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variables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3초

병원근로자의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 결정요인 :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Determinants of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spital Employees : Estim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김동휘;서영준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72
    • /
    • 2020
  • Purpo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CO-OCB) of hospital employees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CO-OCB.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or hospital employees of ten hospitals located in five regions, including Seoul. Out of 1,100 question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administrative routes, a total of 617 copies were returned(response rate 56.1%)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1.0. Finding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lanatory power(56.4%) of the model was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variables of psychological attributes(R2-change 33,5%). Also, the variables of self-efficacy, followed by hope, the organizational climate for innovation, the psychological safety climate, team-member exchange, and leader-member exchang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total effects on CO-OCB,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CO-OCB of hospital employees, the administrators have to take the integrated approach considering the various domains of factors including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job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organizational climate simultaneously.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A Study o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 이경숙;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2-88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ri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2 persons over 65, who could be easily met in households, pavilions for the aged, and park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4th to April 12th, 1997 by interviews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Ware (1979) and translated by Yu Ji-Su(1985).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 developed by Walker, Sechrist & Pender (1987) and partially amend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 was parameterized by nutrition, exercise, stress management, self actualization,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 -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an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perception in the elderly, the highe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was supported(r=0.449, p<0.001). 2. The health perception mean score on a four point scale was 2.564. 3.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mean score on a four point scale was 2.560. The factor of the highest mean score was interpersonal support(2.850) and factor of the lowest mean score was exercise(1.964). 4.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x(t=4.12, p<0.001), religion(t=2.47, p<0.05), education(F=3.27, p<0.05), marital status (t=2.22, p<0.05), living situation(F=3.50, p<0.05), and hobby(t= -2.57, p<0.05) showed strong connections to health perception. 5.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religion(t = 1.83, p<0.05), and marital status(t= 2.12, p<0.05) showed strong connections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health perception is an important factor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The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howed strong connections to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refore, nurses should consider health percep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when they plan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Also, educational programs encouraging constructive health perception should be developed.

  • PDF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표참여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 Media Effects on Candidates' Image and Correlations Among Media Us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Voting Participation)

  • 김진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2권
    • /
    • pp.113-1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용과 선거캠페인의 이용이 투표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1) 지역미디어이용과 주의 깊은 선거캠페인 이용이 대인커뮤니케이션과 투표참여에 영향을 끼쳤는가 2) 주의 깊은 선거캠페인에서 형성된 후보자 이미지가 투표에 영향을 미쳤는가, 또, 정당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지방선거에서 정당요인과 이미지요인이 투표에 어떤 영향을 가지는가 그리고 3) 각기 다른 매체들은 후보자 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어떤 차별적 역할을 하는가를 검토해보았다. 연구 결과, 주의 깊은 정치캠페인 이용과 지역신문 이용은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증가를 가져왔고, 또 대인커뮤니케이션을 많이 하면 할수록, 투표참여가 높았음이 경로분석에서 드러났다. 즉, 정치참여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은 미디어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완적 관계임이 확인되었다. 또, 투표참여의 중요한 세 변인인 이슈, 이미지, 정당 가운데, 이미지와 정당요인이 후보자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정당지지와 후보 결정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발견했지만, 후보자 이미지가 후보결정이나 투표참여로는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미지 요인과 정당 요인 중 후보결정에는 정당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또, 유권자들은 자신이 이미 선호하고 있는 정당지지성향에 따라, 상대정당 후보보다 자신의 지지정당 후보의 이미지를 모든 요인에서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인지균형이론의 적용을 보여주었다. 후보자 이미지에 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는 부분적으로 증명이 되었다. 즉, 후보자의 이미지 중, 능력 요인은 TV 토론회, 인터넷 홈페이지, 홍보책자를 각각 주의 깊게 이용한 실험집단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성연구의 차별적으로 기여하는 점은 기존의 연구는 기업의 명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비해서 실제 국내에서 명성을 축적한 기업을 대상으로 명성측정을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각 기업의 명성을 계량화하고 명성을 구성하는 차원이 실제 명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해서 파악했다는 점이다. 이는 실무적으로 보았을 때 홍보담당자가 자신의 기업홍보활동이 기업명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 경쟁기업의 홍보활동에 비해서 얼마만큼 효율적이었는지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어에 대한 차별성 내지 특수성에 기인하는 동기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강하다. 또한 기존 이론과 연구들에서 유의미한 이동전화 이용의 요인으로 제기된 사회심리적 특성들은 조사대상인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큰 차이 없이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그 중에서도 "혁신성"과 "타인지향성"이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X>62mL, 부분반응군 330${\pm}$136mL, 무반응군 140${\pm}$43mL, 야간 다뇨는 각각 59.3$\%$(16/27), 40.7$\%$(11/27), 0$\%$(0/27)로 야간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P<0.05). 일회 최대 요량은 완전반응군 236${\pm}$42 mL, 부분반응군 209${\pm}$56 mL, 무반응군 107${\pm}$36mL로 최대 요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치료 효과가 좋았다 (p<0.05). 연령, 성별, 일일 수분 섭취량, 다음, 일일 요량과 다뇨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야간 수분

