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ological Value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해원상생사상의 평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의 (The Value of Peace and the Modern Significance of Haewon Sangsaeng)

  • 배규한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1-3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증산(姜甑山, 1871~1909) 성사(聖師)의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에 관한 평화적 가치를 모색하고,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것이다. 증산은 구한말인 1871년 탄강하여 1909년 화천할 때까지 광구천하의 인류대망을 실현하기 위해 천지인 삼계를 근원적으로 혁신하는 천지공사(天地公事, 1901~1909)를 실행한 역사적 대종교가로 관련 종교계와 학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증산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하나는 낡은 질서의 청산과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예시하는 '후천개벽사상'이고, 다른 하나는 인류 구제와 세계평화의 근본원리인 '해원상생사상'이다. 여기에서 '개벽'은 "적극적 평화에 대한 종교적인 표현"과 다름 아니고, '해원상생'은 "전세계의 평화이며 전인류의 화평" 원리이다. 특히, 해원상생은 대순진리회의 종지로서 대순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사상이며, 증산의 천지공사를 관류하는 요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해원상생은 공존과 상생, 평화를 말하는 담론뿐만 아니라 학술의 장에서도 다양하게 논의되거나 인용되고 있다. 해원상생은 구체적으로 세계갈등, 지역갈등, 문화갈등, 이념갈등, 빈부갈등, 세대갈등, 인종갈등, 종교갈등 등과 같은 세계사적 갈등구조에서부터 현대사회에 노정된 다양한 상극적 구조와 부조화 영역에서 학술적으로 심도있게 논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인간, 신명, 후천선경, 이상사회, 세계평화 등의 주요한 가치에 천착하고 있으며, 실천윤리, 실천철학, 실천원리, 관계의 조화, 윤리적 이상, 새로운 질서원리, 항구적 평화 등으로 조명되고 있다. 특히 해원상생의 윤리·철학·질서·원리로서의 의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사랑·공존·조화·평화 등의 의미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인간·신명·후천선경·이상사회·세계평화 등에서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간의 연구를 토대로 증산의 해원상생사상의 계승과 정립에 관한 사상적 연맥을 살펴보고 그 평화적 가치를 검토해봄으로써, 오늘날 해원상생의 원리와 사상이 세계와 인류에 던지는 그 현대적 의의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교육의 근본 과제에 관한 연구 - 정서, 문화,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undamental Tasks of Ethics Edu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focused on the conceptions of emotion, culture and moral likeness-)

