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Colonial period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4초

일제강점기 정읍 화호마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of Hwaho-Village, Jeongeu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성호;신병욱;김석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7-106
    • /
    • 2022
  •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 exploited the entire Korean Peninsula and targeted not only cities but also rural areas. The exploitation of rural area was accelerated with the support of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and The countryside was a living scene of direct exploitation.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was concentrated in representative port cities such as Kunsan, which transports logistics such as rice and grains. There was insufficient research on how Japanese entered the country, how Korean were plundered, and the rural villages that were the target of exploitation. The contents of hi-exploitation were also historical and historical humanities such as colonial land ownership and farm management,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xisting traditional villages were insufficiently investigated. Hwaho-ri, Shin Taein-eup, Jeollabuk-do, centered on Yongseo Village, there are many traces of farm houses, hospitals, employee residences, schools, churches, and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This study aims to study what changes traditional rural villages have brought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centering on Hwaho-ri Village.

일제강점기 양식건축구법(洋式建築構法) 사용의 특징과 계획적 변화 - 1910년대 조선총독부 관립시설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Facility Built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 1910s -)

  •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5호
    • /
    • pp.57-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with the change of th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the facility built by Joseon Government-General in 1910s. Through the 131 cases of governmental building, the tendency of the use of western building system. After 1910, Japanese Imperialism adopted the western wooden building system which main structure was made with combination of small pieces of timber for building the modern governmental facility because of the political and financial intention. So, all facilities were designed similarly by the structural module and the facade was finished by the feather boarding in the same with the 'sitamitakei-giyohu' in Japa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each facility was not revealed. Such an western wooden building system was used until 1920s with the change of the facade by the mortar coating. But, in 1920s-1930s, the building system have begun to change. The use of the brick system caused some changes although the planing concept was still lasted.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the reinforced concrete led to more changes on the overall scheme.

일제강점기 한국인 도서관 직원의 현황과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ctivities of Korean Library Staffs Who Worked in Librar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송승섭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71-19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피지배 계급으로 역사 속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한국인 도서관 직원들의 현황과 역할에 대해서 조사하고 그들의 활동을 재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인이 근무했던 도서관과 한국인 직원현황을 조사했다. 둘째, 그들이 도서관에서 종사했던 직책과 그 성격을 살펴보았다. 셋째, 한국인 도서관 근무자들이 받은 교육에 대한 참석 실태와 도서관 관련 잡지 투고 현황을 조사했다. 현황분석 결과, 일제강점기에 한국인 도서관 직원은 총 27개 도서관에 241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 강습회에 73명, 제29회 전국도서관대회에 22명이 참석하였고, 주요 도서관 잡지 기고자도 40여 명에 달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들이 해방 후, 우리나라 근대도서관 이식과정에서 일정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의 우리나라 철도성격규명에 관한 정성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Railway during the Japan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06-314
    • /
    • 2012
  • 한반도에서 철도가 처음으로 개통된 후 철도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었다. 즉, 경인선, 경부선, 경의선이 건설되었으며, 한일합방이후에는 한반도에서 철도는 일본의 식민화에 따른 지배의 수단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운송수단으로서 근대화를 촉진시키고, 조선의 경제, 문화, 사회의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현재, 한국 철도사 연구 중에서 연구가 미진한 부문의 하나가 일제강점기에 있어서의 철도의 성격규명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구체적인 철도의 영향력과 사회변화 등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와 관료를 중심으로 한 철도정책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철도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측면이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에 대한 성격규명을 정성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의 지휘를 받았던 철도국장 등 철도정책결정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철도관료의 분석을 통해 철도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하였으며, 대륙철도와의 연결과 국내산업개발 측면에서의 조선철도의 성격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일제강점기의 철도에 대한 성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제강점기 거문도 근대화 과정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Geomundo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social structure)

  • 박민정;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8
    • /
    • 2016
  • 본 연구는 거문도를 사례로 근대화 과정에 대하여 사회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근대화 이전 거문도의 사회구조는 하나의 마을을 기본적인 공간단위로 하는 공동체 의례와 조직에 기초한 전통적인 사회로 각 마을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인 공간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일본인의 이주라는 일제에 의한 강제된 근대화로 기존의 마을과는 별개로 형성되는 집단거주공간을 중심으로 근대화가 이식되고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개별 거주지 간 의 연계성이 강화되면서 공동체 의례뿐만 아니라 새로운 근대적 사회조직의 출현과 그 성격도 변화하였다. 그 후 근대화 토착화기에는 선진어업기술 및 유통체계의 근대화에 따른 자본주의적 생산체제로의 전환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근대적 규범이 정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관변조직 뿐만 아니라 각종 자생적 자치조직까지도 식민지 수탈정책을 보조하는 근대화에 역행하는 조직으로 전락하였다. 공간구조는 공동체의 영역 및 구성원의 외연적 확대로 마을 간의 연계성이 강화된 위계적인 구조로 재생산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의 '강제된 근대화'라는 한계성으로 기존의 자율적이고 자생적 조직의 해체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의 붕괴라는 부작용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 PDF

삼림법(森林法)(1908)의 지적신고제도(地籍申告制度)가 일제(日帝)의 식민지(植民地) 임지정책(林地政策)에 미친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the Forest-land Registry System of the Forest Law of 1980 on the Colonial Forest-land Policy used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