  • PDF

장애인의 구직효능감을 위한 구직역량프로그램 효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for Job-seeking Efficacy of the Disabled)

  • 김병숙;송성화;최정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87-3598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 구직역량프로그램이 진로장벽 극복을 통한 구직효능감 향상과 직업유지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1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7차례에 걸쳐 총 86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1일 6시간씩 4일간 총 24시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위탁 개발한 구직역량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효과분석을 위해 연구대상 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검사와 실시 후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측정도구로 구직효능감은 자기효능감, 구직기술, 대인관계기술, 직업정보탐색기술 등 4개의 변인으로 구성했으며, 직업유지의지 변인 과 함께 총 5개의 변인에 대해 검증했다. 분석 결과, 첫째, 구직효능감 중 대인관계기술과 직업정보탐색능력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된 반면, 자기효능감과 구직기술에서는 기각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기술이 직업유지 의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인관계기술 향상이 직업유지의지에도 영향을 미쳐 장애인들에게 있어 대인관계 역량강화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The Research of Ability to Use Internet, Interpersonal Skill, and Social Activity among the 50's and 60's in Seoul: Latent Mean Analysis)

  • 김동배;김상범;김세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33-74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장·노년층 세대 내 정보화격차를 고려하여 50대와 60대 간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사회활동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시복지재단에서 실시한 2008년 서울시복지패널조사이며, 50대 644명과 60대 297명이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특성, 집단 간 평균비교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기술 분석, t-test,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매개모형의 검증과 50대와 60대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활용능력과 사회활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 결과 50대는 인터넷활용능력이 높으며 60대는 사회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은 노년기 사회활동을 증대할 수 있는 인터넷커뮤니케이션 활용기술과 관련되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세대 내 인터넷활용능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유아의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e Home Environment, Social economic status, and Leadership of Children)

  • 김민영;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9-284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 173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출생순위, 모 학력, 모 취업여부, 총수입)에 따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출생순위에서 둘째 이상인 유아가 첫째보다 대인관계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가 전문대 이하 학력인 어머니보다 가족압력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총소득에 따라서는 월 400만원 이상인 가정의 유아가 논리 수학지능, 자연이해지능, 언어지능, 학습환경, 아동존중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영역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수입, 언어지능, 가족압력이 주도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총수입, 가족압력은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지능, 대인관계지능, 학습환경이 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압력이 리더십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경제활동 유지 장애인의 취업의사 예측변인 탐색 (Predictors of Intention to Work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Maintain Economic Inactivity)

