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olicy Propos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Middle-Aged People: Focusing on Lifestyle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Yang, Min Ah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Lim, Seung-J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Han, Dae-S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Sangji University) ;
  • Park, Ji-Hy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양민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임승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한대성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04.06
  • Accepted : 2020.05.13
  • Published : 2020.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bout the path effec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etween the service experience, depression level,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people for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people. Using the 13th Korea Welfare Panel Study, SPSS were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MOS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service experience, depression level, and lifestyle all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that path coefficients between each path were all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e need for lifestyle-oriented management service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regardless of income leve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people, and there ar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providing a policy framework and suggestions tha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위해 중·고령자의 서비스 경험, 우울 수준, 라이프스타일, 삶의 질 간 구조방정식을 통해 경로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제13차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에 SPSS,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위해 AMOS를 사용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서비스 경험, 우울 수준, 라이프스타일 모두 삶의 질에 대해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각 경로들 간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심 관리 서비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 제도와 연구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어서 본 연구의 함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3A2074904).

References

  1. 강상경, 부가청. (2010).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 우울 예측요인. 노인복지연구, 49(1), 7-29.
  2. 고정은, 이선혜. (2012).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층분석.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0(1), 322-351.
  3. 국가지표체계. (2018).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현황. Retrieve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0
  4. 김경은, 박원범, 오민균, 강은경, 임종엽, 양은주, ... 백남종. (2010). 한국 일부 지역 노인들의 체력 및 신체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병, 14(4), 212-220.
  5. 김동기, 이익섭, 엄태영. (2007). 만성질환 의료급여 수급자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 관계와 건강관리행위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31(0), 239-259.
  6. 김동배. (201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복지정책 방향. 보건복지포럼, 2014(10).
  7. 김동진. (2018). 소득.교육 수준에 따른 나쁜 생활습관의 격차와 함의. 보건.복지 Issue & Focus, 348, 1-8.
  8. 김윤아, 오경원. (2015). 우리나라 성인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률(2013)
  9. 김현옥, 정경화. (2009). 거주지역에 따른 노인의 건강생활양식 비교. 노인간호학회지, 11(1), 16-28.
  10. 김혜령, 오가실, 오경옥, 이선옥, 이숙자, 김정아, ... 강정희. (2008). 기초생활보장 수급 노인의 삶의 질.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94-703. https://doi.org/10.4040/jkan.2008.38.5.694
  11. 김호정, 남석인. (2019). 중.장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 탐색. 한국노년학, 39, 941-958. doi.org/10.31888/JKGS.2019.39.4.941
  12. 박강현, 원경아, 박지혁. (2019). 지역사회 거주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측정도구에 관한 조사: 경향과 활용전망. 재활치료과학, 8(3), 7-29. doi.org/10.22683/tsnr.2019.8.3.007
  13. 박선미, 한미아, 박종, 류소연, 최성우, 신환호, 주미현. (2016). 흡연 및 음주와 우울증상 경험과의 관련성: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2).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16(2), 111-118.
  14. 박순우. (2010).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틀 및 추진계획. 농촌의학. 지역보건, 35(2), 204-217.
  15. 배숙경, 엄태영, 이은진. (2012).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2(4), 5-30. https://doi.org/10.15709/HSWR.2012.32.4.5
  16. 원경아, 이종훈, 김정란. (2020). 인지건강 라이프스타일 개선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인지재활학회지, 8(2), 59-74.
  17. 윤정식, 고대선, 원영신. (2016). 노인들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미래전망, 건강증진, 삶의 질의 관계. 한국노년학, 36(4), 1191-1206.
  18. 임승주, 박지혁. (2019). 지역사회 노인의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1(1), 27-40.
  19. 장영식, 고경환, 손창균, 이수현. (2007). 한국인의 삶의 질 수준에 관한 연구.
  20. 정순희. (2000). 노인의 생활양식에 따른 식생활실태 분석. 노인복지연구, 10, 115-140.
  21. 주경희. (2011).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9, 231-264.
  22. 질병관리본부. (2017). 2008-2016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제1권(요약). Retrieved from https://chs.cdc.go.kr/chs/sub03/sub03_03_01.do?pageNo=1.
  23. 최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24. 통계청. (2016). 노인들이 겪는 가장 어려운 문제.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213&tblId=DT_213009N_A036
  25. 통계청. (2017).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3&vw_cd=MT_ZTITLE&list_id=A41_1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6. 허정이, 이윤정, 이금재, 김희걸. (2013).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노인의 건강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 간호학회지, 27(2), 327-337.
  27. 홍성희. (2016).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89-108.
  28. Arbuckle, J. L. (2011). IBM SPSS Amos 20 user's guide. Amos Development Corporation, SPSS Inc.
  29. Bonnewyn, A., Shah, A., & Demyttenaere, K. (2009). Suicidality and suicide in older peopl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9(4), 271-294. doi.org/10.1017/S0959259809990347
  30. Ferrans, C. E., & Powers, M. J. (1992).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5(1), 29-38. doi.org/10.1002/nur.4770150106
  31. Harrington, J., Perry, I. J., Lutomski, J., Fitzgerald, A. P., Shiely, F., McGee, H., ... & Shelley, E. (2010). Living longer and feeling better: healthy lifestyle, self-rated health, obesity and depression in Ireland.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 91-95. doi.org/10.1093/eurpub/ckp102
  32. K. Knoops, D. Kromhout & A. Perrin. (2004). Mediterranean diet, lifestyle factors, and 10-year mortality in elderly European men and women: The HALE Project. JAMA, 292(12), 1433-9. doi.org/10.1001/jama.292.12.1433
  33. Kim, H. O. & Joung, K. H. (2009). Comparison of health lifestyle among elders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Journal Korean Gerontology Nurse, 11(1), 16-28.
  34. Mandel, D. R. (1999). Lifestyle redesign: Implementing the well elderly program. Bethesda: AOTA
  35. Park, K. H., Won, K. A., & Park, J. H. (2019). A Systematic Study on the Multifaceted Lifestyle Assessment Tools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Trend and Application Prospect.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8(3), 7-29. doi.org/10.22683/TSNR.2019.8.3.007
  36. Waern, M., Rubenowitz, E., & Wilhelmson, K. (2003). Predictors of suicide in the old elderly. Gerontology, 49(5), 328-334. doi.org/10.1159/000071715
  37. Weng, P. H., Chen, J. H., Chiou, J. M., Tu, Y. K., Chen, T. F., Chiu, M. J., ... & Chen, Y. C. (2018). The effect of lifestyle on late-life cognitive change under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PloS One, 13(6). doi.org/10.1371/journal.pone.0197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