  • 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98-412
    • /
    • 2001
  • 본 연구는 삼림법(森林法)(1908)에 규정된 지적신고제도(地籍申告制度)가 일제(日帝)의 식민지(植民地) 임지정책(林地政策)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가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였다. 지적신고제도(地籍申告制度)는 국유림처분정책의 하나인 부분림제도(部分林制度)의 부속물로써 시작되었다. 인간의 기본권에 해당하는 소유권을 정립시키고자 하는 지적신고제도가 한국민의 관습을 무시하고 소유권구분기준도 마련되지 않은 채 우리하게 강행되었다. 한국민은 지적신고에 대해 임야세(林野稅)를 부과하기 위한 전조(前兆)로써 인식하거나 일본인이 한국의 토지를 수탈한다고 보았다. 이 제도에 따라 신고를 했던 계층은 중산층 이상의 지식층에 속하는 자, 나면관경(那面官更)(경원(更員)) 또는 이들의 친척(親戚), 연고자(緣故者)와 측량(測量)을 담당하는 대행업자(代行業者)들로 매우 한정되었다. 특히 임지가치에 비해 측량경비가 훨씬 많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원소유자조차 신고할 수 없었다. 3년간의 신고기간동안 약 52만건 220만정보가 신고 되었으며 마지막 5개월 동안 신고가 집중되었다. 그러나 총독부는 신고기간을 연장하라는 한국민의 요구를 묵살한 채 소유권 사정이나 경계 확정과 같은 후속 조치도 없이 일방적으로 종료하였다. 결국 삼림법 제19조에 따라 신고되지 않은 약 1,400만정보의 임지는 국유화되었다. 총독부의 식민지 임지정책은 (1) 총독부 초기에 대규모 국유림을 창출하고, (2) 창출된 국유림을 요존국유림과 불요존국유림으로 구분하여, (3) 불요존국유림을 일본인 중심으로 처분한다는 것이었다. 일본인에게 불요존국유림(不要存國有林)을 안정적으로 처분하기 위해서는 대량 창출된 국유림에 대한 소유권 변화를 막아야 했다. 이를 위해 일본인에게 양여(讓與)하거나 조림대부(造林貸付)해 준 산림에 대해 원소유자가 소유권을 주장할 경우 총독부는 정해진 기한내에 신고하지 않은 원소유자의 태만을 들어 붙요존림 처분을 정당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총독부는 "신고주의원칙"을 통치 초기 대규모 국유림의 창출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불요존림 처분이라는 식민지 임지정책을 강행하기 위한 족쇄로써 이용하였다.

  • PDF

일제강점기 지적공부(地籍公簿)의 작성과 의미 (A Study on the Creation and the Meaning of Cadastral Record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 송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29-38
    • /
    • 2018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hanges concerning the cadastral records that consist of the cadastre, the cadastral map and various registers of lan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dastre and cadastral map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m and became the basis of cadastral records. These two registers were first made out according to the Project of Colonial Land Survey in the year 1912. As the influx of foreign Weights and Measures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foreign concession since 1876, the traditional units of the Weights and Measures had abolished finally. The extortion of sovereignty led a rapid change to the Weights and Measures in 1910. Japan compelled us to change into Japanese System of Measurement. From that time on, Lot(筆地) and Pyeong(坪) were settled down on the registers of land.

일제강점기 부산부영 도축장의 설립과 변천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Busan Public Slaughterhous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 송혜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7호
    • /
    • pp.119-126
    • /
    • 2018
  • The Slaughterhouse is the place where animals are butchered for foo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slaughterhouse operated in Busanbu(釜山府) as public facilitie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hygienics which the idea of modern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roduced at that time. The establishment of slaughterhouse was based on the leading knowledge of public health. It also provided important revenues for the local government and became one of the technique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slaughterhouse was turned into the public management in 1921 and had to be shifted twice. Eventually, it had an effect on the culture of food greatly.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대구읍성내 북성로 가로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ad System of Bukseong-ro Eupseongnae, Daegu Buil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정복임;김주야;백영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85-93
    • /
    • 2011
  • As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aegu has been changed into a modern city. In addition, the nature of the city had changed a lot by withdrawal of Eup-sung and the opening of the road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 Japan. Of course, the expansion of the city was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Japanese popul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city, it is most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st city's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city must be considered with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city. And now the city reflects the role of the city in the past. In fact, the effect of the street constitution in Daegu Eup-sung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on the present time was very big and continues. Especi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city and consider the direction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has important implications.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change of Daegu Eup-sung Street and Formation of Dwelling Site focusing on the Buksung Str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city and changing process of the city by the past Buksung street and the current Buksung street as time goes by.

일제 강점기 철도관련 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adual Changes in Railway Organiz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이용상;정병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51-26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의 철도관련 법과 조직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철도관련 조직은 1906년부터는 통감부 철도관리국에서 시작하여 통감부 철도청, 일본철도원 한국철도관리국, 1910년에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관방철도부, 경성철도관리국으로, 다시 조선총독부 철도국, 조선총독부 교통국으로 변화하여 교통전반을 관할하는 조직으로 확대 되었다. 또한 영업거리의 확대에 따른 조직의 변화와 함께 철도종사원의 수도 증가하였고 충원을 위한 양성기관도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철도조직과 깊은 관련이 있는 철도망의 변화와 철도노선의 건설시기 등을 살펴본 후 관련법과 철도조직의 변화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철도네트워크와 철도조직 그리고 철도직원의 상관관계와 함께 각각의 특징을 분석해 보고 당시 일본, 만철, 타이완 철도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철도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당시 각국의 철도조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식민지성 등을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