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genous fungi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First Report of Eight Milkcap Species Belonging to Lactarius and Lactifluus in Korea

  • Lee, Hyun;Park, Jae Young;Wisitrassameewong, Komsit;Kim, Min Ji;Park, Myung Soo;Kim, Nam Kyu;Lee, Jong Kyu;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6권1호
    • /
    • pp.1-12
    • /
    • 2018
  • Lactarius and Lactifluus are milkcap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secretion of latex. These two genera are part of a globally distributed cosmopolitan group of ectomycorrhizal fungi that is an important food resource in various ecosystems. Recently, the taxonomy of Lactarius and Lactifluus has been revised based on molecular phylogenetic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se taxa, Korean species of both genera are poorly understood. In an effort to describe milkcap species that are indigenous to Korea, a long-term study has been initiated. During a recent survey, eight species of milkcaps that were previously unrecorded in Korea were detected based on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five Lactarius species (Lactarius atromarginatus, L. austrotorminosus, L. kesiyae, L. tabidus, and L. vietus) and three Lactifluus species (Lactifluus acicularis, Lf. pilosus, and Lf. pinguis).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se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article.

A New Report on Edible Tropical Bolete, Phlebopus spongiosus in Thailand and Its Fruiting Body 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a Host Plant

  • Kumla, Jaturong;Suwannarach, Nakarin;Lumyong, Saisamor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63-275
    • /
    • 2020
  • Phlebopus spongiosus is a well-known edible ectomycorrhizal mushroom indigenous to southern Vietnam. The mushroom specimens collected from northern Thailand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P. spongiosus. This identification wa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Pure cultures were isolated and the relevant suitable mycelial growth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ungal mycelia grew well on L-modified Melin-Norkans, and Murashige and Skoog agar all of which were adjusted to a pH of 5.0 at 30 ℃. Sclerotia-like structures were observed on cultures. The ability of this mushroom to produce fruiting bodies in the absence of a host plant was determined by employing a bag cultivation method. Fungal mycelia completely covered the cultivation substrate after 90-95 days following inoculation of mushroom spawn. Under the mushroom house conditions, the highest amount of primordial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10-15 days at a casing with soil:vermiculite (1:1, v/v). The primordia developed into a mature stage within one week. Moreover, identification of the cultivated fruiting bodies was confirmed by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spongiosus found in Thailand and its ability to form fruiting bodies without a host plant.

First Report of Gray Mold Disease on Endangered Species Cypripedium japonicum

  • Jeon, Chang-Wook;Kim, Da-Ran;Gang, Geun Hye;Kim, Byung-Bu;Kim, Nam Ho;Nam, Seong-Yeol;Kwak, Youn-Sig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423-426
    • /
    • 2020
  • Cypripedium japonicum is known to be the indigenous plant to Korea, Japan, and China. However, C. japonicum represents the most critically endangered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The plant is esthetically pleasing due to its flower, which is larger than any other orchidaceous species. Disease symptoms relating to gray mold were observed on C. japonicum in May 2019. The suspected pathogen was successfully isolated from the symptomatic leaf tissue and conducted a pure culture of the fungi. The conidia formed consisted of a colorless or light brown single cell, which was either egg or oval-shaped with a size of 7.1 to 13.4 × 5.2 to 8.6 ㎛.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 analysis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athogen concerned belonging to the family of Botrytis cinerea. Therefore,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pathogen isolated from C. japonicum was consistent with the unique properties of B. cinerea.

Penicillium from Rhizosphere Soil in Terrestrial and Coastal Environments in South Korea