  • 송선영
    • 윤리연구
    • /
    • 제84호
    • /
    • pp.217-242
    • /
    • 2012
  • 2011년도 교과부의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들 가운데 다문화 관련 반영 사항은 다음과 같다. 즉, 다문화 사회와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국가 정체성 확립과 우리 사회의 공통적인 도덕적 가치 기반의 공고화이다. 이는 다양성과 세계화 속에서 우리 국가·사회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이 정체성과 도덕적 가치에 있다는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인식이 다문화 사회에 맞는 윤리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가령, 국가 정체성을 너무 강조할 경우, 이는 오히려 다양성을 배척하면서, 다문화구성원들을 억압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교육은 배타적인 국가 정체성만을 강조하는 국가 이념 교육의 무기로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앞으로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교육의 근본 과제는 2011개정 도덕과 교육의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들인 국가 정체성과 사회의 공통된 도덕 기반 확립과 다문화교육의 성별, 계층, 민족, 인종, 문화 등의 배경과는 상관없는 자존감, 평등과 정의 등의 가치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서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 개념에 주목한다. 우리가 정서들을 갖고 있다는 것은 개별적인 느낌이 아니라 감성을 통한 사회적 의미에서 윤리적 주체임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가 어떤 도덕 가치의 기반을 마련할 것인지의 토대가 된다. 동시에 우리가 이러한 가치를 인식하고 행할 수 있다는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을 갖고 있다. 이 정서들을 갖는 것, 그리고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에서 윤리적이고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한국 다문화 사회의 윤리문화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지속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무엇보다 한국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을 토대로 한국인임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도덕적 정서들을 갖게 되는 윤리적 주체들이 되어야 한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건의료 영역에서의 공공성 탐색 (Exploratory Study of Publicness in Healthcare Sector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 민혜숙;김창엽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2016
  • Background: The publicness concept in healthcare has been built to its social consensus relying on historical context, with the result that the meaning of publicness has a great diversity and heterogeneous nature in Korea. Thus it needs to be address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boundary of the publicness concept in healthcare, so as to discuss its social implication. Method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or how the publicness concept is used in healthcare, we conducted a text network analysis in 779 news articles from 8 Korean daily newspapers over a recent 5-year period. Results: The publicness concept was closely related to medicine and medical institution, and formed a conceptual network with public health, medicine, welfare, patient, government, Jin-ju city, and health. Keywords relating publicness tended to be similar between four major newspapers; however, the association with Jin-ju city, government, and society was noticeable in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and so was patient and service in Dong-A Ilbo. Conclusion: Publicness and medicine was closely associated, and government seemed to remain as a main actor for public interest. Publicness was related with a variety of actors and values, with its expanded boundary. The different contexts of publicness by newspapers might reflect each ideological inclination. The textual importance of publicness was relatively low in part, which suggests that publicness was used in a loose sense or as a routine.

멤피스(Memphis)디자인이 현대 패션에 미친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20세기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normativeness on the Influence of the Memphis on the Comtemporary Fashion Design - Focused o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

  • 임영자;한윤숙
    • 복식
    • /
    • 제51권1호
    • /
    • pp.5-2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 the fashion of communication for 21th century fashion. Especially, Memphis fashion have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ng through o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Memphis idea is to make design into a sophisticated, conscious instrument of communication. As the Memphis fashion points out : design is an extraordinary tool for communicating because its intrinsic characteristic is the fact that it is used and distributed anyway, even without communicating anything. The Memphis fashion is trying to connect design and industry to the broader culture within which fashion moves. Second, Using different materials provides not only new structural Possibilities. but - above all - new semantic and metaphoric possibilities, order modes of communication, another language, and even a change of direction, broadening of perspective, appropriation and digestion of new values and the concomitant rejection of traditional structures that renewal always Involves. The memphis fashion works on the fabric of contemporaneity (lurex yarn, latex, chrome metal and steel) and contemporaneity means computers, electronics, a new awareness of the body. mass exercise and tourism. Third, color in Memphis has never been an ideological vehicle. As with decoration it is born tilth the design, forming an integral part of the structure. It alters the objects molecules. It works as a mass, as an intrinsic feature of a certain form and volume. The Memphis fashion was realized the introduction of ultramodern science into such experimental and creative implementation as optical motive, brilliancy of colour of electronic medium in audition to metallic fabric and high technical synthetic fiber. A color tilth pop culture connotations that weaver between technological allusions and Mcdonald's.

  • PDF

Exploring the Formal Language of Contemporary Meticulous Figure Painting

  • Wan Guo L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12-220
    • /
    • 2023
  • The meticulous figure painting is one of the wonders of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and has blossomed in art history with its unique and interesting style. The period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Song and Yuan dynasties was a glorious period in its history, after which it tended to decline due to changes in painting materials and many socio-historical reasons. The extensive cultural exchanges in the world today, the penetration of Western values and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have brought a huge impact on Chinese meticulous figure painting, which has developed an active way of thinking and expression after absorbing certain elements of Western culture and thought on the basis of inherited tradition. Contemporary Realistic Figure painters continue to explore new developments in meticulous figure painting in the contemporary context, and give contemporary meticulous figure painting a new cultural and ideological connotation, forming a new look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with richer and more lively content, subject matter and formal language. Traditional meticulous figure painting is characterised by a highly refined use of line and coloring composition. Contemporary meticulous figure painting focuses on the use of purely formal language and the expression of the personality of the creative subject, with a new outlook on the world of painting. In the contemporary multicultural context, new formal language and methods of expression are constantly being explored to create a new look.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contemporary meticulous figure painting has merged the best qualities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ulture, making it an art with a subtle language, rich in meaning and with the charm of the times and oriental characteristics. The author in the form of contemporary fine brushwork figure painting language as the research object, explore new form of fine brushwork figure painting, an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multicultural context factors. Innovation, enrich and develop new forms of art language of contemporary social form and aesthetic temperament and interest.

