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tiens furcillat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Impatiens furcillata Hemsl. (봉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Impatiens furcillata Hemsl. (Balsaminaceae))

  • 지성진;김윤영;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49
    • /
    • 2010
  •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근거로 Impatiens furcillata의 분류학적 실체와 형태적 특성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I. furcillata는 줄기 및 화경에 털이 없고, 화경은 아래로 처지며, 꽃은 홍백색인 특징을 가져 다른 한국산 물봉선속의 분류군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특히, 이와 동일한 형태적 특성을 가지는 I. hypophylla var. koreana (처진물봉선)와 I. kojeensis (거제물봉선)는 I. furcillata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I. furcillata의 국명은 '산물봉선' 대신 '처진물봉선'으로 변경하였다.

Pollinator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Impatiens furcillata (Balsaminaceae) in Korea

  • Seung-Yong SEO;Hang-Hwa HONG;Hyoung-Tak IM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07-213
    • /
    • 2022
  • An effective pollinator was investigated based on visiting insects to confirm the pollination mechanism of Impatiens furcillata Hemsl. (cheo-jin-mul-bong-seon), an annual herb that is also a species endemic to Korea that has hardly been studied in relation to pollination ecology. The insects that visited the group of I. furcillata studied here consisted of four orders, 11 families, and 16 species; Hymenoptera had seven species (43.8%), Lepidoptera had four (25.0%), Diptera four (25.0%), and Hemiptera one (6.2%). Visiting insects were divided into those that took only nectar, those that took nectar and pollen, and those that took neither. Insects that are effective for pollination are judged considering the length and body type of their mouth parts, and Amegilla florea Smith (huin-jul-beol) is judged to be the most effective pollinator in the survey area. As a result of observing pollination behavior, when visiting a flower, A. florea, which extended its glossa, approached the front, landed on a wing petal of I. furcillata, crawled into the flower tube, and then backed up and reversed its steps, with pollen adhered to its back. The findings here present basic information about species biology related to both I. furcillata and A. florea.

국내 자생 물봉선속(Impatiens L.)의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 차이 비교

  • 한세희;이경준;서혜민;박민주;이재경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3-263
    • /
    • 2022
  • 물봉선속(Impatiens L.)은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 5-7종이 분포한다. 물봉선의 화장품용 항산화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으며, 최근 항염, 항산화 등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 및 노랑물봉선을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으나 이하 분류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과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지역 간 분류군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DPPH, ABTS, TPC, TFC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5분류군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 미색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var. pallescens Nakai), 처진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이 12개 지역에서 수집되었으며, 잎 추출물(70% 에탄올)에 대해 분석되었다.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정 결과 가야물봉선(4.91 ± 3.00 mgAAE/g)이 가장 높았고 처진물봉선(1.77 ± 0.55 mgAAE/g)이 가장 낮았으며, ABTS의 경우 가야물봉선(3.14 ± 1.35 mgAAE/g)로 가장 높았고 미색물봉선(1.87 ± 0.16 mgAAE/g)이 가장 낮았다. TPC의 경우 미색물봉선(5.48 ± 1.05 ugGAE)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2.78 ± 1.98 ugGAE)이 가장 낮았으며, TFC의 경우 물봉선(0.70 ± 0.20 ugGAE/g)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0.45 ± 0.08 ugGAE/g)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집지역별로는 각각 DPPH와 ABTS의 경우 노랑물봉선, TPC의 경우 가야물봉선, 노랑물봉선, 물봉선, TFC의 경우 처진물봉선이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 별 항산화활성과 생리활성물질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유용 소재로써의 이용과 우수 개체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Floristic study of Jang-do (Isl.) in Korea

  • Son, Hyun-Deok;Gwon, Soon-Gyo;Jang, Jeong-Won;Sun, Eun-Mi;Kim, Byeol-Ah;Im, Hyoung-Ta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227-244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Jang-do (Isl.), an island of the Heuksan archipelago, located in Heuksan-myeon, Shinan-gun, Jeollanam-do and discussed the remarkable plants found there. Thirteen-field trips (total 27 days) were completed from May of 2004 to May of 2013.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of 423 taxa in Jang-do (Isl.), comprising 104 families, 285 genera, 335 species, 78 varieties and 10 forms. There are a total of 95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are as follows; four taxa of level V such as Impatiens furcillata, four taxa of level IV such as Hosta yingeri, 14 taxa of level III such as Ophioglossum vulgatum, 5 taxa of level II, and 58 taxa of level I. In addition 10 red data plants, 2 vulnerable species (VU) including Calanthe striata for. sieboldii, and 4 least concern species (LC) like Ardisia crenata, 2 not evaluated species (NE) such as Hosta yingeri, were found in the investigated area. An unrecorded species, Fragaria (Rosaceae), was found in a forest of Jang-do (Is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전남 가거도의 식물상 (Flora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 윤경원;황용;소순구;김무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9-155
    • /
    • 2012
  •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열매가 노란색인 참식나무의 새로운 품종이 발견되어 노랑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라고 명명하였다. 가거도의 특산식물은 흑산도비비추, 처진물봉선, 새끼노루귀, 개족도리풀 등 8종이 발견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박달목서와 으름난초 등 3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은 푸른가막살, 가거꼬리고사리, 가거애기닥나무 등 9종이다. 귀화식물은 11종이며 귀화율은 3.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