  • Park, Myung Soo;Lee, Jun Won;Kim, Sung Hyun;Park, Ji-Hyun;You, Young-Hyun;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431-442
    • /
    • 2020
  • Penicillium, the most common genus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various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However, only a few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rhizosphere soil. As part of a project to excavate Korean indigenous fungi, we investigated rhizosphere soil of six plants in the forest (terrestrial habitat) and sand dunes (coastal habitat) and focused on discovering Penicillium species. A total of 64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26 Penicillium species in nine sectio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equence analysis of β-tubulin and calmodulin. Although this is a small-scale study in a limited rhizosphere soil, eight unrecorded species and four potential new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addition, most Penicillium species from rhizosphere soil were unique to each plant. Penicillium halotolerans, P. scabrosum, P. samsonianum, P. jejuense, and P. janczewskii were commonly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Eight Penicillium species, P. aurantioviolaceum, P. bissettii, P. cairnsense, P. halotolerans, P. kananaskense, P. ortum, P. radiatolobatum, and P. verhagenii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ere, we provide th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ese unrecorded species.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 고찰(2006~2020) (Review of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Investigation Project (2006-2020)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 배연재;조기종;민기식;김병직;현진오;이진환;이향범;윤정훈;황정미;염진화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119-135
    • /
    • 2021
  • 생물다양성협약(1992년)과 나고야의정서(2010년)의 체결 이후 우리나라는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자생생물의 조사·발굴 연구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러한 계기로 2007년에 설립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의 주도로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6년 이후 현재까지 15년 동안 5단계(1단계 2006~2008년, 2단계 2009~2011년, 3단계 2012~2014년, 4단계 2015~2017년, 5단계 2018~2020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본 사업의 이전에 29,916종(2006년)이던 한반도 자생생물이 본 사업의 각 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누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33,253종(2008년), 2단계 38,011종(2011년), 3단계 42,756종(2014년), 4단계 49,027종(2017년), 그리고 5단계 54,428종(2020년)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본 사업 기간 동안 한반도 자생생물 기록종이 약 1.8배 증가하였다. 이 통계자료는 이 기간 동안 연평균 2,320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이 새로이 기록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발굴종 중에서 총 5,242종의 신종을 기록하는 학술적 큰 성과를 거두었다. 분류군 별로는 총 연구 기간 동안 곤충 4,440종(신종 988종 포함), 무척추동물(곤충 제외) 4,333종(신종 1,492종 포함), 척추동물(어류) 98종(신종 9종 포함), 식물(관속식물과 선태식물) 309종(관속식물 176종, 선태식물 133종, 신종 39종 포함), 조류(algae) 1,916종(신종 178종 포함), 균류와 지의류 1,716종(신종 309종 포함), 그리고 원핵생물 4,812종(신종 2,226종 포함)이 한반도에서 새로이 기록되었다. 생물표본은 각 단계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247,226점(2008년), 2단계 207,827점(2011년), 3단계 287,133점(2014년), 4단계 244,920점(2017년), 그리고 5단계 144,333점(2020년)이 수집되어 연평균 75,429점, 총 1,131,439점의 생물표본이 채집되었다. 그중에서 곤충 281,054점, 곤충 이외의 무척추동물 194,667점, 척추동물(어류) 40,100점, 식물 378,251점, 조류(algae) 140,490점, 균류 61,695점, 그리고 원핵생물 35,182점이 채집되었다. 본 사업에 참여한 각 단계별 연구원/보조연구원(주로 대학원생)의 수는 1단계 597/268명, 2단계 522/191명, 3단계 939/292명, 4단계 575/852명, 그리고 5단계 601/1,097명으로 전체년도의 참여연구자는 연평균 395명, 총 연인원 약 5,000명이 참여하여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와 분류학 전공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본 사업 기간 동안 전문학술지 논문 3,488편(국내학술지 논문 2,320편, SCI급 국제학술지 논문 1,168편 포함)이 출판되었다. 본 사업 기간 중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및 생물표본 확보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833억원(연평균 55억원)이다. 본 사업은 국가 주도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로서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가 참여하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 단기간에 이루어 낸 한국식 압축성장의 한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사업의 종발굴 성과는 최근의 생물분류 체계로 분류되어 국가생물종목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전문가와 학생 및 일반 시민에게 제공되고 있다(https://species.nibr.go.kr/index.do). 본 사업에서 파생된 기재문, DNA 염기 서열, 서식처, 분포, 생태,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각 종의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생물의 계통, 진화 연구 등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종의 변화 같은 생물분포 모니터링 사업과 바이오산업의 생물소재를 탐색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젊은 분류인력(주로 대학원생)의 양성을 지원할 수 있었던 것은 본 사업이 가져온 가장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과거 15년간 숨 가쁘게 달려온 본 사업은 아직 진행 중이다. 그동안 발굴된 종들에 대한 이명(synonym)과 오동정 등을 바로잡아 학문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한반도에 존재하리라 예상되는 약 10만 종의 자생생물 중에서 남겨진 5만 종에 대한 조사·발굴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Screening of Biodegradable Function of Indigenous Ligno-degrading Mushroom Using Dyes

