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struction Model

Search Result 7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y)

  • 이승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7-5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을 정보활용교육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모형은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게 도서관의 시설, 자료, 인적자원, 정보문제 해결과정, 협동수업 및 블렌디드 학습,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등이 고려되었다. 수업 모형은 "학습목표 설정${\rightarrow}$학습자 분석${\rightarrow}$학습환경 분석${\rightarrow}$학습과제 분석${\rightarrow}$교수 전략${\rightarrow}$매체 선정 및 개발${\rightarrow}$수업적용${\rightarrow}$평가"의 순서로 개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스마트러닝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

학교보건수업 사례 분석을 통한 학교보건교육 모형 개발 일부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The Model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Education throung The Case Analysis of School Health Instruction -middle school girls-)

  • 김영희;신해림;박형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3-12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for the model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cluding learning-teaching method, through analysis of results compared between a regular schedule health instruction and irregular health education. An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iv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of school health subject as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school health subject is still not recognized and accepted satisfactorily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middle school girls and were carried out from 1989 to 1991.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Analysis of the case of school health. instruction 1. The responses of students about health eaducation : The positive rate of answers on the 'Health education is very important subject' was 91.2%, and on the 'I can maintain well healthful life : int of selfcare' was 87.1%. 2. The condition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bout health education: Education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comparison group about all most of questions, especially sex-education and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3. All the case of disease early founded out during the health instruction were children disease such as bone-tumor, lymphoma, hydrocephalus, and leukemia. B. Model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education 1. Component of the health education subject (1) Healthful Life → Personal Health (2) Physical anatomy and Prevention of disease → Community Health (3) Growth and Development(sex education) → Community Health (4) Environment and Health → Community Health (5) Previntion of drug abuse → Human Health (6) Safety life → Human Health 2. Leanning - teaching method of health instruction (1) A Model of leaning-teaching method : A regular circulating health instruction by the component health subject for 2 hours a month. (2) B Model of leaning-teaching method : A regular schedule health education for hour a week.

  • PDF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교수.학습 효과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Structural-Mapping used Instruction i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 김원경;홍갑룡;이종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607-627
    • /
    • 2011
  • 본 연구는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교수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고등학교 2학년 2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반에는 4차시의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수업을, 비교반에는 4차시의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수업은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보다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험반의 5명을 대상으로 성취도 검사지를 분석하고 면담한 결과, 학생들은 순열과 조합 문제에서 '서로 다른', '서로 같은'과 같은 표현이 있으면 구조적 동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쉽다고 하였고, 공 상자 모델에서는 공과 상자의 구별 여부만 판단하면 되므로 기존의 방법보다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하였다. 또, 구조적 동형을 이해하는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할 때 공 상자 모델과 기존의 방법 중에서 각 문항에 적절한 풀이 방법을 스스로 택하여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ICT 활용 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PBL-based Instruction Model)

  • 정효숙;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47-360
    • /
    • 2002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국가와 사회 각 부문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생들을 육성할 책임을 안고 있다. 그러나 학교는 학생들이 정보통신기술을 학습하고 배우기 위한 질적인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수업 모형 중에서도 웹을 가장 널리 적용할 수 있는 분야 중의 하나는 프로젝트 학습이다. 이 모형은 다양한 주제, 실제적 과제, 이슈 등에 대한 다양한 탐구 활동과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또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젝트 학습을 개선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형의 각 단계에 ICT를 활용한 8가지 교수-학습 유형과 이를 지원하는 도구를 적절히 투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한 모형을 구현시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 예를 제시하였다.

  • PDF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현장 연구 (The Development of a Role Play Instruction Model to Increase Higher- order Thinking Ability in Geographical Education)

  • 박선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9-12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과에서의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해 보는 것이다.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급사고력 신장과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고 고급사고력신장에 있어서 역할놀이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급사고력은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독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정신작용으로, 본고에서는 고급사고력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능력,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로 구분하였다.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을 통하여 학생들은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과 의사결정능력, 메타인지 등 고급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고급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중 하나로 역할놀이를 10학년 사회교과서 중 환경관련 단원 (IV. 환경문제와 지역문제)을 사례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역할놀이 교수-학습 모형을 서울시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에 적용하였다. 역할놀이에 참여한 학생들은 주어진 지리적 문제 상황에 맞는 역할극을 실연해 보고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서로의 예측 결과를 공유하고 토론하고 일반화함으로써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등 고급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가치관, 태도 등 기능적$\cdot$정의적 영역도 향상시킬 수 있다.

