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sland Length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제주도에서 채집된 후기자어에 의한 매퉁이과(Synodontidae) 1미기록종, Synodus kaianus (Günther, 1880) (First Record of Lizardfish, Synodus kaianus (Synodontidae) Based on Postflexion Larv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 최시원;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9-194
    • /
    • 2022
  • Unidentified postflexion larva (18.57 mm in standard length, SL), belonging to the family Synodontidae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November 2019. Molecular analysis revealed that the unidentified larva was identical to Synodus kaianus adults in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region (Kimura-2-parameter distance, d= 0.006), and was different from the close species S. macrops (d=0.220). The postflexion larva of S. kaianus has the following morphological features: regularly distributed seven peritoneal pigment spots along the alimentary canal; and, intensively distributed stellate melanophores at the middle of the base of caudal fin and behind the last anal fin ray. The postflexion larva of S. kaianus differed from that of S. macrops in snout length and size of peritoneal pigment spot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S. kaianus in Korea, and we suggest the Korean name "Ka-i-ya-kkoch-dong-myeol" for S. kaianus, according to Lee et al. (1999).

제주산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 Gray)의 분포와 서식지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Bibari Snake (Sibynophis collaris Gray)in Jeiu Island, Korea)

  • 김병수;오흥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2-347
    • /
    • 2005
  • 본 연구는 제주도산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의 분포와 서식지를 밝히기 위하여 1998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북부에서 5개체, 남부에서 1개체, 서부에서 2개체가 확인되어, 비바리뱀은 제주도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시기는 $5{\~}10$월이었고, 관찰빈도는 $5{\~}7$월에 높게 나타났다. 성체의 경우 몸길이와 꼬리길이는 각각 $406{\~}452mm,\;29+{\~}202mm$이었으며, 상순판의 수와 모양, 측두판 전열의 수를 고려하였을때 S. chinensis의 특징을 보이고 있어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재정립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식지로는 한라산 식생의 수직분포로 볼 때 해발600m 이하의 초지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바리뱀의 보호를 위해서는 주요 서식처인 초지대의 보호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댐퍼가 부착된 사장교의 케이블 장력에 관한연구 (A Study on Tension for Cables of a Cable-stayed Bridge Damper is Attached)

  • 박연수;최선민;양원열;홍혜진;김운형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09-616
    • /
    • 2008
  • 국가경제력 향상과 함께 바다와 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육지와 섬,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상 장대교량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장대교량은 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트러스교 등으로 대변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사장교는 주탑(Pylon)과 케이블(Cable), 보강형(Stiffened Girder)이 조화를 이루면서 외관이 아름다워 매력적인 교량형식의 하나로 최근 많이 계획되고 있다. 장력측정은 케이블에 설치한 가속도 센서로부터 케이블의 고유진동수 변화를 이용하는 간접법인 진동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댐퍼 설치 케이블의 유효길이 산정식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케이블의 유효길이 변화를 실측치와 해석값을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기존의 유효길이 산정방법인 댐퍼와 정착단간의 순간격에 의한 것은 최종 케이블 장력값 추정에 있어서 신뢰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유지관리 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케이블의 유효길이 산정식을 활용하여 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케이블의 재긴장 및 교체시기 결정 등에도 합리적인 의사결정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산 벚나무속 잎 형질의 분류학적 검토 (Evaluation of leaf morphology for distinguishing Prunus (Rosaceae) from Jeju, Korea)

