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structional Method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1초

교직과목 수업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 활용 사례 연구: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사례 (The Case study of using MTBL(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in a Teaching Profession Course: A Case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Clas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1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라는 교직과목에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을 활용한 수업사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에 MTBL를 활용한 팀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6주간의 수업진행 후 본 사례연구에 대한 개방형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실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사례연구에 MTBL 활용은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수업으로 '흥미, 재미', '능동적인 학습 참여' 등 학습자들의 호의적인 반응과 이와 다르게 MTBL의 활용은 '교직과목과 연계가 안됨', '융복합수업의 어려움' '수업 이외 개별 공부 시간이 요구됨' 등 교직과목에서의 MTBL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학습자들의 시각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교직과목에서 MTBL 활용은 부분적으로 본 사례연구 과목을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MTBL의 활용은 현재까지 어려움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TBL 수업은 하나의 새로운 교수-학습 접근 방안으로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직과정의 개발 및 운용을 위해 더 많은 사례연구과 수업개발이 필요하다.

해결자.청취자 활동과 몰 지도를 사용한 문제해결 교수 방법의 효과 (Effects of Instructional Method Using Think-Aloud Paired Problem Solving and Mole-Map)

  • 노태희;정영선;강석진;유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2-109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해결자 청취자 활동(TAPPS)과 몰 지도로 구성된 문제해결 교수 방법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3개 학급을 선정하여 통제 집단,TAPPS 집단, 몰 지도를 사용한 해결자 청취자 활동(M-TAPPS)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수업 전에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몰 개념 검사, 문제해결력 검사,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를 수업 후에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몰 개념 검사에서 TAPPS 집단의 상위 수준 학생들이 통제 집단과 M-TAPPS 집단의 상위 수준 학생들보다 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문제해결력 검사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TAPPS 집단의 참여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중학교 가정과 교육의 국제비교 연구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Lower Secondary Home Ec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alysis Approach-)

  • 윤인경;박선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99
    • /
    • 1990
  •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a in the U.S, Sweden, japan, Taiwan, and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rrent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access its trends for each countr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this study also seeks to get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for the betterment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in sources of information and data analyzed here are :1)curricula for 10 School Districts in Pennsylvania state as representives of the U.S ; 2)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in Sweden ; 3) Home Economics Teaching Guidelines in Japan ;4)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aiwan ; and 5)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Korea. Content Analysis technique is applied in this study. The major elements of contents include :1)structure of the curriculum ;2)subject name ; 3)time allotment; 4)goals and objectives ; 5)subject areas and content composition ; 6) other related characteristics for the implemention of the curriculum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outline as follows; 1)Home Economics is offered as independently required subject without sex discrimination in all five countries. 2)Time allotment for Home Economics in Sweden is double that in the other countries. 3)The common goals of Home Economics courses is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closely related to reality. 4) In terms of subjects areas, Food and Nutrition, Clothing & Textiles, Housing Human Development, and Child care are offered in three of four countries, which is also similar to those of Korea. In addition Consumer Education is also covered in the U.S., Sweden and Korea. 5)Curriculum can be utilized as instructional planning materials due to the clear specif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 on the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U,S, and Taiwan.

  • PDF

비형식적 상황을 이용한 내용구조의 표현과 지도계열의 구성 (A study on constructing a instructional sequence and content structure based on informal context of mathematical syllabus)

  • 신현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57-366
    • /
    • 2005
  • 이 연구는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표기하지 않은 개념형성과정을 밝혀 구조망으로 나타내고, 여기에서 교사가 지도할 내용의 개열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사인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개념형성과정을 수업모델로 만들어 교실에서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중학생들의 모둠활동을 관찰했다. 또, 수업 후에는 인터뷰를 통해 개념형성과정에서 보인 상황 찾기(인식), 사용된 사고전략, 효과적인 자료 및 학습도구 등 학생들의 반응을 면밀히 기록했다. 이들 결과는 5인의 전문 집단에 의하여 분석되어 내용구조망(network)과 그 지도계열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소홀이 되고 있는 개념교육에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피지컬 컴퓨팅을 통한 CT역량 계발 연구 : 코드블록® 활용 3D 프린팅 수업의 시사점 (A Study on Developing CT through Physical Computing : Implications of 3D Printing Class using Codeblocks®)