  • 안예지;지은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65-84
    • /
    • 2017
  • 본 연구는 비경제활동을 지속하는 장애인들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에서 2년 연속 미취업상태로 확인된 총 2,255명을 대상으로 $X^2$ 검증, t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경제활동을 유지하는 장애인들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인구학적 요인, 장애 요인, 인적자본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요인에서 남성이거나, 배우자가 있거나, 기초생활수급자인 비경제활동 유지 장애인일수록 높은 취업의사를 가질 확률이 상승했다. 장애 요인 중 장애차별경험의 경우, 장애차별경험이 많을수록 비경제활동 유지 장애인들의 취업의사가 높을 가능성이 상승했으나, 이러한 결과는 구직활동에 적극적일수록 장애차별경험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는 상관관계 측면에서 이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인적자본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 중에서 활용능력(컴퓨터, 영어구사능력, 대인관계 및 적응능력), 직업재활서비스의 직업훈련 프로그램 이용 경험, 자아존중감 등의 세부 요인이 비경제활동 유지 장애인의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 취업지원 확대, 장애인의 활용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전반적 확대와 접근 편이성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여대생의 성 역할 정체성, 건강증진 행위 및 월경 전 증상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Sex Role Ident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remenstrual Symptom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혜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03-1012
    • /
    • 2007
  • Purpose: The role of sex role identity type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relation to premenstrual symptoms and interrelatedness among the three variables were examined. Method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employed with 327 female university students. KSRI, HPLP, and MDQ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Results: Four types of sex role identities were classified; undifferentiated(33.7%), androgyny (32.7%), masculinity(16.8%), and femininity(16.8%) in order. Premenstrual symptoms(F=3.11, p= .027)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F=12.74, p= .00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role identity types. As determinants of premenstrual symptoms,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all subjects, stress coping for the feminine typ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undifferentiated type were identified.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feminine type and undifferentiated type, premenstrual symptoms and self responsibility were shown as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 Interrelatedness among sex role identit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remenstrual symptoms imply the importance of a psychosocial aspect in premenstrual symptoms. Therefore, these three variables should be applied more specifically for nurs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women having premenstrual symptoms.

가정내 치매노인간호자부담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Family Caregivers' Burde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문혜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8-132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urces of the caregiving burden, thereby suggesting social welfare alternetives for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23 family caregivers who participated in self-help group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elderly at a welf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Seoul were seleted as the study sample. Zarit caregiving burden scale and Zarit functional impairment measurement for the elderly were adapted for this study and a number of additional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rrelational analysis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impair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egative elderly. caregiver-family relationship(PADL:r=.6032 IADL : r=.5930 p<.05). 2) The impact on caregiver's health was ver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act on the caregiver's task(r=.6233 p<.001). 3) The Impact on caregiver's health was ver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act on the caregiver's social activity restriction(r=.6851 p<.001). 4) The impact on the caregiver's social activity was ver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act on the caregiver's task(r=.6969 p<.001). 5) Caregiver's incom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mpact on the caregiver's task(r=.5252 p<.05). 6) Compensation(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the caregivers, social praise and appreciation of the elderly) was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 to the feeling of the caregiving burden.

  • PDF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Predictors of Children's and Adolescents' Game Addiction : Impulsivity,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Expectation about the Internet Games)

  • 최나야;한유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209-21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 of individual-, parents-, and game-related variables on game addiction. Totally, 1065 10 to 18-year-olds participated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Male students had more tendency to game addition than female student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diction, however, was appeared among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groups, which means that many young children are already Same-addicted. More severely addicted children and adolescents showed higher level of impulsivity, mor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more expectation of psychological gratif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internet games. The relative effects of these independent variables to game addiction were different among gender*school groups. Firstly, impulsivity was significant only in boys of elementary group. Secondly, for the junior-high group, communication with father and mother was important to boys and girls, repectively. Lastly, expected gratification from gaming itself mainly predicted high school students' game addiction, irrespective of gen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arlier intervention to young garners should be carried out. It is also indicated that parents' and teachers' role for guidance of the internet games would be different with children's gender and developmental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