  • Jang, Kab-Yeul;Cho, Soo-Muk;Seok, Soon-Ja;Kong, Won-Sik;Kim, Gyu-Hyun;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53-61
    • /
    • 2009
  • The process of biodegradation in lingo-cellulosic materials is critically relevant to biospheric carbon. The study of this natural process has largely involved laboratory investigations, focused primarily on the biodegradation and recycling of agricultural by-products, generally using basidiomycetes species. In order to collect super white rot fungi and evaluate its ability to degrade lingo-cellulosic material, 35 fungal strains, collected from forests, humus soil, livestock manure, and dead trees, were screened for enzyme activities and their potential to decolorize the commercially used Poly-R 478 dye. In the laccase enzymatic analysis chemical test, 33 white rot fungi and 2 brown rot fungi were identified. The degradation ability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ccording to the utilized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higher in the mushrooms grown in dead trees and fallen leaves than in the mushrooms grown in humus soil and livestock manure. Using Poly-R 478 dye to assess the PAH-degradation activity of the identified strains, four strains, including Agrocybe pediades, were selected. The activities of laccase, MnP, and Lip of the four strains with PAH-degrading ability were highest in Pleurotus incarnates. 87 fungal strains, collected from forests, humus soil, livestock manure, and dead trees, were screened for enzyme activities and their potential to decolorize the commercially used Poly-R 478 dye on solid media. Using Poly-R 478 dye to assess the PAHdegrading activity of the identified strains, it was determined that MKACC 51632 and 52492 strains evidenced superior activity in static and shaken liquid cultures. Subsequent screening on plates containing the polymeric dye poly R-478, the decolorization of which is correlated with lignin degradation, resulted in the selection of a strain of Coriolus versicolor, MKACC52492, for further study, primarily due to its rapid growth rate and profound ability to decolorize poly R-478 on solid media. Considering our findings using Poly-R 478 dye to evaluate the PAH-degrading activity of the identified strains, Coriolus versicolor, MKACC 52492 was selected as a favorable strain. Coriolus versicolor, which was collected from Mt. Yeogi in Suwon, was studied for the production of the lignin-modifying enzymes laccase, manganese-dependent peroxidase (MnP), and lignin peroxidase (LiP).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硏究) -I. 감염양상(感染樣相)과 밀도(密度) (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of the Indigenous VAMF in Soil of Some Horticultural Crops)

  • 손보균;허상만;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3
    • /
    • 1991
  • 시설원예(施設園藝) 재배(栽培)가 집단화(集團化)되어 있는 순천시(順天市), 승주(昇州), 보성지역(寶性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시설(施設) 원예지(園藝地)의 오이, 고추, 상추, 토마토 및 가지 등의 근권토양(根圈土壤)과 뿌리를 채취(採取)하여 근권(根圈)중의 포자밀도(胞子密度)와 기주작물(寄主作物) 뿌리의 감염양상(感染樣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은 우리나라 밭 토양(土壤)의 평균치(平均値)를 상회(上廻)하고 있으며,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 조사결과(調査結果)는 0.73~1.00mS/cm수준(水準)을 보이고, 수도작(水稻作) 윤환재배(輪換栽培)가 불가능(不可能)한 지역(地域)의 포장(圃場)은 1.34~1.75mS/cm범위(範圍)였다. VA균근균(菌根菌)의 포자밀도(胞子密度)는 건토(乾土) 1g당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서 최저(最低) 4.8개에서 최고(最高) 20.2개의 범위(範圍)를 보이고, 노지(露地) 재배지(栽培地)보다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의 포자밀도(胞子密度)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토양산도(土壤酸度)가 비교적(比較的) 낮은 지역(地域)(pH 4.9부근)은 Acaulospora속(屬)과 Gigaspora속(屬)이 우점(優占)하였고 중성(中性)에 가까운 곳(pH 6.3 부근)은 Glomus속(屬)이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조사(調査)된 작물(作物)들의 감염율(感染率)은 38%~70% 범위(範圍)를 보였고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가지와 고추에서 가장 높은 70.0%와 66.0%를 각각 나타냈다. 기주식물(寄主植物)들의 근권토양(根圈土壤)의 포자(胞子) 크기별 분포(分布)는 상추, 오이 및 토마토의 경우 $75{\mu}m{\sim}106{\mu}m$범위(範圍)가 가장 많았고, 고추와 가지에서는 $75{\mu}m{\sim}250{\mu}m$ 범위(範圍)가 많았다.

  • PDF

주류생산 부산물인 주박의 특성 규명 및 주박이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Ju-Back and Effect of Ju-Back Fertilizer on Growth of Crop Plants)

