또한 식생활교육은 학교교육 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와 연계한 통합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산업간호학회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임경희;박경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2-152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all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from 1991 to May 2000 based on an objective frame of evaluat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spect the trend of occupational nursing research and to provide an optimal direction for future occupational nursing service. The results of total 94 studies were analy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1991-1992, 1993-1995, 1996-1997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papers were obviously increased after 1998. 2. In the design of research, survey studies were definitely dominant. But, they are gradually decreasing and experimental studies are increasing. 3. In the fields of research, health problems, health risk factors and health awareness were higher than others. Occupational health nurse's task and job satisfaction were main areas of research until the middle of 1990's. However, after then, not only health problem, risk factor and awareness of health but also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are increasing in the research areas. 4. The collaborative researches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type of author has been varied. The number of researches completed by funds was undertaking only 3 among the total 94. 5. In the research analysis, except for case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the research subjects have been shifted from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s to the industrial workers, and more diversified. The sample size has been enlarged and the major place of the study is industry. The questionnaire was used in many studies as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But, complementary methods of diverse instruments have been increased. The method of data analysis has obviously showed some changes moving from descriptive statistics to inferential and advanced statistics. 6. The ways of nursing intervention have prominently diversified in experimental studies. The contents of case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health management programs and activities in industry. The research concepts and the contents of literature study were also changed progressively in various wa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conclusions are extended to the following discussion: Since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was instituted in 1990, the researches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have shown an acute methodological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However, they were considered still in the lack of research verifying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ls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theory lacked. Therefore, more empirical researches are strongly needed to utilize the field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in Korea Researchers are also encouraged to exert more efforts to get research funds.

  • PDF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자의 직업사회화 과정 - 경호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the Security Guards in the Casinos - Case of Security Science Majors -)

  • 전용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37-346
    • /
    • 2010
  • 본 연구는 카지노에서 근무하고 있는 시큐리티 종사자의 사회화 과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각 단계별 사회화 과정 질문이 이루어 졌다. 또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자로는 서울소재 3곳의 외국인전용 카지노 중 2곳을 선정하 였으며, 본 연구의도에 합당하다고 판단되는 시큐리티 종사자 중 본 연구목적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학부과정 중 경호학을 전공한 재직기간, 1년 이상- 5년 이하의 종사자 7인을 선정하였으며, 업무형태로는 영업장 현장에서 안전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들로 구성되어있다.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방법과 지속적인 자료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을 주된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기 사회화에서는 스포츠참여와 미디어를 통해 사회화가 이루어졌으며 둘째, 직업준비 사회화에서는 다양한 학교 교과과정과 전공학과 선배들이 사회화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셋째, 직장에서의 조직 사회화는 직장동료들과의 어려움, 전문적인 안전교육 부족, 시큐리티 근무자로서의 자부심, 인사제도의 형평성 등이 직장에서의 사회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 : 문학과 인성을 접목한 융·복합 교양영어 수업 사례 ( : A Case Study of English Class as Liberal Education, Converged on Litera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s for Cultivating Humanities)

  • 최정미;이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36-545
    • /
    • 2016
  • 본 연구는 문학과 연극, 인성교육을 융 복합시킨 교양교과목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 수업 사례이다. 교양교육의 목표가 대체로 '보편적 진리 탐구를 통한 지성인 양성'에 둔 교육 현장에 '실용적 가치에 기반을 둔 전문직업인 양성'이라는 새로운 과제가 도입되면서 융 복합 교육 방안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다. 이 교과목은 도구로서의 기술 훈련에 초점을 맞춘 영어 회화나 공인시험에서 고득점을 획득하기 위한, 이른바 취업 역량 강화 교과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상황에서,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로 된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논리적 사고와 인식의 폭을 넓히는 훈련이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따라 두 가지 목표를 아우르고자 구상되었다. 학생들의 지성과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문학과 짧은 연극 대본을 선정하여 구어체 대사를 암기하며 자연스럽게 말하기를 익히고, 작품 분석과 이해를 통해 문학과 연극에 관한 지식을 함께 숙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영어 학습에 폭넓은 지식을 더하였다. 또한, 조별 연극 공연을 통하여 책임감, 협동, 화합, 배려심의 중요성을 스스로 체험하게 하여 인성 함양에도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융 복합 수업은 교수와 학생이 소통할 수 있는 양방향 수업을 실행하면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참여를 이끌어 도구로서의 영어뿐 아니라 문학과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네팔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요구조사 (Measu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for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taff in Nepal: A Look at Teachers' Perceptions)

