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ediate Frequency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7초

UbiCore : XML 기반 RFID 미들웨어 시스템 (UbiCore : An Effective XML-based RFID Middleware System)

  • 이훈순;최현화;김병섭;이명철;박재홍;이미영;김명준;진성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6호
    • /
    • pp.578-589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를 이용하여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응용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응용들을 쉽게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센서를 관리하며, 센서를 통해 수집된 태그 데이타 스트림으로부터 의미있는 데이타를 추출하여 응용에 전달해주는 미들웨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biCore (Ubiquitous Core)라 불리는 in 기반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UbiCore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XQueryStream이라는 XQuery에 기반한 연속 질의 언어를 제공한다. 둘째, 프리 필터링과 중간 결과 재사용을 통해 스트림 데이타에 대한 질의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킨다. 셋째, 연속적으로 생성되어 들어오는 실시간 데이타뿐 아니라 트리거에 기반하여 저장된 이력 데이타에 대한 질의를 지원한다. 넷째, 컨텍스트와 서비스의 연계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인 CSML(Context-driven Service Markup Language)을 제공한다.

정렬된 리드의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CNV 검색 알고리즘 (A CNV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ligned reads)

  • 홍상균;홍동완;윤지희;김백섭;박상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5호
    • /
    • pp.661-672
    • /
    • 2009
  • 인간의 유전체 서열에는 유전체 단위반복변위(copy number variation, CNV)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전적 구조 변이(genetic structural variation)가 존재하며, 이는 기능적으로 질병에 대한 감수성, 치료에 대한 반응, 유전적 특성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가 시퀀싱(giga sequencing)의 결과 산출되는 대량의 짧은 길이의 DNA 서열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CNV 검색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레퍼런스 시퀀스에 DNA 서열 데이터를 서열 정렬시켜 각 레퍼런스 시퀀스의 위치에 대한 서열 데이터의 출현 빈도 정보를 얻은 후, 출현 빈도 정보의 패턴을 분석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 1kbp 이상의 연속 영역을 CNV 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서열 정렬 방식에 대한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한다. 제안된 기법의 유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기법은 비교적 낮은 커버리지의 기가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복되거나 결실되는 다양한 형태의 CNV 영역을 효율적으로 검출하며, 또한 작은 사이즈의 CNV 영역에서부터 큰 사이즈의 CNV 영역까지 다양한 크기의 CNV 영역을 효율적으로 검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 환자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M1, GSTT1, GSTP1) 및 N-acetyltransferase 2 유전자 다형성 분포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M1, GSTT1 and GSTP1) and N-acetyltransferase 2 Polymorphisms and the Risk of Gastric Cancer)

  • 홍수형;김정완;김호각;박인규;류준욱;이창형;손윤경;이종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2호
    • /
    • pp.135-140
    • /
    • 2006
  • Objectives : Polymorphisms of genes from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s) and N-acetyltransferase 2 (NAT2) have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susceptibility to various cancers. Previous results showed that East Asians such as Koreans, Japanese and Chinese have a much higher frequency of the GSTM1 and GSTT1 null genotypes and NAT2 rapid acetylator type.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c types of GSTs (GSTM1, GSTT1, GSTP1) and NAT2 and the incidence of gastric cancer which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cancers among the East Asians. Methods : It was performed in a case-control study consisting of 238 healthy subjects and 108 cancer patients (54 distal and 54 proximal carcinomas). We also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GSTs and NAT2 and the risk factors for gastric cancer such as alcohol consumption, smoking, H. pylori infection, family history of gastric cancer, and tumor location. Results : In our study, the percentage of cases whose hometown was rural wa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odds ratio (OR) =2.88; 95% CI=1.72-4.76), and the frequency of the lower socio-economic statu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tients (OR=2.53; 95% CI=1.59-4.0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ST polymorphic types between the cases and controls. However, NAT2 rapid or intermediate acetylator types were frequently detected in the cases with family history of gastric cancer (OR=1.92; 95% CI=1.79-26.0).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ometown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for gastric carcinogenesis, and NAT2 polymorphic types could be associated with familial gastric carcinoma.

