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ing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1,215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 구강건강을 중심으로 (Pot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South Korean Senior People: Based on Oral Health)

  • 남영신;장재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1-289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을 중심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찾아내어 향후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 정책 수립 평가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 자료는 2007년 7월부터 2009년 12월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4기 원시자료로부터 구강검진을 받은 만65세 이상 노인 3,882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잔존치아 수가 많을수록, 국소의치 및 총의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삶의 질이 높았다. 따라서 보철물이 없는 치아 상실이 삶의 질에 크게 작용하므로 잔존치아 수를 증가시키는 노력과 함께 노인에게 치과 보철물 장착을 하여 구강건강을 회복시키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소주천 명상요법이 스트레스 해소 및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jucheon Meditation therapy on Relieving Stress and the Improving of The Quality of Life)

  • 조명성;조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469-478
    • /
    • 2020
  • 본 연구는 명상요법이 스트레스 해소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광주·전남에 있는 소주천 명상 회원 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회사원, 미용학원 학생 등 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하였다. 두 집단 간 연구변인의 차이의 통계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삶의 질 향상 역시 F검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명상수련자의 경우 대부분이 명상요법이 스트레스 해소 및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소주천 명상요법은 스트레스 해소 및 삶의 질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심리적 안정에 명상요법의 참고 자료를 제공함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활동량 수준에 따른 우울,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수면장애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Hemodialysis Patients)

  • 박영주;김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45-355
    • /
    • 2018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신체활동량 수준이 우울,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2개 도시에 소재한 5개 혈액투석실에서 혈액투석을 시행받는 193명의 혈액투석환자들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상관관계의 결과는 우울과 신체활동량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 = -.259, p <.01),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과 신체활동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273, p <.01, r = .186, p <.01).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을수록 혈액투석환자의 신체활동량 수준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beta}=.22$, p <.01). 따라서 혈액투석환자의 신체활동량을 증진시켜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A Policy Propos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iddle-Aged People: Focusing on Lifestyle)

  • 양민아;임승주;한대성;박지혁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531-54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위해 중·고령자의 서비스 경험, 우울 수준, 라이프스타일, 삶의 질 간 구조방정식을 통해 경로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제13차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에 SPSS,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위해 AMOS를 사용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서비스 경험, 우울 수준, 라이프스타일 모두 삶의 질에 대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각 경로들 간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 제도와 연구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어서 본 연구의 함의가 있다.

가정호스피스 제공이 말기 암 환자의 통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선정주;이은숙;김성효;박성주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3권2호
    • /
    • pp.1-1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hospice home care on the pain relief and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 Experimental pre and post tests were provided to a single group to see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a hospice home care department after having cancer treatment. They were visited at least 8 times for the duration of 4~6 weeks and were provided a 24 hour phone call service. 41 subjects were transferred to a hospice home care department after being discharged from hospital were selected. Result: 1)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pain score of the subjects after receiving hospice home care would be different from before receiving hospice home care would be different from before receiving hospice home care" which scored 4.06 point at the first test and 3.41 at the second did not statisticall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t=1.421 p=1.66), even though the pain score is decreased. 2)The 2nd hypotheses that "the quality of life score of the subjects after receiving hospice home care would be different from before receiving hospice home care" which scored 2.88 point at the first test and 3.39 at the seco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t=-6.759, p=.000) and was supported. Regarding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score, social aspect(t=-5.745, p=.000), emotional aspect(t=-5.684, p=.000), and spiritual aspect(t=-6.889, p=.000) has significantly been increased, while physical aspect has been more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before the hospice home care is provided(t=4.282, p=.000). Conclusion: It was effective to provide hospice home care in relieving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pain and in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even though a short term hospice home care for 4-6 weeks was provided.

  • PDF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on Strok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 박주형;유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33-540
    • /
    • 2017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K병원에 내원한 뇌졸중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은 전 후 평가를 제외한 총 4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기능적 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와 뇌졸중 특이 삶의 질 척도(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FIM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 SS-QOL값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래사장 위 맨발걷기와 운동화걷기가 허리통증이 있는 노인의 통증, 장애, 운동기능, 수면만족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arefoot Walking and Sneakers Walking on a Sandy Beach on Pain, Disability, Motor Function, Sleep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Low Back Pain)

  • 이가인;전재중;함석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38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refoot walking on the sandy beach on pain intensity, disability, motor function, sleep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low back pain (LBP). Methods :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involving 32 elderly with LBP who underwent sand walking barefoot (intervention, n=16) or with sneakers (control, n = 16). Both walking methods were carried out for 3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Pain intensity and disability were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respectively. Balance and gait were evaluated using the Berg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respectively. Sleep satisfaction was quantified with the Verran and Snyder-Halpern sleep scale. Finally,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through the WHO quality of life scale's abbreviated Korean version. Results :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in intensity (p=.005), disability due to LBP (p=.002), static balance ability (p=.003), dynamic balance ability (p=.002), and sleep satisfaction (p=.01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Barefoot walking on a sandy beach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pain, disability due to LBP, balance ability, and sleep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LBP.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nd longer intervention periods must to be conducted to generalize using barefoot walking in LBP management.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among Menopausal Middle-aged Women in Korea: Mediating Effect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 박수경;이선우;박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10-122
    • /
    • 2017
  • 본 연구는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과의 관계와 이 두변수간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매개효과 및 소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년여성들의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년) 자료 중 만 40세에서 60세까지 중년여성 1,182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갱년기 중년여성의 우울감 경험은 자살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득은 우울감 경험과 자살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는 평균소득 이하의 저소득집단에서 나타났다.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갱년기 중년여성의 자살예방 정책마련 필요,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향상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의 필요 및 저소득층의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 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 김영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1-1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Method: The research was designed with one single pre-post group. The study group of 295 elderlies were se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form in a senior citizen's center in Ulsan city. The subjects received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for 60 min three times a week for 3 months. To evaluation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body mass index (BMI), physiological index, physical function (muscle endurance, agilit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Result: After performing the physical action promotion program for 3 months, the results were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MI (t=4.36, p=.000). 2)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astolic pressure (t=.68, p=.009). 3)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uscle endurance (t=6.50, p=.000), agility (t=4.74, p=.000) and Rt. leg balance (t=4.15, p=.000). 4)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quality of life (t=7.28, p=.000).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refore,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 could be appli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to promote their health.

  • PDF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성지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Quality of Life)

  • 김동례;마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1-5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감성지능과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K시와 J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는 감성지능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감성지능 전체에 7.2%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는 삶의 질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삶의 질 전체에 9.9%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감성지능을 위하여 보육교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