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검색결과 646건 처리시간 0.032초

표고 재배사 실내 공기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진균 (New Records of Fungi Isolated from Indoor Air of Greenhouse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in Korea)

  • 권혁우;윤여홍;김준영;김성환;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8-63
    • /
    • 2015
  • 진균에 의한 오염은 재배사에서 톱밥 배지를 이용한 표고 재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표고 재배사 실내 공기에 존재하는 진균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던 중 여러 진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진균 중에는 국내 미기록인 Aspergillus pulverulentus와 Cosmospora butyri 등 2종을 비롯하여 기록은 있으나 균학적 확증이 부족한 Lecanicillium psalliotae와 L. antillanum 등 2종이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균류에 대한 형태적 특성과 더불어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 region 또는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반한 계통학적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표고 현장적응 시험 버섯 재배사내 공기에서 검출한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field test of a newly bred domestic shiitake cultivar)

  • 안금란;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8-173
    • /
    • 2016
  • 청양과 장흥에 소재한 버섯 재배사에서 새로 육종된 표고 품종의 현장 실증검증 도중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진균을 파악하고자 재배사내 공기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오던 중 국내에 기록이 없는 Mortierella parvispora, Doratomyces purpureofuscus, Periconia byssoides, Periconia pseudobyssoides 등 네 종의 진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중 두 종은 식물병원균으로 알려진 종이었고 다른 두 종은 부생성 균으로 다량의 포자를 생산하고 버섯재배 환경에서 오염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동정된 진균에 대한 형태적 특성,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와 18S rDNA region 염기서열 분석에 기반한 계통학적 관계, 그리고 알려진 정보 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보리누른모자이크병 매개곰팡이(Polymyxa graminis) 검정 및 분포현황 (Detection and Distribution of Fungal Vector P. graminis of BaYMV)

  • 이봉춘;김상민;배주영;나지은;김선림;김강민;이중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7-433
    • /
    • 2016
  • 보리누른모자이크병은 토양전염성 곰팡이인 Polymyxa graminis (P. graminis)에 의해 매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BaYMV 이병토양 및 이병주 뿌리로부터 P. graminis의 PCR 검정방법을 확립하였다. P. graminis type I (P. graminis f.sp. temperat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의 염기서열 특이적인 primer를 제작하고, 이병토양 및 이병주의 뿌리와 잎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PCR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P. graminis는 이병토양 및 이병주 뿌리로부터 검출되었다. 남부지역의 대표적인 보리 재배지역 8개 지역으로부터 이병토양을 채집하여 PCR 검정에 의해 P. graminis의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한 지역 전체에서 P. graminis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King)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한인영;최용조;이상대;손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3
    • /
    • 2016
  • 2015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 포장에서 재배 중인 동부에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동부의 줄기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줄기의 병반부와 토양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담자균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동부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목본식물의 잎에서 분리된 5종의 미기록 내생균 (Five Previously Unreport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Leaves of Woody Plants in Korea)

  • 박혁;심재성;김지수;최항석;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5-35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의 잎을 채취하여 표면살균한 후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는 형태적 특징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 지역과 28S rDNA 지역 그리고 ${\beta}-tu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소나무에서 분리한 두 종의 균주인 Pestalotia lawsoniae와 Zasmidium fructicola, 그리고 아로니아에서 분리한 세 종의 균주인 Pestalotiopsis chamaeropis, Pestalotiopsis jesteri, Stagonosporopsis cucurbitacearum는 국내 미기록 진균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Dominant Hydrophytes in Junam and Dongpan Wetland)

  • 유영현;박종명;한경숙;박종한;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2-98
    • /
    • 2015
  • 대표적인 담수습지인 경상남도 창원시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에서 우점하는 수생식물종인 자라풀 및 생이가래를 채집하였다. 주남저수지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19균주와 동판저수지의 자생식물 뿌리에서 9균주를 순수분리 하였다. 이들 내생균류들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분리된 28균주는 주남저수지의 경우 11속, 동판저수지의 경우 5속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습지에서 모두 13속의 내생균류가 분리되었다. 이들 중 담수습지별로 공통적으로 분리된 균주는 Fusarium, Phoma 및Talaromyces속으로 확인되었다. 담수습지 및 식물종별 내생균류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을 때 각각 상이한 지수를 보였으며, 그들 중 환경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생이가래가 높은 지수를 나타내었다.

