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food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126초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for Fermented Soybean Products

  • Chung, La-Na;Chung, Seo-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44-150
    • /
    • 200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Seventy-six consumers rated the acceptance and perceived intensity of 4 types of Korean and 4 types of Japanese style fermented soybean products. The consumer's food variety seeking tendency and the general attitude toward various fermented soybean products were measured. Ten descriptive analysis panelists evalu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8 sample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were applied to the data sets. Fermented soybean products consisting of sweet and moist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preferred the most. The variety seeking tendency was not an effective predictor for understanding the acceptance of the products tasted in the experiment. K-means cluster analysis identified 3 sub-consumer segments sharing a common preference pattern for the 8 samples within each group. These 3 groups somewhat differed in the consumption frequency, acceptance, and familiarity of various fermented soybean products in general.

한.중.일 3개 국어의 식품조직감 용어 비교연구 (A terminological study of trilingual(Chinese-Korean-Japanese) presentation on food texture)

  • 이철호;야수히로오타;롱휘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1-177
    • /
    • 1994
  •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used in East-Asian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The terms and definitions enlist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ensory Analysis-Vocabulary, ISO 5492(second edition 1992) were used as the reference. It includes hardness, fracturability, chewiness, gumminess, viscosity, springiness, adhesiveness, granularity, conformation, moisture and fatness. The Chinese scripts used for the description of each textural terms in these three countries were compared and their native expressions were collected. The food items representing typical textu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were also listed.

  • PDF

한국과 일본의 식생활에 관한 연구-II. 식품군별 섭취량의 연차적 추이- (Comparative Studies on Food Consumption Pattern between Korea and Japan -II. Annual change of Food intake-)

  • 박윤정;최봉순;서영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3-79
    • /
    • 1992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민영양조사 결과를(일본은 1950년-1988년, 한국은 1969-1988년) 바탕으로 양국의 식생활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미래의 한국 식생활의 지침이 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 섭취총량은 일본은 1973년을 기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한국은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며 전반적으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일 모두 식물성 식품의 섭취는 감소하고 있고 동물성 식품의 섭취는 증가하고 있는데 1988년에는 동물성 식품 섭취 비율이 5% 정도 일본이 한국에 비해 많았다. 식물성 식품은 곡류의 경우 양국 모두 감소 경향을 보였고 1988년의 경우 한국이 일본에 비해 70g 정도 많이 섭취하였다. 한국은 감자류, 두류, 과실류는 1980년 이후 증가 경향이나 군별 섭취총량은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일본은 과일, 야채류의 섭취가 감소 경향이고 두류, 감자류는 변화가 거의 없으며 안정된 추세를 보였다. 동물성식품의 경우 일본은 우유 및 유제품, 육류는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고 어패류, 난류는 1975년 이후 거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한국은 육류, 어패류의 섭취 증가가 뚜렷하였다. 1970년 이후 양국의 신장, 체중의 연차추이를 보면, 1970년에서 1980년까지 한국인의 신장 증가가 현저하였으며(1970년 ; 150.3cm, 1980년 ; 160.2cm), 체중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농정신편(農政新編)의 출전고(出典攷) (A Study on the Source of Manual for Agriculture)

  • 김명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83-394
    • /
    • 198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origin of Nong Jung Shin Pyun ( 農政新編 ), a book of agricultural manual. This book was edited by An Jong-Soo who translated the agricultural manual of Japan and China, both were writted in Japanese. This book might be used not only as text book for agricultural workshop but as reference book for peasants.

  • PDF

한국인ㆍ중국인ㆍ일본인의 식품 선호도 및 외식패턴 연구 -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The food preference and behavior on food away from home on Korean, Japanese and Chinese)

  • 서경미;한경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비만ㆍ다이어트 박람회
    • /
    • pp.98-99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일본인, 중국인의 선호 음식류 및 조리법과 외식행동을 조사하여 향후 일본, 중국 외식시장 진출 시 기초 도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천국제공항 면세구역 내 출국을 대기하는 한국인과 일본인,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표본 추출은 연구자의 판단에 의한 판단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설문방법은 연구자 외 1인이 직접 설문하였다. (중략)

  • PDF

동아시아의 맛 표현 용어 (Taste-describing Terms in East Asia)

  • 태전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27
    • /
    • 1988
  • 일본, 한국, 중국의 식문화에 관한 용어들을 조사 비교하였다. 우선 맛의 인지를 표현하는 용어들을 수집 조사하고 이어서 삼개국 용어중에 서로 관계가 있는 단어들을 모으고 정의하였으며 맛 인식표현에서 삼개국 용어모델을 수립하였다.