소아 간질 환아에서 뇌파와 PET과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association between EEG and 2-deoxy-2-[18F]-D-glucose (FDG)-PET findings in children with epilepsy)

  • 허윤정;이준수;이종두;김흥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86-292
    • /
    • 2008
  • 목 적 : FDG-PET에서 발작기와 발작간기에 따라 뇌혈류량에 따른 대사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뇌파를 통해 발작기와 발작간기를 구분하고 발작간기의 간질파와 비간질파가 포도당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PET과 동시에 뇌파를 시행하여 PET의 결과와 뇌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 우리는 소아 간질 환아 중에서 PET과 동시에 뇌파를 시행한 73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발작 및 발작간기의 간질파와 비간질파의 빈도, 심각도 정도를 분류하여 PET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PET과 뇌파 결과의 일치 유무에 따른 조직병리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 과 : 간질파의 빈도는 없음/드뭄, 간헐성, 빈발성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PET의 포도당 대사 증가 또는 감소의 병변과의 일치율은 각각 없음/드뭄은 0%, 간헐성은 42.9%, 빈발성은 67.9 % 이었다(P<0.05, r=0.491). 비간질파의 심한 정도는 없음, 드뭄, 중등도, 지속성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PET 결과와의 일치율은 13.3%, 52.0%, 64.7%, 68.8%로 각 변수들의 빈도 차이는 의미 있게 분석되었다(P<0.05, r=0.365). FDG 추적자가 흡수되는 동안 임상적 발작이 있었던 환아는 3명 이었으며 모두 발작기의 PET 영상소견인 대사 증가소견을 보였다. 무증상의 발작이 있었던 2명의 환아 중 1명은 간질 발작기와 발작간기의 대사가 혼합되는 소견을 보였다. 수술을 시행한 환아는 10명으로 6명은 PET 결과와 뇌파의 병변이 일치하였으며 6명 중에서 4명은 비디오 뇌파, 뇌 자기공명영상과도 일치 소견을 보였다. 이들 모두 수술 후 발작은 멈추었으며 조직검사상 뇌피질 이형성증 소견 또는 미세반응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PET과 동시에 뇌파를 시행함으로써 발작기의 경우 무증상의 경련, 임상적 경련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국소 서파의 심각도와 다극파나 높은 빈도의 극파 또는 예파를 정확히 파악하여 false lateralization의 판독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Ir 전극 계면에서 위상이동 방법 및 상관계수를 이용한 수소의 흡착동온식 결정 (Determination of Adsorption Isotherms of Hydrogen at an Ir Electrode Interface Using the Phase-Shift Method and Correlation Constants)

  • 전상규
    • 전기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2-140
    • /
    • 2007
  • 백금족/수용액 계면에서 Langmuir, Frumkin, Temkin 흡착등온식(${\theta}\;vs.\;E$)을 결정하기 위해 최적중간주파수 일 때 위상이동($0^{\circ}{\leq}-{\varphi}{\leq}90^{\circ}$) 거동($-{\varphi}\;vs.\;E$)과 표면피복율($1{\geq}{\theta}{\geq}0$) 거동(${\theta}\;vs.\;E$) 사이의 선형 관계식 연구에 관한 위상이동 방법 및 상관계수를 제안하고 증명하였다. Ir/0.1 M KOH수용액 계면에서 음극 $H_2$ 발생 반응에 관한 수소의 Langmuir 및 Temkin 흡착등온식(${\theta}\;vs.\;E$), 평형상수(Langmuir 흡착등온식: $K=3.3{\times}10^{-4}mol^{-1}$, Temkin 흡착등온식: $K=3.3{\times}10^{-3}{\exp}(-4.6{\theta})\;mol^{-1}$), 상호작용 파라미터(Temkin 흡착등온식: g=4.6), 표준자유에너지($K=3.3{\times}10^{-4}mol^{-1}$ 일 때 ${\Delta}G_{ads}^0=19.9kJ\;mol^{-1},\;K=3.3{\times}10^{-3}{\exp}(-4.6{\theta})\;mol^{-1}$$0.2<{\theta}<0.8$일 때 $16.5<{\Delta}G_{\theta}^0<23.3kJ\;mol^{-1}$)를 결정한다. 수소 흡착부위의 비균일 및 측 방향 상호작용 효과는 무시할 수 있다. ${\theta}$의 중간값 즉, $0.2<{\theta}<0.8$일 때 Langmuir 또는 Frumkin 흡착등온식과 상관관계에 있는 Temkin 흡착등온식은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위상이동 방법 및 상관계수는 흡착동온식(${\theta}\;vs.\;E$) 및 연관된 전극속도론과 열역학 파라미터(K, g, ${\Delta}G_{ads}^0, {\Delta}G_{\theta}^0$)를 결정하기 위한 정확하고 확실한 기술 및 방법이다.

