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tion of word-of-mouth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7초

소비자들의 인터넷 쇼핑가치에 따른 관계품질 및 구매행동특성 - 의류제품 구매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Quality and Buying Behavior Depending on Consumer's Internet Shopping Value - Focused on Clothing Purchase -)

  • 지혜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75
    • /
    • 200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mension of consumers' shopping values in internet clothing purchase, and the relation of their relational quality with shopping malls and their shopp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shopping valu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343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or 30s for empirical analysis who have ever purchased clothing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s. Respondents a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through internet survey in July 2008.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OVA analysis, Duncan test, and $X^2$-test are carried out using SPSS for Windows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shopping value dimensions in internet shopping for clothes are found 4 factors of fun, economic utility, information, and shopping convenience. Second, based on shopping value dimensions, consumers are categorized into an practicality-seeking, an economic utility/fun-seeking, a fun-seeking, and an information/fun-seeking group.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al quality, customer loyalty, favorable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shopping value-based consumer types. In particular, the economic utility/fun-seeking and information/fun-seeking group have higher values on relational quality and shopping behavior variables than other groups. Thus internet shopping mall businesses need to recognize these group of consumers as their core customers and develop programs to maintain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m.

  • PDF

건강검진센터 이용자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Intent to Revisit of Health Screening Center Visitors)

  • 방은필;김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47-157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검진센터 이용자들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195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건강검진센터 재이용 의도는 고객만족과 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중 회귀분석 결과, 고객만족과 지각된 건강상태가 재이용 의도의 총 분산의 29%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건강검진센터 재이용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과 간호관리자는 센터 이용자들의 고객만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특히 건강검진 결과 상담과 고객의 요구에 따른 개별적인 맞춤형 건강관리, 고객관리관리 및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건강 체크 혹은 고객 접수만을 하였던 건강검진센터의 간호사의 역할을 적극적이고 개별 맞춤형 건강교육을 제공하고 초기 진료 후 계속적으로 건강검진 계획과 건강관리를 하도록 하는 역할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문화관광축제 개최지의 서비스 품질, 장소애착심과 충성도에 관한 인과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ausal Model of Service Quality, Place Attachment and Destination Loyalty in the Cultural Festival)

  • 김시중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15-330
    • /
    • 2005
  • 축제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축제의 수가 증가하고 성장함에 따라 지역주민들과 축제기획자들은 문화적 현상과 더불어 관광학적 관점에서 축제를 관망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지역주민과 지역자치 단체에게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매력물의 하나로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축제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혜택을 생산해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축제 기획자들은 방문객들의 재 방문을 이끌 수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연구는 지역 축제의 충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즉, 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방문객들의 장소 애착심과의 인과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2004년 제주에서 개최되는 유채꽃 벚꽃 축제에서 3일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2개의 가설이 수립되어 졌는데, 첫째는 축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은 방문객의 장소 애착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로 방문객의 장소 애착심은 축제장의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를 미칠 것이다. 조사결과 방문객들이 축제장의 서비스 품질을 높게 인식할수록 장소에 대한 애착심이 증가하고 또한 증가한 장소 애착심은 축제 재 방문의향과 구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유명인을 이용한 제품 애칭화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et Naming Types Using Celebrity Endorser)