  • 최형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19-227
    • /
    • 2019
  • 컴퓨터 화면속에만 존재하는 결과물을 넘어서서 구체적인 사물을 만들고 그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원리 및 실제를 경험할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예비교사들이 3D 프린팅 및 모델링을 경험하면서 이 과정에서 프로그래밍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틴커캐드 코드블록$^{(R)}$(Codeblocks) 프로그래밍 환경을 컴퓨팅 사고력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이를 3D 프린팅 수업에 도입하였다. 본 수업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반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 현장에서 코드블록을 3D 프린팅 수업에 도입하여 컴퓨팅 사고력과 연계하는 수업 사례로서 예비교사 소프트웨어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덧셈 계산 원리의 연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nections about Addition Principle)

  • 노은환;김선유;김정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1-368
    • /
    • 2018
  • 연구자는 원리를 모른 채 덧셈 계산을 수행하는 한 학생을 관찰하며 연구동기를 얻었다. 이 학생의 반응이 어디에 기인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자연수, 소수, 분수의 덧셈 계산 원리에 관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동기의 객관화와 연구자가 제안할 지도방안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초등학교 6학년 46명을 연구대상으로 검사지를 투입하였다. 그 결과 덧셈 계산 원리와 그 연결이 다수의 문제임을 확인함과 동시에 지도방안 제안의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세 가지 수의 덧셈 계산 원리와 그 연결을 강화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도방안의 결론은 자연수와 소수 그리고 분수의 덧셈 계산원리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의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원리의 적용 과정에 미묘한 차이가 있어 이를 감안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PDF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한 수업 설계 및 효과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Effect Integrating Writing Education a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 최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00-5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기반한 글쓰기 교육과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합하여 운영한 수업 설계 내용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교과 운영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서비스러닝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지역사회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봄으로써 경험을 통한 학습의 발전과 자기계발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교육 방법이다. 교과목을 운영한 후 참여한 대학생들, 봉사 대상자들, 봉사 기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봉사 대상자들과 봉사 기관에서도 긍정적인 효과와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러닝 교수법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와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각도에서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고려한 교수법인 만큼 서비스러닝의 양적, 질적 성과분석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의학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고찰: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중심으로 (Review of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for medical education: focusing on flipped learning)

  • 홍현미;정영은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20
  • Recently, an advanced form of blended learning, which incorporates a teaching method that focuses on flipped learning is actively used in colleges. Flipped learning is for learners to pre-learn content through videos uploaded by instructors before class, and then participate in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s and team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where flipped learning is being used in medical school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use in medical schools. For this, the definition of flipped learning, how it evolved, educational usefulness of this method of learning, and application cases in medical schools were reviewed. Through the reviews of cases of flipped learning and its positive effects, it is suggested that medical schools consider more use of flipped learning in the classroom instructions, with sensitivity to the individual medical departments' needs, environment and professors' preferences.

지구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 지구 기후 게임을 중심으로 - (Reaction of Student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ESE Program - Focusing on the Global Climate Game -)

  • 강현아;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9-308
    • /
    • 2002
  • 통합과학교육으로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지구계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을 통합하려는 시도이며 자연을 탐구하는 보다 전체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는 지구계 교육 중 그 활동 프로그램의 하나인 '지구 기후게임'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과서 중심의 획일화된 주입식 교수-학습 방법에서 탈피한 학생이 중심이 되는 토의식 협력학습, 역할극 수업모형 등 다양한 수업 모형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연구에 적용된 ‘지구 기후 게임'은 지구계를 구성하고 있는 기권, 수권, 암권, 생물권의 상호작용에 대한이해를 도모하기에 적합한 주제였다. 지구계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정의적인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지구계 교육 활동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수업 방법보다 학생들의 과학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장기적으로 ESE 활동 프로그램은 과학적 태도 형성에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ESE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은 과학을 생활에 응용하는데 매우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 대상 환경교육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통합교수학습방법 적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A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김인숙;조유미;고혜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50-9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for effective promotion of child - 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and explored its applicability.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fairy tale, we designed an experience - oriented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uch as reading book, story - telling, draw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actice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ugmented reality reading fairy tales (A) and children's book reading fairy tales (B). First, interest, immersion, and empathy were higher i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integrated learning teaching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tent understanding. Third, in terms of expressiveness, it was verified that various expressions were expressed in the applying environment of the integra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through drawing activities. Fourth, in practice activities, more students were practicing in the augmented reality - based integrated teaching - learning method applied environment, and the number of practice activities of individual students was also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when using the smart teaching media using the augmented re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