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sa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익산 지역의 지하수 유동 모델 (Groundwater Flow Model of Igsan Area)

  • 함세영;김연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81-393
    • /
    • 1989
  • 익산지역의 지하수 유동계를 평가하기 위한 수리지질학적 모델링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의 범위는 $790km^2$이다. 본 지역의 지질은 쥬라기의 대보화강암과 편마상화강암 그리고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채수량은 편마상화강암지역에서 가장 높으며 이는 10km내지 25m두께의 비교적 두껍게 발달된 풍화대 때문이다. 본 모델 시뮬레이션에는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유한차분법모델이 사용되었다. 본 모델은 불균일한 격자간격을 가지며, 28행과 31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모델은 정류상태와 부정류상태에서 보정되었다.. 정류상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1985년 9월의 수위등고선과 비교하여 투수율과 우기의 순충전률을 결정하였다. 부정류상태 시뮬레이션은 지하수 채수에 따른 대수층의 반응을 알기 위한 것이다. 부정류상태를 보정에서는 1986년5월의 수위등고선과 맞춤으로서 비산출율의 크기와 분포 그리고 건기의 채수량과 충전량을 결정하였다. 보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1985년 10월부터 1995년 9월까지의 지하수채수 및 자연적인 충전에 의한 지하수위변동을 예측하여 보았다. 보정된 모델은 광역적인 지하수개발계획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부적인 지하수위변동을 예측하는데는 이용될 수 없다.

  • PDF

조선(朝鮮) 산학(算學)의 사원옥감(四元玉鑑) (Siyuan Yujian in the Joseon Mathematics)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3-219
    • /
    • 2017
  • As is well known,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is materialized in Song-Yuan era through tianyuanshu up to siyuanshu for constructing equations and zengcheng kaifangfa for solving them. There are only two authors in the period, Li Ye and Zhu Shijie who left works dealing with them. They were almost forgotten until the late 18th century in China but Zhu's Suanxue Qimeng(1299) had been a main reference for the Joseon mathematics. Commentary by Luo Shilin on Zhu's Siyuan Yujian(1303) was brought into Joseon in the mid-19th century which induced a great attention to Joseon mathematicians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Zhu's tianyuanshu. We discuss the history that Joseon mathematicians succeeded to obtain the mathematical structures of Siyuan Yujian based on the Zhu's tianyuanshu.

호남지역에 분포하는 벼흰빛잎마름병균의 균형 (Pathotype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in Honam District, Korea)

  • 이두구;서재환;최재을;박건호;배성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2-106
    • /
    • 1986
  • 1980년부터 1984년까지 호남지역에서 분리한 719균주를 새로운 판별방법에 의해 균형을 분류한 결과 $K_1$형이 466균주($64.8\%$), $K_2$형이 116균주($16.1\%$), $K_3$형이 130균주($18.1\%$), $K_4$형이 7균주($1.0\%$)였으나, $K_5$형은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K_1,\;K_2$형과 $K_3$형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분포되었으며 $K_4$형은 남서해안지역인 해남, 광양, 강진, 완도, 익산, 부안에서 분리되었다. 이병성 품종인 밀양23호, 낙동벼 등에서는 모든 균형이 분리되었으나 대부분이 $K_1$형이었고, $K_3$형이나 $K_4$형은 저항성 품종인 풍산벼, 백양벼, 삼강벼, 밀양 30호 등에서 분리비율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