Impact of CYP2D6 Polymorphisms on Tamoxifen Respons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A Microarray-based Study in Thailand

  • Sukasem, Chonlaphat;Sirachainan, Ekaphop;Chamnanphon, Montri;Pechatanan, Khunthong;Sirisinha, Thitiya;Ativitavas, Touch;Panvichian, Ravat;Ratanatharathorn, Vorachai;Trachu, Narumol;Chantratita, Was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549-4553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CYP2D6 polymorphisms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of CYP2D6 and tamoxifen therapeutic outcome in Thai breast cancer patients. We recruited 48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adjuvant tamoxifen for evaluating CYP2D6 genetic polymorphisms using microarray-based technology. Associations between genotypes-phenotypes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analyzed. Median follow up time was 5.6 year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0 years. The 3 common allelic frequencies were 43.8% ($^*10$), 36.5 ($^*1$) and 10.4% ($^*2$) which are related to extensive metabolizer (EM) and intermediate metabolizer (IM) with 70.8% and 29.2 %, respectively. No association between CYP2D6 genotypes and DFS was demonstrated. Nevertheless, exploratory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rter DFS in the IM group of post-menopause patients (HR, 6.85; 95%CI, 1.48-31.69; P=0.005). Furthermore, we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rter DFS of homozygous $CYP2D6^*10$ when compared with heterozygous CYP2D6*10 and other genotypes (P=0.005). $CYP2D6^*10$ was the most common genotype in our subjects. Post-menopause patients with homozygous $CYP2D6^*10$ and IM have shorter DFS. To confirm this relationship, larger samples and comprehensively designed trials in Thailand are required.

Radix-2 MBA 기반 병렬 MAC의 VLSI 구조 (New VLSI Architecture of Parallel Multiplier-Accumulator Based on Radix-2 Modified Booth Algorithm)

  • 서영호;김동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4호
    • /
    • pp.94-10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곱셈-누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MAC의 구조를 제안한다. 곱셈과 누적 덧셈 연산을 통합하고 하이브리드 형태의 CSA 구조를 고안하여 임계경로를 감소시키고 출력율을 개선하였다. 즉, 가장 큰 지연시간을 갖는 누적기 자체를 제거하고 누적기의 기능을 CSA에 포함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안된 CSA 트리는 1의 보수 기반의 MBA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연산자의 밀도를 높이고자 부호비트를 위한 수정된 배열형태를 갖는다. 또한 최종 덧셈기의 비트수를 줄이기 위해서 CSA 트리 내에 2비트 CLA를 사용하여 하위 비트의 캐리를 전파하고 하위 비트들에 대한 출력을 미리 생성한다. 또한 파이프라인의 효율을 최적화시켜 출력율을 증가시키고자 최종 덧셈기의 출력이 아닌 합과 캐리 형태의 중간 연산결과들을 누적시킨다. 제안한 하드웨어를 설계한 후에 $250{\mu}m,\;180{\mu}m,\;130{\mu}m$, 그리고 90nm CMO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이론 및 실험적인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MAC의 하드웨어 자원, 지연시간, 그리고 파이프라인 등의 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지연시간은 수정된 Sakurai의 alpha power low를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제안한 MAC은 표준 설계에 대해서는 여러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였고, 최근 연구와 비교할 때 클록속도는 거의 유사하면서 성능은 두 배로 우수하였다.

부산.경남지역 주부들의 비만도와 외식행동 및 식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besity, Eating-out Behaviors, and Eating Habits among the Housewive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 이복섭;박영희;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1-16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주부들의 비만도와 외식행동 및 식생활습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경남지역 주부 2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S통계프로그램 17.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x^2$-test, 군집분석과 One 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주부들의 평균키는 160.75 cm, 평균체중은 57.51 kg로 조사되었고, 주부들의 체질량지수(BMI)를 보면 정상체중이 56.6%, 과체중과 비만체중이 37.0%로 조사되었다. 한 달 외식하는 횟수는 4회 이하가 65.5%이고, 1인당 외식비는 7001원에서 11000만원사이가 34.9%로 나타났으며, 외식목적은 가족과 함께 44.2%, 외식동반자는 가족 친지가 63.8%, 선호식당은 일반대중식당이 47.8%, 외식정보는 주위사람들을 통해서가 79.1%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습관요인에 따른 군집분석결과 군집1은 (중도적 식생활습관집단), 군집2는 (좋지 않는 식생활집단), 군집3은 (좋은 식생활집단)으로 명명하였고, 3개의 군집과 식생활습관요인과의 차이분석에서 (P<0.01)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산 경남지역 주부들은 37.0%가 과체중과 비만체중을 나타내어, 식생활습관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젊은 주부들에 비하여 나이가 많은 주부들이 건강에 좋은 식품과 규칙적인 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지만, 비만 도에서는 51세 이상에서 30세 이하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51세 이상의 주부들이 폐경기를 겪으면서 비만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장암(大腸癌)의 동서의(東西醫) 결합(結合) 진치근황(診治近況) (An Outlook of the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n Large Bowel Cancer)