  • 김찬수;문명옥;정은주;변광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1-98
    • /
    • 2005
  • 본 연구는 제주도산 벚나무속 식물을 대상으로 잎 형질의 분류학적 중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양적 형질은 엽신의 길이, 엽병의 길이, 엽폭, 엽맥 수, 분지각과 엽저각 등을 조사하였다. 질적 형질은 모용분포와 밀선의 위치 잎의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총 25개의 OTU에 대해 UPGMA에 의한 표현형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ubgenus Prununophora에 속하는 매실나무가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와 같은 유집군을 형성한 점과 subgenus Cerasus에 속하는 벚나무, P. speciosa, 산벚나무, 사옥와 올벚나무, 왕벚나무가 별개의 유집군을 형성한 점 등 일부 분류체계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subgenus Padus에 속하는 귀릉나무와 섬개벚나무, subgenus Microcerasus에 속하는 이스라지, subgenus Amygdalus에 속하는 복사나무가 각각의 유집군을 형성하는 등 분류체계와 유사한 양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국, 잎 형질, 그 중에서도 엽신의 길이와 폭의 비, 엽신의 길이와 엽병 길이의 비, 엽맥 수, 잎 기부에서 밀선과의 거리, 주맥과 잎 기부의 좌 우각 등과 모용의 분포 등이 제주도산 벚나무속의 식별형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oh Chang Island Eco-Tourism Mapping by Balloon-born Remote Sensing Imagery System

  • Kusanagi, Michiro;Nogami, Jun;Choomnoommanee, Tanapati;Laosuwan, Teerawong;Penaflor, Eileen;Shulian, Niu;Zuyan, Ya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94-896
    • /
    • 2003
  • Koh Chang Island is located near the east border of Thailand. The government of Thailand promotes the island as a model of eco-tourism spots. The Island undeveloped until recent years, is expected to change to major tourist attraction. 'Digital Koh Chang project' has thu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monitor the environment and land use status of the island and to support its sound development. In March 2003, a field survey of this project was planned and field data were collected using both airborne and ground platforms and an ocean vessel. These data were combined with satellite data in the laboratory. This presentation is all balloon-born system field operation. A 5-meter length balloon filled with Helium gas was used, whose payload consisted of two RGB standard color digital still cameras, two directional rotating servo motors, a camera mount cradle as well as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ponents. A series of aerial high-resolution digital images were rather easily obtained using this inexpensive system, making it possible to monitor intended landscape features in a specific field. Design of simple, low-cost and easily transportable flying platforms and local field surveys using them are useful for getting local ground truth data to calibrate satellite or airborne-based RS data. The design analysis to upgrade the system is further investigated.

  • PDF

상이개동맥 도상피판을 이용한 이개상부 및 그 주변부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Extended Region of the Upper Auricle Using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Island Flap)

  • 경현우;오상하;서영준;김동운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289-293
    • /
    • 2009
  • Purpose: The retroauricular flap has many advantages for facial reconstruction and is being performed by many surgeon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retroauricular flap to perform reconstruction of the upper region of the auricle and its surroundings, due to limited rotation arc and length of pedicle. We successfully reconstructed the upper region of the auricle and its surroundings with retroauricular flap by using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as a supplying pedic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atomic study about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s through anatomic studies with 7 fresh cadavers and then applied the findings clinically.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8, we performed 7 cases of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island flap to reconstruct the defects in patients operated on skin cancer. Sizes of the defects varied form $0.8{\times}0.8cm$ to $3.5{\times}3.0cm$. Results: We found that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is a reliable pedicle for the retroauricular flap, based on anatomical studies. All wounds of the patients were successfully closed. The flap donor site was primary closed except in one patient with a large defect. The aesthetic outcomes of the donor and recipient sites were satisfying. Conclusions: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island flap has several advantages.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superior auricular artery island flap is a treatment of choice for reconstructing soft tissue defect at the upper region of the auricle and its surrounding area.

홍도(紅島)의 적송집단(赤松集團) (Pinus densiflora S. et Z. Population in Hong-do Island in Korea)

