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ation of the Motivational Self-Concept Rating Scale for Child Care Teachers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척도 타당화 연구

  • 허린강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 이완정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8.2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define and validate the motivational self-concept for child-care teachers. Based on related researches, items were remodified to be good enough to use for studying child-care teachers' motivational self-concept. Redefined items were analysed by factor analysis and validated by use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heir ego-resiliency. Researchers have garnered data from 321 child care teachers as convenience samples who are engaged i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by using questionnaire research methods. We have eliminated questions that are .40 below communality, questions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6 factors and 23 items were selected; 6 factors have indicated that it explained 77.12% of total variate motivational self-concept rating scale and ${\alpha}$ of Cronbach that of total items indicated acceptable level. After examining relevancy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ego-resiliency to verify compliant feasibility of the motivational self-concept rating scale, the relation between motivational self-concept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604(p<0.001) indicating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motivation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y was 4.456(p<0.01) indicating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rough this result, it is verified that motivational self-concept rating scale has compliant feasibility in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ego-resiliency.

본 연구는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동기 부여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의 문항을 수정보완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척도 문항을 보완하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보육시설에 종사하는 보육교사 321명을 편의표집하여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전문성인식, 자아탄력성 및 배경변인을 설문지 조사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척도의 예비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6요인 23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개 요인은 전체 변량의 77.1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척도의 Cronbach의 ${\alpha}$는 .935로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보육교사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은 이들의 전문성 인식 및 자아탄력성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척도의 준거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하대학교

References

  1. 강란혜 (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5(1), 71-88.
  2. 구연성. (2004).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동기부여적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인숙. (2009).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라 원장-교사 교환관계 . 자아탄력성 .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박청원. (2009).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교사의 학교장 신뢰,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및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현진. (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안진희. (2010).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과의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유명희 (2006). 기업내부고객의 MICE가치인식과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이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2(2), 117-134.
  9. 이상석. (2005). 동기부여적 자아개념(MSC)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정미. (2009).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은정. (2005). 코칭리더쉽이 동기부여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황신덕. (2004). 상사의 리더십 및 상사에 대한 신뢰와 구성원태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Fleming, J. S., & Watts, W. A. (1980). The dimenonity of self-esteem: Some results for a college sam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921-929. https://doi.org/10.1037/0022-3514.39.5.921
  14.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59-582.
  15. Guskey, T. R. (1987). Context variables that affect measures of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1, 41-47. https://doi.org/10.1080/00220671.1987.10885795
  16. Lindsay, P., & Lindsay, C. H. (1987).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ed and Undervalued.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16, 91-100. https://doi.org/10.1007/BF01083974
  17. Rogers, C. R. (1951). Client-centered therapy: 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 and theory. Boston: Houton Mifflin.
  18. Shamir, B., House, R. J., & Arthur, M. (1993).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Science, 4(4), 577-594. https://doi.org/10.1287/orsc.4.4.577
  19. Steer, R. M., & Porter, L. W. (1991).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