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industry effec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Research on Spatial Dependen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Intra-Industry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South Korea's Agricultural Trade Data

  • Lv, Hong-Qu;Huang, Chen-Ya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3호
    • /
    • pp.116-133
    • /
    • 2021
  • Purpose - Intra-industry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can eliminate the disadvantage of Korea's traditional agriculture and improve its lack of comparative advantag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level and index of intra-industry trade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explore the spatial dependence and spillover effect associated with this type of trad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intra-agricultural trade a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the population and the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Design/methodology - First, the level of intra-industry trade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s measured. Second, to obtain a more accurate estimate of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and based on two types of weight matrices, a spatial econometric model is constructed from two aspects: population and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statu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ntra-industry trade are also studied. Findings -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positiv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Korea's intra-industry trade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that of its trading partners. The spatial spillover effect of this type of trade is verified by using the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SAR). Labor-intensive agricultural product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spillover effect on intra-industry trade, while land-intensive product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riginality/value - In this paper, the two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meticulously distinguished, and the spatial effect of the intra-industry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of the coefficients of the factors by using the spatial econometric mod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ordinary panel data model.

유럽연합 확대와 역내 교역흐름 및 교역구조 변화 (Intra-European Trade Flow and Trade Structure)

  • 문남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6-420
    • /
    • 2009
  • 유럽연합의 경제적 통합과 지리적 확대는 역내 회원국간 교역흐름과 교역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 유럽연합의 역내 교역량은 경제통합과 단일시장 확대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러한 교역량 확대는 시장통합에 따른 회원국간 무역창출 및 무역전환효과에 의한 것이기도 하지만, 신규 회원국의 가입에 따른 시장확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신규 회원국의 가입이 교역량 증대에 미치는 효과는 점차 약화되고 있다. 둘째, 경제통합과 단일시장 확대에 따른 무역확대로 서부유럽은 물론 남부유럽과 중 동부유럽의 역내시장에 대한 수출 입 의존도는 증대되었다. 특히 남부유럽 및 중 동부 유럽의 역내 수출 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증가하였다. 셋째, 유럽연합의 역내 회원국간 교역구조는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과 단일시장 확대로 규모경제가 가능해짐으로써 상품의 차별화에 의한 산업내 교역이 증가하였다. 산업내 교역에서도 수평적 산업내 교역은 감소하고 수직적 산업내 교역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산업내 교역은 서부유럽의 교역에서 높았으며 산업간 교역은 남부유럽 및 중 동부유럽의 교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부유럽 및 일부 중 동부유럽국가의 교역구조도 산업간 교역에서 산업내 교역으로 변화되고 있다.

  • PDF

특허권 강화와 특허출원 변화의 기술혁신 및 생산성 파급효과: 산업내 및 IT산업의 산업간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Spillover Effects of Patents and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Productivity and Innovation: Intra- and Inter-industry Spillovers of IT Industry)

  • 김정언;강성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15권1호
    • /
    • pp.145-173
    • /
    • 2007
  • Using patent and firm-level panel data for 1982-2001, this study investigates spillover effects of patents and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Productivity and Innovation. As well as we consider the effect of intra-industry spillovers, we extend the effect to inter-industry spillovers which implies the effects of IT industries on non-IT industrie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owing for firm-level variables, market competition and technological spillovers, the strengthening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on innovative activities. Second, while innovative activities of domestic firms affect significantly firms' innovative activities, those of foreign firms do not. Third, innovative activities of IT industries as inter-industry spillovers play a significant role on innovative activities and labor productivities of domestic firms.

  • PDF

한·중·일 농산물 경쟁력과 한·중 FTA 농산물 교역량증가 효과 (The Competitiveness of Korea-China-Japan agricultural products and Korea-China FTA Agricultural Trade impacts)

  • 남국현;이천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2호
    • /
    • pp.71-8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imports from Korea and China. and then we discussed how to cooperate in the agricultural trade field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ra-industry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was the most active in Korea and China, followed by the intra-industry trade index between Korea and Japan. The intra-industry trade between China and Japan were the lowest. Second, The mutual complementar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rade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s mostly high. Among them, Korea and Japan are the highest, while Japan and China have the lowest complementarity. Third, it was found that in tariff elimination, imports of rice and meat products increased the most, while the import growth rate of green tea, meat products and ginseng increased the most. Finally, the three count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can consider the way to increase the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region by internalizing the trade of complementary item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level of production of mutually competitive products.

스포츠화시장의 구매시점효과에 관한 기술적 연구 -요일효과와 월중효과를 중심으로- (A Descriptive Study on the Purchase Timing Effect in Athletic Shoes -Focused on Day-of-the-week Effect and Intra-month Effect-)

  • 이민호;황선진;곽영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22-431
    • /
    • 2012
  • The influence of a marketing mix on the consumer purchasing process is well documented in academic fields; however, studies of when consumers purchase fashion brands or products in terms of the day-of-the-week effect and 10-days-of-the-month effect on various channels to a given brand in practice are limited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empirically describes the purchase timing behavior for athletic shoes using daily sales data from a domestic brand in Korea from January in 2006 to December in 2010. The results show that Saturday and Sunday have significantly higher sales than weekdays. In addition, the first and third 10-days-of-the-month yield a higher sales volume than the second 10-days-of-the-month. The department store's sales volume (compared with discount and franchised stores) was higher in the first 10-days-of-the-month; however, the discount and franchised stores have a higher sales volume in the second 10-days-of-the-month. Three store type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es volume for the third 10-days-of-the-month. Based on the results, in practice, marketers for a specific domestic brand can develop a new marketing expenditure plan, store supply plan, and cash-in and cash-out plan to maximize profits. This research can introduce constructs such as purchase timing distribution, the day-of-the-week effect, and the ten-days-of-the-month effect for the fashion industry.