  • 임진호;김동욱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63-176
    • /
    • 2020
  • 개발도상국에서 직업기술교육훈련이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일반교육보다 직업기술교육훈련이 상대적으로 사회적 유용도가 높고 일자리와 생산성 그리고 경제성장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교육 분야에서는 교사나 교원교육에 대한 주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일반이론이나 모형개발에 필요한 사례연구 등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아직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팔의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이 교직을 수행해 나가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훈련 과목(training module)에 대해 훈련생 본인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현재 상태'와 '기대수준(중요도)'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어 해당 지표 간의 격차를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 우선순위를 구분함으로써 향후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의 훈련 또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29개의 훈련 과목에 대한 보리치(Borich)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4.82)'의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NCS 기반 TVET 교육 프로그램 평가(4.79)',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4.56)', '11. TVET 정책 및 인사 관리(4.56)', '12. TVET 훈련교사 리더십 역량 개발(4.38)' 과목들이 뒤를 이었다. 더불어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해 우선순위 항목들로 지목된 교육과목들을 재검정한 결과,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 그리고 '1. TVET 훈련교사의 직업 특성 (역할, 직업 윤리 등)' 등이 이상적 수준의 우선순위 훈련 과목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전공자격증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제철산업학과 사례 (Effect of Certificates of Major on Employment : Case of Steel Industry)

  • 유미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03-212
    • /
    • 2020
  • 본 연구는 제철산업학과 2015년에서 2019년 2월 졸업생 총 356명 중 취업자 24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졸업생의 주요 취업처인 포스코의 취업율은 67.7%, 현대제철은 23.8%, 포스코 계열사 13.1%, 현대제철 계열사는 8.5%로 조사되었다. 각 분야별 취득한 자격증은 금속 분야 53.1%, 기계 분야 39.8%, 기타분야 7.1%이다. 국가자격증의 종류와 분포는 포스코의 경우, 기계정비 산업기사, 제선 기능사 및 제강 기능사 순이며, 현대제철은 제강기능사, 제선 기능사 및 기계정비 산업기사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 기타분야의 자격증 중 산업안전 산업기사 국가자격증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1인당 평균 국가자격증의 수는 포스코 5.06개, 포스코 계열사 5.35개, 현대제철 5.29개, 현대제철 계열사 4.73개이다. S-오일, 한국전력, 풍산금속 등 기타 취업처의 평균 국가자격증 수는 2.51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한 전공 관련 국가 자격증이 입사시 직무에 필요한 인재를 채용하고, 직무에 적합한 전공자를 발굴하는 데에 있어서 주요한 평가자료로 사용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전문대학 보건계열학과 전공학생의 NCS 기반 교과내용 개발 적용에 따른 직무능력 단위요소의 전공교육 적합성 평가 (A Study on Fitness Evaluation for Major Education of Competency Unit Element b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 Contents Based on NCS of Health Majoring Students at Junior Colleges)

  • 김민자;양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08-516
    • /
    • 2016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보건계열학과의 NCS 기반 신규 교과 개발적용에 따른 전공교육에의 적합성 여부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2016년 3월 11일부터 3월 30일까지 전문대학 보건계열학과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 전문대학생의 NCS에 대한 인지도와 통합취지 및 교과내용 이해도가 기존 교육과의 연계접목에 대한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새로 개발된 NCS 기반 직무능력 단위요소의 전공교육에 대한 직무, 일, 자격, 훈련 표준화가 잘 연계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받아들이는 학생들이 새로 도입된 교과내용에 대체적으로 빠르게 동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기존교재와 다르게 3개 전공학과 간 표준화된 교과의 통합개발에 따른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식 통합 교육의 높은 인지도와 이해도로 인해 보건계열 교과 적용수업 효과가 매우 긍정적이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보건계열 NCS 체제의 조기 정착을 시사하고 NCS 개발내용의 현장 적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