  • 이정훈;박성민;박치덕;정혁준;김현수;유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62-1570
    • /
    • 2007
  • 본인들은 주류생산 부산물인 주박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비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험에 사용된 주박에는 잔존 알코올함량이 평균 5-8%이며, 주요성분으로 6.04% 총질소량, 42.59% 총탄수화물량, 1.01% 유용 인산량, 73.42% 유기물량, 7.72% $K_2O$, 1.35% CaO와 0.53% MgO을 함유하고 있었다. 주박은 980 units/g의 ${\alpha}-amylase$, 300 units/g의 glucoamylase와 1,800 units/g의 산성 protease활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높은 수준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중 항 진균활성이 우수한 근권세균인 Bacillus subtilis KMU-13을 분리,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subtilis KMU-13으로 동정했다. 식물병원성 진균인 Botrytis cinerea KACC 40573, Sclerotinia sclerotiorum KACC 41065, Fusairum of oxysporum KACC 40052, Pythium aphanidermatum KACC 40156, Phytophthora capsici KACC 40476와 Glomerella cingulata KACC 40299에 대하여 높은 항 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시제품은 동결건조 주박을 직접 시제품으로 사용하는 시제품 1과 동결건조 주박 20%, 담체 70%, B. subtilis KMU-13의 배양액 9.7%, 미량원소 0.3%를 혼합하여 시제품 2를 제작했다. 시제품 1과 시제품 2의 상추를 이용한 포장 재배시험에 대한 비료효과 및 토양이화학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3요소비료, 퇴비 및 석회를 시용한 관행구에 비해 수확기의 엽장, 엽폭, 엽수 및 생체중량 등이 증가하였으며, 토양 이화학성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 II. VA균근균(菌根菌)의 동정(同定) (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I. Identification of the Indigenous VAMF Distributed in Greenhouse Soil)

  • 손보균;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3-301
    • /
    • 1991
  • 순천시(順天市), 승주(昇州), 보성지역(寶城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시설원예지(施設園藝地)의 오이, 고추, 상추, 토마토 및 가지 등의 근권토양(根圈土壤)에서 분리(分離)된 VA균근균(菌根菌)의 동정(同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 중(中)의 속(屬), 종(種)의 동정결과(同定結果)는 Glomales 목(目), Glomineae 아목(亞目)에 속하고 Acaulosporaceae과(科)의 Acaulospora속(屬) 그리고 Glomaceae과(科)에 속하는 Glomus속(屬)와 Sclerocystis속(屬)가 확인(確認)되었고, 아목(亞目) Gigasprineae의 Gigasporaceae과(科)에 속하는 Gigaspora속(屬)와 Scutellispora속(屬) 등의 5개속(個屬) 15개종(個種)이 확인(確認)되었다. Acaulospora속(屬)에서는 6개종(個種) 즉 A. denticulata Sievering and Toro, A. elegans Trappe & Gerd., A. bireticulata Rothwell & Trappe, A. foveata Trappe & Janos, A. rehmii Sieverding & Toro, A. appendiculata Spain, Sievering & Schenck 등이 동정(同定)되었고, Glomus속(屬)는 3개종(個種) G. ambisporum Schenck & Smith(Type II), G. hoi Berch & Trappe, G. caledonium(Nicol. & Gerd.) Trappe & Gerd. 등이 Gigaspora 속(屬)는 G. gigantea (Nicol.& Gerd.) Gerd.& Trappe, G. decipiens Hall & Abbott, 그리고 Scutellispora 속(屬)는 S. aurigloba (Hall Walker & Sanders, S. calospora (Nicol.& Gerd.) Walker & Sanders, S. coralloidea (Trappe, Gerd. & Ho) Walker & Sanders 등 3개종(個種)과 Sclerocystis속(屬)에서는 S. pachycaulis Wu & Chen의 포자낭과(胞子囊果)가 동정(同定)되었다.

  • PDF

울릉도 수집 균주의 배양조건에 따른 균사 생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ure Conditions of Ulleungdo Collection Strains)

  • 김민경;안초롱;김창무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5-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에서 수집한 자생 버섯 균주 5종의 평판배지 배양 특성과 액체배양에서의 특성을 확인하여 자생 균류의 이용을 위한 기초 정보를 확보하였다. 5종의 야생 균주의 최적 배양온도는 25-30℃이고, pH는 4.0-5.0의 산성임을 확인하였다. 특히P. brumalis는 35℃에서 생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보아 고온성 버섯으로 판단된다. 실험에 사용한 상용 배지 중 최적 배지는 F. punctata의 경우 MEPA 배지, P. ulleungus는 MMNA 배지, G. subnudus는 MEA 배지, T. kmetii는 MMNA 배지, 마지막으로P. brumalis는 모든 배지에서 빠른 생장 속도를 보였으며 6종류의 배지 중 MEA 배지는 모든 균주의 균사 밀도가 낮아 배양이 적합하지 않은 조성임을 확인하였다. P. brumalis는 5종의 균주중 가장 빠른 생육 속도를 보였으며, 반면에P. ulleungus는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여 같은 속(genus)의 종이지만, 생육특성의 차이가 극명함을 보였다. 액체배양을 통해 배양 기간에 따른 배양여액의 건조 중량을 비교한 결과 배양 기간이 길수록 건조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6개월 이전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 정치배양 조건에서의 액체배양은 한달 이상의 배양 시간이 주어져야만 배지 성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5종의 균주에 대한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고 향후 응용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