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 (001)

검색결과 17,979건 처리시간 0.037초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 내 증후증상 인식과 치과공포수준 (Dental Fear Level according to Oral Symptom Awareness in College Students)

  • 윤현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98-20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구강 내 증후증상과 공포감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와 예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2015년 9월부터 3개월간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종 288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공포수준은 모든 항목에서 여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는 약속 미룸(p=0.014), 진료 시 긴장(p=0.001), 진료 시 호흡 가쁨(p=0.009), 진료 시 심장 박동 수 증가(p=0.010), 약속 시 두려움(p=0.003), 치과도착 시 두려움(p=0.001), 대기실 대기 시 두려움(p=0.001), 치과냄새 두려움(p=0.006), 마취 시 두려움(p<0.001), 주사바늘 주입 시 두려움(p<0.001), 치아삭제용 기구를 볼 때 두려움(p<0.001), 치아삭제용 기구 소리 두려움(p<0.001), 치아삭제 시 느낌에 대한 두려움(p<0.001), 치석제거 시 두려움(p<0.001), 치과치료 전체에 대한 느낌 나쁨(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증후증상 인지에 따른 공포수준은 충치가 있는 경우 진료회피(p=0.001), 생리적 반응(p=0.001), Dental Fear Survey(DFS) 전체(p=0.003), 깨진 치아가 있는 경우 진료회피(p=0.010), 자극요인(p=0.031), DFS전체(p=0.019)에서 공포수준이 높았다. 상실치아가 있는 경우 생리적 반응(p=0.019), DFS전체(p=0.033), 아픈 치아가 있는 경우 자극요인(p=0.031), 잇몸의 통증이 있는 경우 자극요인(p=0.013), DFS전체(p=0.034)에서 공포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통증을 느끼기 전 정기적 검진과 더불어서 예방적 처치를 할 수 있는 전반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로 하여금 공포감을 줄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간호사의 이직의도, 눈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Nunchi, and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박미라;방설영;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9-16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이직의도, 눈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G도에 소재한 병원 근무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조직사회화는 이직의도(r=-.52, p<.001), 직무스트레스(r=-.31, p<.001)와 역상관관계가 있으며, 눈치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r=.33, p<.001). 대상자의 조직사회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직의도(β=-.37, p<.001)이었고, 눈치(β=.26, p<.001), 직무스트레스(β=-.24, p<.001), 원했던 부서로의 배치 여부(β=.19, p=.001), 30세 이하의 연령(β=-.14, p=.012), 수술실 근무(β=.11, p=.050) 순이며, 설명력은 47.0%이었다(F=25.59, p<.001). 따라서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조직 사회화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근무부서를 배치할 때 연령과 희망부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국성인의 비만과 복부비만이 헤모글로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eral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on Hemoglobin in Korean Adult)

  • 이혜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23-33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WC)가 헤모글로빈(Hb)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자료를 이차분석 하였고 19세 이상의 56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및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SPSS WIN 25.0). 결과는, 첫째, BMI에 따라 Hb은 비만에서 가장 높았다(F=97.862, p<0.001). 둘째, WC에 따라 Hb은, 남성 $WC{\geq}90cm$(t=4.909, p<0.001), 여성 $WC{\geq}85cm$(t=5.088, p<0.001)에서 높았다. 셋째, Hb은 BMI(r=0.188, p<0.001) 및 WC(r=0.298, p<0.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남성에서 비만은 고헤모글로빈혈증이 2.30배(p<0.001), $WC{\geq}90cm$은 1.81배(p<0.001)증가하였다. 여성에서 과체중은 1.99배(p=0.002), 비만은 5.66배(p<0.001), $WC{\geq}85cm$은 4.27배(p<0.001) 고헤모글로빈혈증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비만예방 및 관리프로그램에 운동, 식이, 교육과 특히 복부비만해소를 위한 운동중재가 포함되어야 한다.

폐경기 여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련 지식, 태도 및 건강행위에 관한 융합 연구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 Workers)

  • 최준영;최소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39-347
    • /
    • 2019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D와 S 조선소에 근무하는 폐경 후기 여성 근로자 268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 유무에 따라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군과 건강군으로 분류하여 이들 두 군 간의 일반적 특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태도, 건강행위 이행 정도 및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건강군과 발병 위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변수는 연령(F=92.239, p<.001), 동거유형($x^2=20.056$, p<.001), 소득수준($x^2=39.023$, p<.001), 주당 근무시간(F=32.217, p<.001), 근무년수(F=12.310, p=.001), 심뇌혈관질환 가족력($x^2=233.442$, p<.001), 주관적 건강상태($x^2=19.058$, p=.001)였다. 두 군에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지식 정도(F=2.679, p=.008)와 건강행위 이행 정도(F=4.339, p<.001)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련 건강행위 이행 정도의 관계에서 건강군은 지식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r=.348, p<.001), 발병 위험군은 지식(r=.279, p=.002)과 태도(r=.194, p=.030)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뇌혈관질환 발병에 취약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기관 내 응급구조사의 직무특성과 이직의향 및 조직몰입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MT(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ithin Medical Institution)

  • 박상섭;박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68-777
    • /
    • 2013
  • 본 연구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이직의향과 조직몰입 분석을 통해 업무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응급구조사 188명에 대해 무작위 추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5월 3일부터 5월 19일(G도 5월3일-4일, B광역시 5월14일, D광역시 5월18-19일)까지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SPSS WIN program(Version 1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향은 여자이며(p<.001), 30세 이하로(약 4.9배, p<.001), 미혼이며(약 4.3배, p<.001), 전문대졸이 이직의향이 높았다(약 4배, p<.001). 또한, 수입은 150만 원 이하이며(약 3.3배, p<.001), 5년 이하의 근무경력으로(약 3.2배, p<.001), 법적 업무 한계성을 느끼며(약 1.8배, p<.05), 직무만족이 낮은 집단이 이직의향이 높았다(p<.001). 조직몰입과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성별, 직무만족을 제외한 연령, 결혼, 학력, 이직의향, 수입, 경력, 법적 업무 한계성의 변수는 조직몰입과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p<.01).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직의향(p<.01), 법적 업무 한계성(p<.01), 직무만족(p<.001)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40대 기혼남녀의 성생활의 질(SQOL)에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for the Sexual Quality of Life in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40s)