틸리 올슨의 「수수께끼 내 주세요」에 나타난 엄마 노릇 -위하여 살 것인가 vs. 더불어 살 것인가 (Mothering in "Tell Me a Riddle": Living for vs. Living with)

  • 나윤숙
    • 영어영문학
    • /
    • 제56권2호
    • /
    • pp.357-382
    • /
    • 2010
  • Motherhood as an ideological construction has been regarded as an oppressing apparatus enforced by patriarchism. On the one hand, demystifying motherhood helps expose dehumanization of women, and accordingly liberate women from being an ideal mother. On the other hand, however, feminists' attempts to unearth the distorted images of mothers result in devaluation of such values as love and sacrifice attached to motherhood. "Tell Me a Riddle" by Tillie Olsen, who is a declared socialist as well as a feminist, occupies a significant position in a sense that it neither condemns motherhood as evil nor idealizes it. Through the main character, Eva, it examines the meaning of motherhood in a way that a real mother experiences it in a real life, and thus Olsen challenges the readers to ponder upon the mothers' dilemma: a conflict between a desire for self-fulfillment and sacrifice for others. Eva, a mother of seven grown-up children, and now dying, shows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motherhood. She realizes that she is a victim of idealized motherhood in that, toward the end of her life, she feels uncomfortable accepting her personal desires as they are. Yet at the same time, she appreciates her experiences as a mother in that she could consume her passion for the ideals as she has spent her youth working toward, trying to construct an idealistic socialist country. Eva's real ideal, as a human being, is to live "with" others, not just "for" others. In other words, she does not want to allow herself to live only for others in the name of the mother because she does not have any alternatives to do otherwise. Rather, she desires to live a life of voluntary sacrifice and love. In this way, through Eva, Olsen tries to help us to construct a community where we--not just mothers-can live "with" others.

윌리엄 블레이크와 지식의 네트워크 -시와 과학의 소통을 중심으로 (William Blake and the Network of Knowledge: Centering on the Communication of Poetry and Science)

  • 이성범
    • 영어영문학
    • /
    • 제58권4호
    • /
    • pp.723-752
    • /
    • 2012
  • Although his mythic poetry deals with the fall and resurrection of Albion as the origin of humankind, William Blake (1757-1827) simultaneously links it to the professionalization and unification of disciplinary knowledge itself. He particularly takes a great interest in the cross-referential relation of poetry to science. He argues for the communication of poetry and science on equal footing with each other without the former's prioritization over the latter, or vice versa. In his works Vala, or The Four Zoas (1797-1807) and Jerusalem: The Emanation of the Giant Albion (1804-1820), on which I focus in this essay, Blake's primary problematic is to display strong conflicts among different systems of knowledge. I approach this issue in light of the ideological clash of Newtonian thought, Romantic thought, and postmodern thought. In his poetry, Blake thematizes the very clashes of these different thought patterns. From the standpoint of Romantic thought, first of all, Blake problematizes Newtonian Enlightenment. He criticizes abstract universalization both in poetry and science, which Urizen, one of four Zoas, propagates. Protesting against Urizen's Newtonism, Los values "living form." Thus, Blake demonstrates, through this figure, that poetic imagination and scientific organicism are discursively communicative. Blake, however, also questions the network of Romantic science and Romantic poetry so as to suggest what current critics would call postmodern thought. Blakean postmodernism pursues the self-similarity of organic structure in science and poetry. Precisely, Blake sees polypus as a proliferation of organic body; he arranges four Zoas' self-repetitive stories in a non-linear way. Blake aspires for the conflicting coexistence of different thought patterns.