  • 김혜진;조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32-549
    • /
    • 2017
  • 본 연구는 유명인을 이용한 제품의 애칭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동시에, 제품 애칭화 현상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창출 주체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3(비애칭화/기업 의도에 의한 애칭화/구전에 의한 애칭화)x2(쾌락적 제품/실용적 제품)의 요인 설계를 하였다. 연구결과 애칭화 유형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가치는 애칭화 유형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나아가 소비자의 심리적 기제인 정보적 대인 민감성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스스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창출하는 현상을 포함하였고, 가치 지각의 차원에서 유명인 보증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기제에 따른 마케팅 효과까지도 검증해 냄으로 인해 향후 애칭마케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인식하는 산업체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이 점포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on store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 안지윤;서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2호
    • /
    • pp.199-210
    • /
    • 2015
  • 본 연구는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활동에 대하여 고객들의 인식과 점포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경영 요인 중 사회적 책임성만이 점포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이미지는 고객의 재방문의도, 긍정적 구전의도, 추가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인 점포 이미지 형성은 우호적인 행동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경영 요인 중 경제적 수익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구전의도 및 추가지불의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성은 재방문의도, 긍정적 구전의도, 추가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책임성은 재방문의도 및 추가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구전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경영의 세 가지 요인 중 사회적 책임성이 고객의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은 점포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호의적인 행동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은 음식 및 서비스와 관련한 내용들로 고객들이 급식 이용과 동시에 직접적인 혜택을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이므로 그에 대한 피드백이 즉각적으로 나타나 점포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회적 활동과 달리, 경제적 수익성 및 환경적 건전성에 해당하는 내용은 소비자의 급식업체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을 경우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아 상대적으로 급식업체의 이미지에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힘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또한 긍정적인 행동의도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매개요인들을 연구하여 행동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내 대부분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연구가 해당 기업의 경영자 및 관리자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을 고객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점포이미지 및 행동의도의 유기적인 영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친환경활동과 관련한 환경보호활동에 중점을 둔 것과 반면, 본 연구는 경제, 사회, 환경 세 가지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대한 개념의 연구가 아직은 초기 단계로써 그 속성들이 완전하게 정립되지 않아 개념을 구체화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으며 소비자들 역시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생소하므로 정확한 응답 여부에 대한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의 실제 실천 유무에 대한 구분 없이 단순히 소비자들의 인지 정도만으로 측정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실천하는 업체와 실천하지 않는 업체를 명확히 구분하여 그에 따른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급식업체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뿐만 아니라 운영자 및 관리자 (영양사 또는 지점장 등)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영자들의 인식 및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경영 성과를 분석하여 지속가능경영활동을 보다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강조된 리뷰 노출 방식에 따른 소비자 행동 연구: 리뷰의 유용성과 회의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ighlighted Review Type on Consumer's Perception and Behavior: Focusing on Review Usefulness and Skepticism)

  • 김준호;임일;김태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25-50
    • /
    • 2021
  • 지금까지 많은 리뷰 연구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남긴 리뷰들 중 대표적인 리뷰의 위치나 크기를 소비자들이 인식할 수준만큼 강조하는 리뷰, 이른바 강조된 리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강조된 리뷰의 노출 방식에 따른 소비자들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이를 위해 가상의 온라인 리뷰 페이지를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강조된 리뷰가 없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집단 23명, 긍정적으로 강조된 리뷰만 노출하여 보여주는 집단 61명, 그리고 긍정적으로 강조된 리뷰와 부정적으로 강조된 리뷰를 모두 노출하여 보여주는 집단 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조된 리뷰의 노출 방식에 따른 차이는 리뷰의 유용성 측면에서는 유의한 수준으로 유용성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회의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리뷰의 유용성과 플랫폼 신뢰도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리뷰의 회의감과 플랫폼 신뢰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최종적으로 플랫폼 신뢰도와 사용 의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수준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모든 분석 결과에서 상품군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의 리뷰를 설계할 때 잠재적인 소비자들의 사용 의도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긍정적으로 강조된 리뷰와 부정적으로 강조된 리뷰를 모두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

말 산업의 대중인식 제고를 위한 플랫폼 설계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tform Design Factor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Horse Industry)

  • 김미경;박금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43-353
    • /
    • 2022
  • 본 연구는 말 산업의 대중인식 제고를 위하여 향후 플랫폼을 설계함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대중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최적의 플랫폼 설계에 대한 혜안을 제시하기 위해 말 산업의 플랫폼 설계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하여 말 산업에 대한 관심이 있는 국내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처리프로그램 SPSS 22.0 Ver를 활용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 태도에 대하여는 중심경로 중 정보의 유용성이, 주변 경로 중 정보원천의 유희성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대해서는 중심경로 중 정보의 최신성이, 주변경로 중 정보원천의 매력성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말 산업 플랫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향후 말 산업에 대한 구매의도와 긍정적 구전의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말 산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를 위하여 말 산업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재미있게 풀어낼 수 있는 콘텐츠 설계가 필요하며, 실질적인 수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말 산업과 관련한 최신동향을 상시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플랫폼이 보다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디자인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CM에서 고객만족도에 기반한 추천의향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eferral Intension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in Construction Management)