국내 유가증권 시장 상장기업들의 산업별 최적 현금유동성 수준 존재에 대한 실증분석 (Existence of an Industrial Optimal Level of Cash Holdings for KOSPI-Listed Firm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 김한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9-157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자본시장의 이해관계자들 (정책당국자, 기업담당자, 그리고 투자자들) 사이에서 현재까지 적극적 논의가 되고 있는 재무적 관점에서의 최적 현금유동성 수준의 존재 여부에 대한 분석이며, 실증적 연구대상 기간은 최근까지의 회계연도 자료를 포함한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이다. 동 연구의 수행방법으로서 '산업별' 그리고 '산업내' 분석을 기준으로 한, 모수적 그리고 비모수적 공분산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표본대상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국내 기업들이다. 산업별 최적 유동성 수준 존재 여부에 대한 첫 번째 가설 검정에서는 총 25개의 표본산업들 간에, 동 유동성 수준의 차별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판명되었으며, 동 결과는 일부 산업들 (3개) 에서의 차이에서만 도출된 결과라고 추정되었다. 두 번쨰 가설인 산업내의 최적 유동성 존재에 대한 결과 관련, 2개의 산업에 속한 기업들만이 동 차별성에 대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현재 국내 상장기업들은 평균적으로 각자의 산업별 그리고 산업내 최적 현금유동성 수준에 접근하기 위한 재무적 과정 중이라고 추정되며, 향후 동 최적 유동성 수준에 도달할 경우 경영의 목표인 기업가치의 극대화도 성취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류산업의 주요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MRIO를 이용하여) (The Major Ripple Effects of the Logistics Industry (Using a MRIO(Multi-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 최영윤;김찬성;박민철;성홍모;신승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7-114
    • /
    • 2010
  • 본 논문은 국가 경제의 동맥역활을 하는 물류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권역별 물류산업의 특징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6개 권역(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북권, 경남권)으로 구분된 지역산업연관표(MRIO표)를 이용하여 지역별, 산업별로 경제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게 기존의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29개 부문으로 재구성하였고, 총산출액 비교 및 외생화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공급지장효과, 전후방연쇄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물류산업은 생산유발효과보다 공급지장효과가 큰 산업으로 나타났고, 지역간의 거래보다는 지역내의 거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수도권 물류산업은 중간수요적 원시산업 특성을 가지는 관계로 파급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남권의 자동차 및 석유화학, 전라권의 석유화학 등에 미치는 물류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태안만 원유유출사건에 대한 시장반응과 환경공시 (Intra-Industry Market Response to the Tae-an Oil Spill Accident and the Corporate Environmental Disclosure)

  • 최종서;임형주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2007년 12월 7일에 발생한 태안만 원유유출사건에 대한 관련 산업의 시장반응을 조사하였다. 태안사고는 국내의 조선업, 원유산업에 대해 환경관련 규제의 강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를 낳았고 환경산업에 대해서는 환경복구와 관련한 수익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사회적 비난의 고조 및 규제강화의 전망은 조선업과 원유산업의 주가는 하락시키고 수혜산업의 주가는 상승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태안원유유출사고는 이중선체 유조선 의무화 조치의 발효를 앞당기는 계기가 되어 국내 선박제조업에 호재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사고 직후 하락하던 조선업의 주가는 규제발효 이후 반전하여 지속적인 양의 추세를 유지하였다. 개별기업에 대한 분석에서 환경공시의 수준이 양호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부정적인 시장반응이 완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PDF

Measuring Economic Externalities of IT and R&D

  • Rim, Myung-Hwan;Cho, Sang-Sup;Moon, Choon-Geol
    • ETRI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206-218
    • /
    • 2005
  • We measure and compare externalities of IT and R&D capital stocks in different Korean industry sectors using inter-industry input-output tables of 1985, 1990, 1995 and 2000. We also compute the multiplier effects that relate to the directions of future economic effect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observed continuous capital deepening in all nine industries over the period of 1985 to 2000. Second, the backward multipliers of IT capital were the highes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for inter-industry externalities, the indirect backward multipliers, which exclude intra-industry backward multiplier effects within the industry, were also the highes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rd, the forward multiplier effects of IT capital stock were the most substantia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uring the 1980s an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reafter. Finally, using the transition multiplier matrix reflecting the backward effects of the two capitals in the past, the economic backward effects, especially the external economic effects, are predicted to increase through 2010 among all industri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forward and backward effects of the ever-increasing IT capital, we need to formulate an industry policy reducing the cost of capital accumul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rough improvement in productivity of the IT industry.

  • PDF

산업별 창업 결정요인의 세 가지 가설 검증, 2008-2014년 (Three Hypothesis Tests for Determinants of Business Start-up)

  • 이창근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17-2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산업별 창업의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요인, 소득 요인, 기술 혁신 요인 외에 지역 요인에도 초점을 맞춰 지역 산업구조 특성 및 지역 노동시장 구조를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별 창업 결정 요인에 있어서 창업의 세 가지 이론은 대체로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경기쇠퇴기에 오히려 창업이 증가하였고, 지역 내 소비 뿐 아니라, 1인당 지방재정지출의 경우에도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업을 통한 지역경제 성장을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창업보육센터가 제조업 부문에서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중앙 및 지방정부의 창업 지원정책의 일환인 창업보육센터 외에도 다양한 산학 주도형 창업보육시설 또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업에 있어서 인구증가는 잠재적 수요 창출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요소였으며, 지역 산업구조 특성과 지역 내 인적자본의 영향은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집적효과가 동(同)산업의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기타 서비스업의 경우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인적자본 변수가 창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