  • PDF

Antimutagenic Effect of Bacillus natto Isolated from Natto

  • Yun, Soon-I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133-137
    • /
    • 2005
  • In vitro antimutagenicity of Bacillus natto islolated from Natto, Japanese traditional fermented food, was investigated using umu-test. Mutagenicity of S9-activated metabolites of Trp-P-2 and IQ for Salmonella typhimurium TA 1535/pSK1002 was remarkably inhibited by addition of bacterial cells and their cytoplasmic fraction. Desmutagenicity by cytoplasmic fra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fraction. Bioantimutagenic effect of cytoplasm on Salmonella typhimurium SD-100 did not show bio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utated bacterial cells induced by Trp-P-2. Cytoplasmic fraction exhibited 17% bioantimutagenicity due to desmutation caused by IQ.

대기 중 납의 RISK예측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Risk Predictive Model for Air-borne Lead in Blood)

  • 김종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51
    • /
    • 1993
  • In order to survery the risk of air-borne lead to human, the relation between air-borne lead level and blood lead level was examined by using of the kinetic model and statistical model.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s follows: 1. The pathways of lead intake were food and water, mainly. 2. Though blood lead level of Korean urbanire was higher than that of American or Japanese, it was not so severe as to influence human health. 3. The lead content in food and water was high, and so it is needed to confirm the cause of high content was whether second contamination by air pollution or not.

  • PDF

대구, 경북지역 대학생의 식사행동 및 일본음식에 대한 인상 및 기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 and Image and Preference of Japanes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Area)

  • 한재숙;이연정;최석현;최수근;권상용;최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04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의 대학생(570명)을 대상으로 식사내용, 식사관습, 식사예절, 일본음식에 대한 인상과 시식경험 및 기호도를 조사한 것으로 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은 항상 '일인분씩 담는다'의 경우는 전체응답자의 15.5%에 불과하였고 '음식을 큰 접시에 모아서 담는다'의 경우는 '가끔 한다'가 44.8%, '항상 한다'가 35.8%로 나타나 큰 접시에 모아서 담는 가정이 많았다. '저녁은 가끔 가족이 함께 모여서 먹는다'가 59.9%로 가장 많았고, '항상 가족이 모여 같은 음식을 먹는다'는 끼니는 아침이 42.3%, 저녁이 23.3%, 점심이 3%로 나타나 아침에 가족이 모여 같은 음식을 먹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식사시 가족의 자리가 정해져 있다'고 한 경우는 전체응답자의 53.5%였고, '가족이 모여 식사할 경우, 연장자가 수저를 들기 전에는 먹지 않는다'는 전체의 56.4%였으며, '가장에게는 음식의 양이나 수가 많다'는 30.9%였다. 3. 식사예절에 대해 가장 자주 주의를 받는 것은 'TV를 보지 않고 먹기'(13.4%), 남기지 않고 먹기(11.5%), '수저사용법'(8.0%)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기 부딪히는 소리'(76.9%), '입 다물고 먹기'(76.6%), '씹는 소리'(74.6%), '밥 먹는 모양'(71.4%), '수저 사용법'(69.7%)등은 전체응답자의 70% 이상이 '주의를 받지 않는다'고 하였다. 4. 음식 만들기에 대한 선호도는 5점 만점에 3.48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국가별 요리에 대한 기호도는 한국요리(4.39점)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중국요리(3.76점), 이태리요리(3.45점), 일본요리(3.32점) 순이었으며 프랑스요리(3.16점)가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음식 만드는 빈도는 한달에 1∼2회 정도로 나타나 대학생들이 직접 음식을 만드는 빈도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5. 일본 방문경험은 조사대상자의 93.8%가 없었으며, 그중 92.6%가 일본방문을 희망하였고 일본음식에 대한 이미지는 '가격이 비싸다'(4.15점), '장식이 아름답다'(4.05점), '색채가 예쁘다'(3.98점) 등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에 '맵다'(2.21점), '기름기가 많다'(2.51점), '깊은 맛이 있다'(2.56점) 등은 낮은 점수를 보였다. 6. 일본음식 중 가장 높은 시식경험을 가진 것은 우동(95.3%)이었고 그 다음은 스시(93.1%), 덴뿌라(81.9%)순이었고 반면에 니쿠자가(6.4%), 오차즈께(9.3%), 오코노미야끼(11.1%), 다코야끼(16.0%) 등은 매우 낮은 시식경험을 보였다. 7. 일본음식에 대한 기호도는 우동(3.98점), 스시(3.85점), 덴뿌라(3.69점), 소바(3.43점), 스키야끼(3.12점)는 대체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 낫또(2.68점), 오차즈께(2.76점), 오코노미야끼(2.87점), 미소시루(2.88점), 다코야끼(2.88짙) 등은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변모해 가는 우리전통 식사예절의 동향 파악이 가능하였고 가족간의 화목과 건강한 사회를 이루기 위한 가족 단란의 식사지침이 요구되었다. 한편 일본음식중에는 우동과 스시가 한국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은 음식임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일본요리에 대해 장식이 예쁘고 색채가 아름답지만 값이 비싸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서 가격을 좀 더 낮춘다면 그 이용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낫또, 오차즈께, 오코노미야끼 등 이용도가 낮은 음식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요리법을 가미한다면 대중화가 가능하리라고 여겨진다.

