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산업의 범위가 모호하여 산업규모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가치를 조사하기가 힘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표준산업분류에 기초하여 공간정보산업 범위와 종류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분류안을 제안하였다. 분류안은 공간정보의 가치사슬에 대응하는 각산업 영역의 역한과 특정을 고려하고 기존 표준산업분류체계를 기초로 하였기 때문에 타 산업분야와 연계성이 높은 공간정보산업의 특정을 반영하고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안을 활용하여 공간정보산업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산업 통계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orean Medicine (KM) industry that is practically feasible, ultimately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KM industry's development. Methods: The draft of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categories were establish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on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s related to KM or industry. The experts who affiliated to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on KM industry were invited to conduct reviews for enhancing the draft's practical validity and usability. The review process was iterated until consensus was achieved among the experts, ensuring the revised classification was comprehensive and robust. Results: Three drafts were created in total, and the final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consisted of the 'KM industry' and the 'KM-related industry' (indirectly related or supportive of the KM industry). The 'KM industry' includes KM medicaments, KM medical instruments and appliances, and KM healthcare service. The 'KM-related industry' includes KM research, KM administration, KM education, and KM organization. Two key points emerged from the open feedback: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new sectors within the KM industry an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methods to link these new sectors with existing statistical data. Conclusions: The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KM industry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al resource for policymakers, researchers, and industry practitioners in the relevant field, supporting their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산업정보의 인터넷 자원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서비스 기관마다 나름대로의 분류기준으로 정보를 분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산업정보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구축은 물론 산업활동 주체간, 업무특성별 상호간에 산업정보의 활용에도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분류체계를 제시하여 인터넷을 통한 정보접근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정보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표준산업분류표}를 중심으로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국내 산업정보서비스 사이트의 주제분류체계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현재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산업정보의 양을 계량적으로 측정하여 분류항목 선정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분류원칙과 분류지가 타당한 산업분류체계의 구성방안을 제시하였다.
For group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survey industry of Korea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watching for internal survey industry, It has a purpos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based of UN 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urvey industry classification of KSIC has not been focused at the special quality of survey industry which is growing fast.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of foreign survey has rapidly adapting to survey industry development as detailed and specialized on purpose. thus, Korea's survey KSIC is in urgency to specialize and detail at the field of survey industry as well.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업분류 체계에서 기업들이 성격이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국내 기업의 산업분류의 적정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산업분류는 제조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으로 한정하여 두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 대해서 동질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기업의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동질성 테스트를 수행해야 하는데, 기업별 회계정보로서 산업분류의 역할이 중요한 발생액 모형의 구성 요소인 총발생액, 매출과 매출채권 증분의 차이, 그리고 유형자산을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업에 속한 기업들의 동질성이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 속한 기업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업분류가 기업 수준의 분석뿐만 아니라 기업이 속한 산업 수준의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매우 유용한 체계이지만, 산업 내 기업의 동질성을 전제로 한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연구 목적에 맞게 산업분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산업분류(Industrial Classification)는 산업활동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모든 국가는 국가별 일정한 분류 방법에 의해 체계화된 표준산업분류(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를 운용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국의 산업활동과 관련한 통계조사를 통해 산업현황을 분석하거나,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하며, 또 국가 간 비교에도 이용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2차 산업혁명 이후, 국가 간 경제 산업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국제적인 표준산업분류 기준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유엔통계처(UNSD)는 영국의 경제학자 콜린 클라크가 1940년 산업을 1차(원시산업) 2차(가공산업) 3차(서비스산업)로 구분한 산업 3분류를 기초로 하여 1948년에 국제표준산업분류(ISIC)를 제정하였고, 대부분의 국가가 이를 원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표준산업 분류(ISIC)와 각국의 표준산업분류는 제정 이후,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이들 표준산업분류가 거의 예외 없이 2000년대에 들어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개정 사유가 신생산업의 출현으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과 그 개정 내용이 주로 3차산업 영역의 대분류 항목을 신설 세분하거나, 1 2차산업 영역 소속의 산업들이 3차산업 영역으로 소속 이동하는 형태라는 공통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공통적 현상의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현 분류체계들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서비스경제 관점에서의 새로운 산업분류체계의 방향을 고찰하고, 새로운 분류체계의 개념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본 제안 모델을 검증하고 신 분류체계 연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establish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for twelve material and component(MC) areas to sup-port systematic information services for MCT-20l0 which is supported by Korean government. We propose some design principles for MC technology classification system. The principles are suggested by consider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MC classification, regarding with scope, originality, hierarchy,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lassification and product classification, duplication and complex structure, use of information system, and life cycl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in every industries is gaining importance for resource planning and maintenanc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s for railway industry. International and domestic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HS, UNSPSC, eCl@ss and ISIC, are reviewed; as a result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and the various issues. We proposed to-be images in adopting and utili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Using the integrative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s could make efficient electronic procur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and e-Business of railway services.
보안산업의 성장 및 산업간 영향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경제적 통계 작성의 기본은 보안산업 범위의 설정과 함께 표준화된 산업분류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산업분류는 국제 및 국내의 표준화된 표준산업분류기준을 준수하고 이와 연계되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현재 보안과 관련된 제품과 서비스 분류, 기술 분류는 물론 정보보안, 물리보안, 융합보안의 대표적 분류들은, 산출물을 위한 생산 활동의 특성을 기본으로 하는 산업분류의 기준과 부합하지 않고, 다수의 융합보안 산업분류 연구 결과 역시 수요자 중심의 분류로 현재 국가에서 통계, 법, 정책 집행 등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공급자 중심 분류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우리나라 및 국제적인 산업분류의 기준을 정리한 후 현재 보안에 대한 분류들이 이러한 기준에 부합한지를 우선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보안산업과 같이 새롭게 형성되는 산업들의 분류 방향을 보기 위해 일부 국내 산업 특수분류 사례들과 유형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보안산업의 산업분류 기준 및 작성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scale of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ecosystems to provide basic data for a revitalization strategy for the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and proposes an analysis of transaction networks based on the special classific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First, we examine the localization rate, technology level, and price level of the offshore wind industry. Second, this research compares the methodology and estimatio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estimating the scale of the wind power industry. Third, we examine the detail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a special classific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statistics and review the Korea Energy Agency's renewable energy industry statistics (focusing on 2019 and 2020).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nalyzing an inter-company transaction network based on special classifications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to grasp the status of each region and value chain of the offshore wind industry.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