  • 양은영;장영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219-7226
    • /
    • 2015
  • 본 연구는 40대 기혼남녀의 성생활의 질(SQOL)을 8개의 인구학적 변인, 8개의 성과 관련된 변인, 6개의 부부 관계적 변인으로 구분하여 그 관계를 조사함으로서 중년 기혼남녀들의 성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시도되었다. 2015년 1월 19일부터 2015년 3월 5일에 걸쳐 서울의 강남 2곳과 강북 2곳의 건강검진센터 방문 대상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0세~49세까지의 기혼 남녀 18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학적 변인 중에는 학력(p<.05), 건강상태(p<.001), 결혼기간(p<.01), 월평균 수입(p<.01) 변인이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성 관련 변인 중에서는 성지식 정도(p<.01), 포르노 접촉(p<.001), 분만시 남편의 참여 여부(p<.001) 등의 변인이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관계적 변인 즉 배우자와의 갈등 유무(p<.05), 성생활의 빈도(p<.001), 배우자와의 애정강도(p<.001), 가족전체와의 화목도(p<.001), 부부간의 일반적 의사소통(p<.001) 및 성적 의사소통 정도(p<.001)에서는 6개의 변인 모두 성생활의 질에 유의미함을 보여 주어 결론적으로 성생활의 질을 높이는데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또는 성관련 변인보다 부부 관계적 변인이 더 중요함을 보여 주었다.

한국 청소년의 흡연경험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행태,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oral health-related behaviors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smoking experience in korean adolescents)

  • 김지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26
    • /
    • 2020
  • This study surveyed 57,303 teenagers using the 15th (2019) online Juvenile Health Behavior survey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mental health, and smok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experience are as follows: The smoking rate was higher in men (p<0.001), in a lower academic ability (p<0.001), and in moderate economic status was moderate (p<0.001). The smoking rate was higher in 2 or less brushing frequency (p<0.001), in no brushing before going to bed (p<0.001), in no brushing aftger lunch (p<0.001), in no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p<0.001), and when the subjests felt unhealty in oral health (p<0.001). The smok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experienced a lot of stress (p<0.001) and feelings of depression (p<0.001). The odds ratio for smoking was 1.44 when not brushing teeth before bedtime, 0.76 in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1.29 in unhealthy subjective oral health. The odds ratio for smoking was 0.91 in no stress and 1.85 in depression. Since oral behavior and mental health affect smoking, intervening with these factors is necessary to quit smoking.

부산지역 병원급식 조리종사자의 직무특성 및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Foodservice Employees in Busan Area)

  • 김민영;류은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5-75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hospital foodservice employees by determining their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recent hospital environment changes. Methods: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248 hospital foodservice employees in Busan area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25, 2014. A total of 15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f job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y work experience (p<0.001), annual salary (p<0.01), and cooking certification (p<0.05).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difference by the age (p<0.05), annual salary (p<0.001), and turnover intention (p<0.001).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significantly (p<0.001) difference by age, work experience, and annual salary.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p<0.001)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kill variety (p<0.001), feedback (p<0.01), and task significance (p<0.001) of job characteristics, with work (p<0.001), pay (p<0.001), and co-workers (p<0.001) of job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beta}=0.249$, p<0.001) and job satisfaction (${\beta}=0.380$, p<0.001)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p<0.001). In sub factors of job satisfaction, work (${\beta}=0.291$, p<0.001) and pay (${\beta}=0.252$, p<0.01) had positi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o develop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spital managers need to reinforce responsibility and fulfillment by job enrichment and to consider increasing salaries to get a higher satisfaction from foodservice employee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그릿, 자기효능감이 임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Grit and Self-Efficacy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김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51-46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그릿, 자기효능감, 임상 수행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상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경북 G시 소재 일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 수행 능력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r=-.383, p<.001), 그릿(r=.310, p<.001), 자기 효능감과(r=.327,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스트레스(β=-.37, p<.001), 임상실습 만족도β=.35, p<.001), 자기 효능감(β=.31, p<.001), 그릿(β=.28,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2.8%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고 임상실습에 만족하도록 해주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자기 효능감과 그릿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가구 유형에 따른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the Types of Households)

  • 윤미순;최은희;김유진;강유리;최시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8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ged 65 y or older, according household type. Methods: In 2019, the study extracted the data from the elderly participants (65 y of age or older) from G province Community Health Survey. The data were compiled and analyzed in a composite sample. Results: The quality of life was lowest among single people, grandparents-grandchildren (F=39.88, p<.001).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quality of life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basic security(β=-.03, p=.002), high-risk drinking (β=.04, p=.002), number of day to walk (β=.01, p<.001), diabetes mellitus (β=-.03, p<.001), depression (β=-.02, p<.001), and contact frequency (β=.00, p<.001).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grandparents-grandchildren households were basic security (β=.03, p<.001), smoking(β=-.02, p<.001), number of day to walk (β=.00, p<.001), hypertension (β=-.01, p=.009), diabetes mellitus (β=-.04, p<.001), cognitive impairment (β=-.02, p<.001), depression(β=-.02, p<.001), contact frequency (β=.01, p<.001), and neighborhood trust (β=.02, 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each type of household,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re needed in their social networks to suit their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