  • PDF

식생활문화(食生活文化) 계승(繼承)의 현상(現狀)에 관한 한(韓).일(日) 양국(兩國)의 교육적(敎育的)인 과제연구(課題硏究) (A Study on Educational Tasks about the Succession Patterns of Dietary Culture in Korea and Japan)

  • 김혜자;춘전화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7-348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ccession patterns of dietary culture and to find out all the educational problems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in both countries as the central fig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knowledge acquisition about food of annual custom is 58% in Korea and 72% in Japan. What the rate of knowledge acquisition is high among both countries’ similar food of annual custom are ${\ulcorner}Seolnal(Gantan){\lrcorner}$, ${\ulcorner}Sambok(Doyonohi){\lrcorner}$, and ${\ulcorner}Chuseok(Tsukimi){\lrcorner}$. Cooking experience of festive food is 45% in Korea and 58% in Japan. Among both countries' common festive food what cooking experience is high in Korea are ${\ulcorner}Seolnal{\lrcorner}$ and ${\ulcorner}Chuseok{\lrcorner}$, which are over 97%. In Japan those are ${\ulcorner}Gantan{\lrcorner}$ and ${\ulcorner}Tsukimi{\lrcorner}$, which are over 80%. Regarding learning experience of festive food ${\ulcorner}Seolnal{\lrcorner}$ and ${\ulcorner}Gantan{\lrcorner}$ are beyond 80% and ${\ulcorner}Chuseok{\lrcorner}$ is 88%. In Japan ${\ulcorner}Tsukimi{\lrcorner}$ is 71% and ${\ulcorner}Omisoka{\lrcorner}$ is 85%. The learning sources of food of annual custom are parents and schools in common, and Korea has another learning sources, mass communication. Festive food that is cooked shows much similarity between two countries, but each country has originality. As common food of annual custom ${\ulcorner}Seolnal{\lrcorner}$ has nine kinds of food, ${\ulcorner}Sambok{\lrcorner}$ has three kinds, and ${\ulcorner}Chuseok{\lrcorner}$ has five kinds in Korea In Japan ${\ulcorner}Gantan{\lrcorner}$ has fourteen kinds of food, ${\ulcorner}Doyonohi{\lrcorner}$ has three kinds, and ${\ulcorner}Tsukimi{\lrcorner}$ has five kinds. The successive consciousness about food of annual custom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food in Korea. And Japanese consciousness is shown as an expansion-type on diverse food. Korean successive consciousness is 69.4% and Japanese consciousness is 82%. The higher the rate of knowledge acquisition, cooking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 are in both countries, the higher successive consciousness is. So we must note for the importance of home and school’s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