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e Home Environment, Social economic status, and Leadership of Children

유아의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김민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9.1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thesis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demographical variables, multiple intelligences,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on the child leadership. Study samples are 5 years old children at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as well as their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173 copi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difference of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 leadership depending on social demographical background, The second child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terpersonal intelligence among other multiple intelligences from the first child with regard to the birth order. In terms of mother's education level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mothers with education more than universities showed big difference in family pressure. In terms of effects of total income, the children from families with total income over 4 million w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ogical, mathematical, naturalist intelligence. and language intelligence. In term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ith regard to learning environment and child respect. Second,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child leadership showed correlated strongly. Third, total income i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language intelligence in multiple intelligences, and family pressure in creative home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it. Total income in social and demographical variables and family pressure in creative home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it. Interpersonal relation intelligence in multiple intelligences and learning environment in creative home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it. Total leadership had effects on family pressure only in creative home environment.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 173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출생순위, 모 학력, 모 취업여부, 총수입)에 따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출생순위에서 둘째 이상인 유아가 첫째보다 대인관계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가 전문대 이하 학력인 어머니보다 가족압력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총소득에 따라서는 월 400만원 이상인 가정의 유아가 논리 수학지능, 자연이해지능, 언어지능, 학습환경, 아동존중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영역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수입, 언어지능, 가족압력이 주도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총수입, 가족압력은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지능, 대인관계지능, 학습환경이 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압력이 리더십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수(2010). 리더십과 인기도 및 다중지능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소영(2002).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윤정(1999).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어머니 양육행도오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기영(2006). 또래 상호작용 속에서의 유아 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민선(2004).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순자(2001). 아동의 가정환경 변인과 리더십간의 관계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6(2), 5-23.
  7. 김영란(2009). 시민성향상을 위한 리더십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옥경(2003). 몬테소리 유치원 유아의 다중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진영(1998). 유치원에서 또래 간 사회적 힘의 형성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향숙(2001). 음악적성 및 음악흥미와 정서지능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3(1), 50-71.
  11. 김향자(2001). 유아의 다중지능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기보경(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남영옥(2006). 가정환경변인 및 기질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아동교육, 15(1), 279-292.
  14. 노영희(2003).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문용린(2004).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 북스.
  16. 박선영(2001). 유아의 협동과정에서 나타나는 리더의 형성과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주희(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 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박현정(1992). 가정환경과 유아교육기관의 질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여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서기남(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신화식, 김명희(2006).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21. 심숙희(198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양옥승, 신화식, 이경옥, 황혜경, 김승옥(2004).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MIDAS-MYC)의 구조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5(4), 115-128.
  23. 여윤경(2003).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오미형, 최보가(2006). 취학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 1-20.
  25. 윤은숙(2003). 초등학교 저학년 리더의 유형에 관한 연구. 광주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영자(1989). 부모의 훈육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동기와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은미(2006).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은진(2004).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명숙(2006). 또래관계에서의 유아 리더십 양상과정 및 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85-106.
  30. 이민경(2005).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에 관한 분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병림(1987). 아동의 생활능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숙정(2001). 아동의 다중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채호, 최인수(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34. 장영애, 서용선(1983).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와 학령전 아동의 발달 수준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4(1), 1-10.
  35. 조경서(2001). 또래집단의 리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조귀남(2004). 유아의 가정양육환경과 다중지능의 상관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최남례(2005). 유아 서번트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추미란(1998).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배경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ew York: Crown.
  40. Bohlin (2000). Attachment and social 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from infancy to middle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9(1), 24-39. https://doi.org/10.1111/1467-9507.00109
  41. Bronfenbrenner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2. Campbell, D. (1991). The challenge of assessing leadership characteristics. Issues & Observations, 11(2), 1-8, Greensboro, NC: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43. Cohn, D. A., Patterson, C. J. & Christopoulos. C. (1991). The family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 315-346. https://doi.org/10.1177/0265407591083002
  44. Gardner, H. (1983). Are there additional intelligences? The cast for naturalist, spiritual, and existential intelligences. In J. Kane(Ed) Education, Information and Transformation, 111-131.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45. Hills, T. W. (1987). Children in the fast lan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policy and practi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3), 265-273. https://doi.org/10.1016/0885-2006(87)90035-4
  46. Hyson, M. C. (1991). Building the hothouse: How mothers construct academic environment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3, 31-37.
  47. Lynham, S. A. (2000). Leadership development: A Review of The Theory and Literature; in P. Kuchinke (ed.), Proceedings of the 2000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nual Meeting, Baton Rouge, LA: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48. Mayesky, M. (1990).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New York: Harper: Delmar Publishers, Inc.
  49. Mitchell, A. (1997). Reflection on early childhood leadership development: Finding your own path. In S. Kagan & B. Bowman (Eds.),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pp.85-94).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50. Northouse, P. G. (1997).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1. Perry, D. G., & Bussey, K. (1984). Social development. New Jersey: Prentice Hall. 310-317.
  52. Scarr, S. (1987). Mother care/ other care(A Pelican book). Penguin Books: 2nd ed edition.
  53. Shearer, C. B. (1996). The MIDAS handbook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Columbus, Ohio : Greyden Press.
  54. Tegano, D., Moran, J., & Sawyers, J. (1991).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pp. 57-72).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Press.
  55. Wright, C., & Wright, S.(1986). A conceptua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family's influence on creativity. Family Perspective, 20, 127-136.
  56. Zajonc, R. B., & Mullaly, P. R. (1997). Birth order: Reconcilling conflicting effects. American Psychologist, 52(7), 685-699. https://doi.org/10.1037/0003-066X.52.7.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