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Enthusiasm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대기업 안전직 근로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열의, 무형식학습, 사회적 지지 및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crafting, Work Engagement,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Safety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 이주석;송성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6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crafting through job enthusiasm. A survey was conducted on 451 safety workers at large domestic compan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odel suitability, influenc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s with AMOS 23.0 using SPSS 23.0. Through research, we found five important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model of job crafting, job enthusiasm,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perly explained the empirical data. Second,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but informal learn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enthusiasm. Third,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while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crafting. Fourth, job enthusias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Finally, job enthusiasm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rafting. These suggest that continuous environmental efforts and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are needed to promote job crafting of safety workers so that informal learning, soci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enthusiasm can be expressed.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that can promote job crafting of safety workers wa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객실승무원의 이미지메이킹 자율성이 직무열의, 서비스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utonomy of Cabin Crew's Image Making Standards on Job Enthusiasm, Servic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하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46
    • /
    • 2020
  • In this study, an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abin crew's image-making autonomy on job enthusiasm, servic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is is conducted on cabin crew members in airlines with autonomy based on image making standards and a total of 109 copies are used for final analysis. First, the image-making autonomy show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all of the sub-factors of job enthusiasm such as job vitality, job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Second, all sub-factors of job enthusiasm, job vitality, job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show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service performance. Third, service performance show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airline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asing the regulations for image making of cabin crew and introducing an autonomous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물리치료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f Physical Therapist on Job Enthusiasm)

  • 김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16-3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물리치료사 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치료사의 일과 삶의 균형-갈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과 삶의 균형의 하위요인인 일·가정 갈등, 가정·일 갈등은 직무열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치료사의 일과 삶의 균형-촉진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일과 삶의 균형의 일·가정 촉진, 가정·일 촉진 요인 모두 직무열의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리치료사의 일과 삶의 균형-갈등 요인은 직무열의에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지만 일과 삶의 균형-촉진의 일·가정 촉진, 가정·일 촉진 요인이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물리치료사들의 일과 삶의 균형 유지 및 직무열의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Perform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

  • Kim, Kyung-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137-143
    • /
    • 2022
  • 이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한 점을 반영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 그리고 직무열의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검토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정책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노인돌봄서비스 수행 생활지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식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열의는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생활지원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열의, 직무소진에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are worker' Enthusiasm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Job Stress -)

  • 김석건;김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69-580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9년 1월 11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 383건을 AMOS 22.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이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종사자 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과 종사자 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종사자 열의에 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선 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ndividual-organizational suitability and individual-job suitability of front-line public officials Effect on Job Enthusiasm: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노시범;김종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79-89
    • /
    • 2021
  • 본 연구는 정부의 조직성과와 목적달성을 제고하고자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있어 개인-조직/직무적합성, 자기효능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며, 자기효능감이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으로는 경기도 3개의 시(P, U, Y시)의 공무원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조사에 대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개인 조직적합성과 직무열의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직무적합성의 경우에는 직무열의에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조직의 일선 공무원에 대한 직무열의를 제고하는 행정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인지된 내적 외적 보상이 간호사의 직무 열정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Intrinsic and Extrinsic Rewards on Nurses' Job Enthusiasm)

  • 김재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23-1432
    • /
    • 2021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2017) 자료를 사용하여 간호사의 보상과 직무 열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확률표집에 의해 표집된 전국의 간호사 359명이다(청년 간호사 집단 218명, 중년 간호사 집단 141명). 내외적 보상의 직무 열정에 대한 영향은 일반선형모형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 간호사집단에서는 의사결정 참여, 성취감, 자존감, 경력발전 전망, 합당한 업무인정, 일-삶의 균형의 외적 보상 등이 직무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반면 청년 간호사 집단에서 의사결정 참여, 성취감, 자존감, 경력발전 전망, 일-삶의 균형 등이, 중년 간호사 집단에서는 성취감, 자존감, 합당한 업무인정 등이 직무 열정에 영향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들의 직무 열정을 높여주기 위해 의사결정 참여, 성취감, 자존감, 경력발전 전망, 합당한 업무인정, 일-삶의 균형 등을 포함하는 보상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상체계 구축 시 연령 집단를 고려함으로써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Person-job Fit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mpact on Job Enthusiasm: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 김종래;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7-12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적합성과 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격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적 좌절감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이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것으로, 경기북부지역의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중다귀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에는 개인-직무적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도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으나 조직몰입을 통한 완전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개인 차원의 능력이나 목적, 요구 등이 직무와 부합하고 있고 직무열의를 보이고 있는 반면, 조직 차원의 조직적합성에서는 조직 가치나 구조 등에 있어서 일치정도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에서의 일치성과 친화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과 일체감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Nursing Caregivers' Job Enthusiasm on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김정희;임미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57-164
    • /
    • 2023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개 기관, 서울에 소재한 3개 기관, 충청남도에 소재한 5개 기관, 충청북도에 소재한 9개 기관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구글 링크를 사용하여 비대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140명의 자료에서 불완전 응답 22부를 제외한 11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정(+)의(+)의 영향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 유의성 확인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 돌봄의 주체가 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위한 직무열의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필요한 사회복지 실천·정책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뷰티종사자의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 및 직무열의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aycustomers Behavior Perception of Beauty Professionals on Emotional Harmony, Job Enthusiasm, and Management Performance)

  • 이정희;성영환;이재은;이영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04-311
    • /
    • 2021
  • 연구목적은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 및 직무열의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연구 하였다. 표본은 뷰티종사자327명이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 및 직무열의가 상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에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경영성과에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감정부조화가 직무열의에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경영성과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불량고객 행동지각은 뷰티종사자의 감정부조화로 인해 직무열의 및 경영성과에 부정적 요인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