민주주의, 언론 그리고 담론정치 -파업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변화를 중심으로 (Democracy, The Media and Discourse Politics -Case Study about Media's Intervention in Representing Labor Strikes)

  • 최종환;김성해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7권
    • /
    • pp.152-176
    • /
    • 2014
  • 1987년 6월 민주항쟁이후 한국의 민주주의는 많은 굴곡을 겪고 있다. 민주화 직후 국민적 공감대를 받았던 노동자 파업은 외환위기를 계기로 '귀족노조', '집단이기주의', '공익훼손' 과 같은 부정적 인식에 시달리고 있다. 담론 생산자 및 유통자로서 언론은 노동운동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 인식과 정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연 언론은 노동운동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을까? 노동운동에 대한 미디어 담론은 언론사별로, 정권별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했으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중재자로서 언론의 규범적 가치를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분석사례로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 기간 동안 파장이 컸던 의약분업, 화물연대, 쌍용차, 철도노조 파업을 선정했다. 분석대상은 "동아일보", "서울신문", "한겨례" 등 종합지에 등장한 사설 217개였다. 전반적으로 "동아일보"는 분쟁의 원인보다는 기득권과 기존질서를 옹호하는 입장이 강했다. "서울신문"은 원만한 문제해결을 위해 상호간 합의를 강조했으며 폭력적인 정부와 노조의 불법 행위 모두를 비판했다. "한겨례" 신문은 정부 비판에 집중하면서 원론적 수준의 대안을 강조했다. 분석결과 언론은 정부별 국정방향에 영향을 받았으며, 자의적으로 의제를 확대 재생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 연구를 통해 언론을 통한 담론정치의 실체를 드러내고 건전한 민주주의를 위한 언론의 역할을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정권별 이해관계와 언론사의 정파성 등이 담론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 메카니즘을 보여줌으로써 미디어 담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도 이 연구의 의미다.

  • PDF

대순사상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 연구 (A Study on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Daesoon Thought)

  • 박병만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139-172
    • /
    • 2023
  • 이 논문은 대순사상에서 인심·도심 개념과 그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심·도심 개념은 송대에 들어서 정이천·소식·주자 등에 의해 인간 보편의 마음으로 이해되며 수양의 문제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인심·도심에 대한 논의는 주자에 이르러 이론적으로 체계화되며 이후 다양한 논설이 전개되었다. 인심도심론은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가 중요한 논제 가운데 하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양상을 보였다. 인심·도심을 각각 악과 선(정이천과 주자초설), 가치중립과 선(주자와 퇴계·율곡), 예비 악과 예비 선(다산)이 그것이다. 인심·도심은 인간 보편의 문제로 볼 수 있으므로 유학 전통의 이러한 유형들에 대한 검토는 대순사상의 인심·도심에 대한 이해에도 이론적 기반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는 인심·도심을 각각 사와 공이라고 규정할 뿐 개념에 대한 설명은 없다.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가치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추론해 보면, 인심은 의식색(衣食色) 등 인간의 생명 활동과 종족 보존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라고 할 수 있다. 도심은 도덕 실천과 더불어 보국안민·광제창생·인류화평 등과 같은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인심·도심과 가치론적으로 연관된 양심·사심에 대해서는 이를 각각 선과 악으로 규정하고 그 개념과 발생 근원 등을 논술하며 비교적 체계적인 면모를 보였다. 양심·사심에 대한 논설이 인심·도심보다 체계화된 것은 양심·사심의 문제가 교리적으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 Ji, Yoon-Young;Lee, Hye-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