  • 정민;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00-110
    • /
    • 2010
  • CM의 특성상 기존고객에 의한 재구매나 기존고객의 추천에 의한 신규고객 유입이 CM서비스의 주요 수주경로라고 볼 때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연구는 CM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재 CM이 도입된 지 15년이 지났지만, 그동안 CM분야에서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기반으로 하여 충성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M서비스를 경험한 135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측정하였다. 고객만족도는 건설단계별로 기획단계, 설계단계, 조달단계, 시공단계 및 준공후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다. 고객충성도는 NPS(Net Promoter Score, 순고객추천지수) 이론에 근거하여 고객의 추천의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에 따라 비추천고객, 중립고객, 추천고객으로 분류하여 건설단계별 만족도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객만족도 수준에 따라 비추천고객, 중립고객, 추천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초기단계인 기획단계 만족도가 추천고객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터넷 등 정보의 발달로 고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구전이 급속도로 노출되는 환경에서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관리함으로써 충성고객을 확보하는데 사전 예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자의 지각된 정보유용성과 자기효능감이 구전정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견고수와 구전수용의 비교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Efficacy on Online WOM Adoption Based on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tick to Your Own Preference VS. Follow What Others Said)

  • 이정현;박주석;김현모;박재홍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3호
    • /
    • pp.131-154
    • /
    • 2013
  • New internet technologies have created a revolutionary new platform which allows consumers to make decision about product price and quality quickly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hrough the transcript of online reviews. By expressing their feelings toward products or services on virtual opinion platforms, users extend their influence into cyberspace as electronic word-of-mouth (e-WOM).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an impact of eWOM on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is influential. For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vestigating this phenomenon of information sharing in online website is essential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m as sources of purchase decision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opinion seekers are willing to accept and adopt online reviews and which factors encourage adoption. Discerning the most motivating aspects of information adoption in particular, could help electronic marketers better promote their brand and presence on the intern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online WOM influences a persons' purchase decision by discovering which factors encourage information adop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self-efficacy,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self-efficacy affects on information usefulness and adoption of online information. Although people are exposed to same review or comment about product or service, some accept the reviews while others do not. We notice that accepting online reviews mainly depends on the person's preference or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is issue by using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pecifically, in the movie industry, we address few questions-is always positive WOM generating positive effect? What if the movie isn't the person's favorite genre? What if the person who is very self-assertive so doesn't take other's opinion easily? In these cases of cognitive dissonance, is always WOM generating same result?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one direct of WOM which indicates positive (or negative) informative reviews or comments generate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and more (or less) profits,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directional properties of WOM but also how people change their opinion towards product or service positive to negative, negative to positive through the online WO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by using a sample of 168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in the online movie review site, 'Naver Movie'. User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survey regarding reviews and comments taken from the real movie page. The data reflected user's perceptions of online WOM information that determined users' adoption level. Analysis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proposed theoretical perspective. When user can't agree with the opin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in other words, when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online WOM information and users' preference occurs, perceived self-efficacy significantly decreases customer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this perception of useful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users' intention to adopt online WOM information.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tself such as quality or vividness of information, credibility of source and direction of online WOM, etc. for describing effect of online WOM, but our results suggest that users' personal character (e.g., self-efficacy) plays decisive role for acceptance of online WOM information. Higher self-efficacy means lower possibility to accept th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counter opinion because of cognitive dissonance, whereas the people that have lower self-efficacy are willing to accept the online WOM information as true and refer to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understanding role of direct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Also, our result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 supervision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by confirming switching opinion negative to positive is more difficult than positive to negative through the online WOM information. This implication would help marketers to manage online reviews of their products or services.

조직구성원들의 정보보안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호동기이론(PMT)과 계획된 행동이론(TPB) 통합을 중심으로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Members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egr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 (TPM))

  • 정혜인;김성준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145-163
    • /
    • 2018
  • 최근 조직 구성원의 보안행동은 기업 차원의 정보보안에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보유출 및 정보보안에 대한 연구는 보안 위협에 대한 개인행동이나 보안 기술을 사용하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과 보호동기이론의 통합을 중심으로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기업에서 보안 경험이 있는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구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사고에 대해서 내 외부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위험을 예방 및 대응하고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솔루션 도입해야하며, 정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과 보인 패치 등의 보안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행동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