Diversity of Fungal Endophytes in Various Tissues of Panax ginseng Meyer Cultivated in Korea

  • Park, Young-Hwan;Lee, Soon-Gu;Ahn, Doek-Jong;Kwon, Tae-Ryong;Park, Sang-Un;Lim, Hyoun-Sub;Bae, Han-H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211-217
    • /
    • 2012
  •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various tissues (root, stem, petiole, leaf, and flower stalk) of 3- and 4-year-old ginseng plants (Panax ginseng Meyer) cultivated in Korea. The isolated endophytic fungi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5.8-ITS 2. A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was also conducted using microscopic observation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127 fungal isolates were assigned to 27 taxa. The genera of Phoma, Alternaria and Colletotrichum were the most frequent isolates, followed by Fusarium, Entrophospora and Xylaria. Although 19 of the 27 taxa were identified at the species level, the remainder were classified at the genus level (6 isolates), phylum level (Ascomycota, 1 isolate), and unknown fungal species (1 isolate). Endophytic fungi of 13 and 19 species were isolated from 3- and 4-year-old ginseng plants, respectively, and Phoma radicina and Fusarium solani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species colonizing the tissues of the 3- and 4-year-old ginseng plants, respectively. The colonization frequency (CF%) was dependant on the age and tissue examined: the CFs of the roots and stems in the 3-year-old ginseng were higher than the CF of tissues in the 4-year-old plants. In contrast, higher CFs were observed in the leaves and petioles of 4-year-old plants, and endophytic fungi in the flower stalks were only detected in the 4-year-old plants. In conclusion, we detected diverse endophytic fungi in ginseng plants, which were distribu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 and tissue examined.

고도에 따른 지역별 복숭아혹진딧물 집단 변이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Variation Marker of Myzus persicae by Altitude)

  • 김주일;권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25-333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고도별 곤충의 유전 변이를 분석하고자 배추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지표해충으로 변이 분석이 가능한 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지역의 기후가 변하면 유전자가 변동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실내에서 누대 사육된 계통을 비교집단으로 가정하고 횡성, 평창과 강릉 지역에서 고도별 5개 지역(157 m, 296 m, 560 m, 756 m, 932 m)에서 채집된 지역 집단간의 변이를 찾고자 하였다. 생태적 변이는 모든 집단에서 찾을 수가 없었고, 에스터레이즈 동위효소 분석 및 inter-simple sequence repeat (ISSR) PCR 결과에서 실내 사육 계통과 지역 집단간의 차이는 보였으나 지역 집단간의 큰 차이는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rRNA와 mtCO I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5개의 지역집단 내에서 internal transcribed spacer-2 (ITS-2) 와 mtCO I에 각각 한 개씩의 단일염기다형성(SNP)를 발견하였다. 이 SNP는 유전 변동 추적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마커로 사용 될 수 있다.

형태적 특징 및 다좌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산철쭉 모무늬병균 Sphaerulina azaleae 동정 (Identification of Sphaerulina azaleae on Korean Azalea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 최인영;최영준;이귀재;주호종;조성완;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9-335
    • /
    • 2020
  • 2008년부터 2017년도에 제주, 홍천 등에서 산철쭉에서 모무늬 증상을 나타내는 잎을 채집하였다. 산철쭉모무늬 증상은 빈번하게 잎에만 발생하여 식물의 관상가치를 떨어트리고 조기낙엽을 유발하였다. 변색부는 잎의 윗면에 작고 담갈색 내지 흑자색 점무늬가 먼저 나타나며, 잎의 세맥으로 경계가 구분되어 모무늬 또는 부정형의 증상을 나타냈다. 산철쭉에서 분리한 균주를 동정하고자 형태적 특징과 actin (Act),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E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28S nrDNA (LSU),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PB2)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징을 재확인한 염기서열 분석결과 Sp. azaleae와 99~100%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계통수를 작성하였을 때도 Sp. azaleae 계통군에 속하였다. 따라서 산철쭉에 모무늬 증상에 관여하는 곰팡이는 Sp. azaleae로 동정되었다.

머귀나무에서 녹병균 Coleosporium zanthoxyli의 확인 (Confirmation of Coleosporium zanthoxyli on Zanthoxylum ailanthoides in Korea)

  • 신현동;최영준;이총규;이호상;최원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3-88
    • /
    • 2019
  • 한국 학자들에 의해 머귀나무의 녹병균이 Coleosporium phellodendri로 보고되었으나, 추가적인 연구 없이 외국 학자들에 의해 이 녹병균이 C. zanthoxyli로 기록되었다. 한국에서 머귀나무 녹병균의 정체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에서 채집되어 고려대학교 진균표본보관소에 보존된 8개 시료를 형태적으로 검경하고 대표적인 3개 시료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 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머귀나무 녹병균은 형태적으로나 분자적으로 C. zanthoxyli로 동정하는 것이 옳다고 결정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머귀나무에 녹병균 C. zanthoxyli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