  • 김병주;문구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7
    • /
    • 1999
  • Large bowel cancer shows the 4-5th frequency in cancers that occurs in Korea. The western medicine cures the Large bowel cancer by radiation, surgery and chemotherapy. While, Oriental medicine cures the Large bowel cancer by Herb-drugs, acupuncture, moxa and et al. With just one way of treating Large bowel cancer can't be effective remedy. Because each medicine has a strength and weakness, it is effective treatment when two medicine combines and supplement each other. We got the following result about a trend of oriental and western combination treatment for Large bowel cancer through studding records. 1. In Large bowel cancer, colon cancer is referred hematochezia(腸風下血), rectal cancer is refereed enterotoxin(腸毒), and anal cancer is accumulation of pathogens in yin(結陰). 2. The western medicine treats Large bowel cancer patient with surgery first. They need on assembly treatment such as chemical, radiation and immune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they treats Large bowel cancer patients with differentiation of symptom and signs and treatment(辨證施治) for example, insufficiency of spleen and stomach(脾胃虛弱), collapse of the spleen-ql(脾氣下陷), stagnation of blood stasis and toxic agent(瘀毒內結), reinforcing both qi and blood(脾血下陷), stagnation of damp-phlegm(痰濕凝結) and cure for them by acupuncture and moxa too. 3. In combination with oriental and western medical treatment princple of Large bowel cancer by each stage is as follows. First stage is cured with radical surgery and herb-drugs without chemotherapy. The intermediate and terminal stage patients is used radiation before surgery, or after palliative surgery cour with chemotherapy, radiation and Herb-drugs. In terminal stage patients, unable for surgery, is used combination between chemotherapy, palliative radiation and Herb-drugs. 4. After radiation surgery, the terminal stage patients who have extensively lymph node metastasis or local contraindication is able to undergo combination of Herb-durgs and chemotherapy. 5. The cure-effect with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ombination treatment was better than that just with oriental or western medical treatment. 6. The merits of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combination treatment lengthen one's life and diminish the bad effect of chemotherapy and complete radiation treatment, prevent from relapsing, maintain the balance in their environment of body and improve immunity.

  • PDF

선천성 심장기형의 우심실-폐동맥 인조혈관 연결 수술후 중장기 성적 (Intermediate and Long Term Results for Extracardiac Conduit Repair Between Right Ventricle and Pulmonary Artery in Congenital Cardiac Defect)

  • 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571-578
    • /
    • 1995
  • Rastelli operation in which right ventricle[RV and pulmonary artery[PA is connected with an artificial graft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ulmonary blood flow in certain type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but, in many, it requires a reoperation because of the relative stenosis of graft that develops as the patients become 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rious factors which many influence the long term outcome of such patients following a Rastelli operation. A total of 47 patients underwent a Rastelli operation during a 15 year period between November, 1978 and October 1993. The mean follow-up period is 76.1 51.3 months.1 Among the 47 patients, a valved conduit was used in 30[63.8% , and non-valved conduit in 17[36.2% patients. In the 8 patients[17.0% who died postoperatively, a valved conduit was used in 5 [16.6% and a non-valved conduit in 3[17.6% .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2 groups. There was a good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surface area[X and the conduit size[Y [Y=3.86X + 14.6, R=0.55, P=0.01 .2 Ten patients underwent replacement of the conduit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type of conduit used and the frequency of subsequent replacement were as follows: Ionescu-Shiley, valved-33.3%, Carpentier-Edwards, valved-30.8%, Hancock, valved-80% and non-valved conduit-9.1%. The median period free of reoperation was 110 months for the valved and 79 months for the non-valved group, there be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3 The patients who did not require reoperation are all doing well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Class I . Pressure gradient between the RV and the PA was 20 mmHg in 10 randomly selected patients who did not require reoperation and 92 9 mmHg in 10 patients who did require reoperation.4 In the 10 patients who underwent a conduit replacement procedure.5 Among patients undergoing reoperation, 2 died from endocarditis.The remaining 8 patients are doing well without limitation in physical activity at a mean follow-up period of 32.7 33.9 months [range 2 to 89 months . 6 At 5, 7, and 10 years, the reoperation-free rates among all patients were 96%, 91% and 29% and the survival rates were 82%, 82% and 71%. In conclusion, Rastelli operation is an effective procedure in ameliorating symptoms in a select group of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Because of the inherent nature of relative graft stenosis and degeneration, a long-term follow-up is required under the proper selection of the graft mater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