  • 임경빈;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1
    • /
    • 1974
  • 전남(全南) 신안군(新安郡) 흑산면(黑山面) 홍도리(紅島里)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홍도(紅島)의 적송집단(赤松集團)을 대상(對象)으르 개체(個體)의 수형(樹型), 분지각(分枝角), 수피색(樹皮色), 추재율(秋材率) 침엽장(針葉長), 수지도(樹脂道)의 위치(位置)와 수(數) 등이 조사(調査)되었다. 홍도(紅島)에 자라는 송류(松類)는 적송(赤松)이 대부분(大部分)으로 필자(筆者)는 조사(調査)도중 단일주(單一株)의 해송치수(海松稚樹)를 발견(發見)하였을 뿐이다. 20년생(年生) 이상의 적송(赤松) 14개체(個體)의 침엽(針葉)을 검경(檢鏡)한바 어느 정도(程度)의 해송인자(海松因子)가 혼입(混入)되어 있었다. 밀엽형개체(密葉型個體)와 소엽형개체(疎葉型個體)를 볼 때 부수지도(副樹脂道)의 수(數)가 현저하게 적은 것이 특징(特徵)이며 특히 소엽형(疎葉型)의 경우 부수지도(副樹脂道)의 수(數)가 1.3 이라는 평균치(平均値)를 보였다. 현 단계로서는 과거부터 홍도(紅島)에 해송(海松)이 있었던 것으로 보기 어렵고 해안일대(海岸一帶)에 분포(分布)하는 해송(海松)으로부터 화분(花粉) 비산공여(飛散供與)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료를 이용한 간단한 손가락 섬피판 디자인 (Polyurethane Foam Template for Simple Design of Digital Island Flap)

  • 김남중;최환준;김준혁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8권1호
    • /
    • pp.35-39
    • /
    • 2009
  • Purpose: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attempted for design of the flaps. However,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They have thin, pliable, and two dimensional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usefulness of polyurethane foam dressing materials for three dimensional design of the digital island flap. Methods: From June of 2007 to september of 2008, 10 patients received digital island flap surgery for soft tissue defect of the finger. After minimal debridement of the wound, size and shape of the defect were measured using polyurethane foam. We used Medifoam-$5^{(R)}$ And then, designed this inset the wound. The flap was designed on the donor site with a arterial pedicle as the central axis according to size and shape. A full thickness skin graft from the groin is applied on the flap donor defect and secured with a tieover bolster dressing. Results: Reviewing sizes of the flaps, the length and width of flaps ranged from 1.5 to 3.3 cm and 1.0 to 2.5 cm. The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llows identification of the donor depth of finger. The distance for the soft tissue ranged from 4.3 mm to 6.7 mm. Mean depth of donor site was 5.3${\pm}$0.6 mm. Also, the thickness of Medifoam-$5^{(R)}$ ranged nearly 5 mm. On flap insetting, full-thickness skin graft was necessary. We did not experience any problems in the recipient site size either, regardless of the extended flaps. Conclusion: Polyurethane foam has many advantages over the more conventional templates. Refinements in flap design and surgical technique resulted in favorable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Especially, for beginner, Polyurethane foam dressing material is a simple and safe tool and therefore is an excellent choice for design of the island flap.

  • PDF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줄삼치(Sarda orientali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Oriental Bonito (Sarda orientalis) in Coa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김현지;정재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3
    • /
    • 2020
  • 줄삼치(Sarda orientalis)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제주 주변해역에서 고등어 선망어선에 혼획된 288개체를 이용하였으며, 가랑이체장(fork length)과 체중을 각각 0.1 cm와 0.1 g까지 측정한 뒤 해부하여 먹이생물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고 최대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IRI)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크기군과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줄삼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에서도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외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단각류(Amphipoda), 두족류(Cephalopoda)가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적었다. 줄삼치는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어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성장하면서 먹이생물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채집된 갈치꼬치과(Gempylidae) 어류 1 미기록종, Lepidocybium flavobrunneum (First Record of the Escolar Lepidocybium flavobrunneum (Perciformes: Gempy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송영선;명세훈;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31
    • /
    • 2020
  • 농어목(Perciformes) 갈치꼬치과(Gempylidae)에 속하는 Lepidocybium flavobrunneum 1개체(체장 910 mm)가 2016년 4월 28일 한국 제주도 해역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등지느러미 극조가 매우 짧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쪽에 각각 6개와 5개의 토막지느러미를 가진다. 또한 꼬리자루에 강한 측융기선 1개와 그 뒤쪽에 2개의 작은 돌기가 있고, 체측에는 불규칙한 파상무늬의 측선이 구불구불하게 뻗어 있다. 이 종의 새로운 속명과 국명으로 '흑갈치꼬치속' 및 '흑갈치꼬치'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