ICT 교수·학습 측면에서 본 국내 수업모형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Instruction Models for ICT Teaching and Learning)

  • 송연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39-54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모형 관련 논문을 연구시기별, 연구주제별, 수업모형별, 학교급별, 교과목별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의 표집기간은 1977년부터 2013년 3월까지로 설정했으며, 최종 586개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업모형 연구의 변천사를 시기별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기(1977년~1996년), 제2기(1997년~2006년), 제3기(2007년~2013년)이며, 제1기에 8%에서 제2기에 51%로, 제2기에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세 시기에 걸쳐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설계 및 개발'이었으며, 연구가 가장 활발한 수업모형군은 '교과 교육과정지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로 보면, '범교과' 연구가 다른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수업모형의 국내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과학적 실험과 공학적 실험에서 초등교사의 수업 과정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Laboratory Instruction Process through Experiments from Science Laboratory and Engineering Laboratory)

  • 임재근;이소리;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515-52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d their classes of a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and an engineer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a science subject class. For this study, science laboratory and engineering laboratory lessons were selected and for each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atory lesson,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video-recorded of their lessons. The science and engineering laboratory lessons were analyzed by utilizing processes of the science model and the engineering model based on Schauble et al. (1991).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In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some participants didn't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ience laboratory goal and the engineering laboratory goal. All of participants used search and end strategy of engineering laboratory for science laboratory lesson. In engineering laboratory instruction, all of participants guided to students engineering laboratory goal and used inferences and search strategy of engineering laboratory. However they didn't use the trial and error strategy or redesign which can be an essential element in engineering and design proces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 장덕현;최고운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60
    • /
    • 2008
  • 이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활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모형을 제안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관 이용교육은 서지교육의 개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개념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며,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정보활용교육의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지침과 모형을 제시하는 노력은 아직 미흡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도서관 주체의 정보활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ACRL, LIRT, SCONUL, ANZIIL의 홈페이지에 추천된 온라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적인 단계와 각 도서관의 학습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교육모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중등 지리과에서의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의 모형 개발과 효과 분석 (A Study on the Constructivist Multimedia-Assisted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Geography)

  • 배상운;조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3-185
    • /
    • 1999
  • 중등 지리과에서의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의 모형 개발과 효과 분석을 위하여 개발 및 실험 연구를 병행하였다.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CMAI)의 개념적 및 절차적 모형은 구성주의적 수업 이론과 멀티미디어, PIDA 수업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 구성주의적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은 오프라인 수업(offline CMAI)과 온라인 수업(online CMAI)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오프라인 수업은 다시 프리젠테이션 활용 수업(P/TCMAI)와 CD-ROM 활용 수업(C/RCMAI)으로 구분할 수 있다. CD-ROM 활용의 오프라인 수업 유형별(강의 수업, 집단 교수, 개별 학습, 협동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해서 '한국의 하천과 평야'에 관한 CR-ROM 형태의 오프라인 코스웨어를 개발 적용하였다. 오프라인 수업 유형별 학업 성취도 및 수업 반응도에 대한 변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업 성취도에서는 수업 유형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수업 반응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했다.

  • PDF

증명학습에서 생성-수렴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Proof Learning-Teaching Methods: the Generative-Convergent Model)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1호
    • /
    • pp.59-9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증명학습을 할 때 범하는 수학적 오류를 교수학적으로 처방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증명의 역할과 본질을 이해하여 증명과정을 스스로 구성할 수 있도록,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이라는 증명 학습-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수업모형을 8학년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40시간에 걸쳐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과 관계를 학습할 때 적용하여 학생들의 증명능력 향상과 오류 교정에 미치는 효과 및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 양상으로 세분화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증명능력 검사에서 평균점수는 높았다. 그러나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증명능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생들은 논증기하 영역에서 증명을 할 때 범하는 오류 교정율에 있어서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한 학생들의 오류 교정율이 통제집단보다 더 큰폭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정당화 유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경험적 정당화에서 분석적 정당화로의 이행을 보였으나, 생성-수렴 모형에 의한 증명학습을 한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분석적 정당화를 구성하는 학생들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