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a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Multimodal neuroimaging in presurgical evaluation of childhood epilepsy

  • Jung, Da-Eun;Lee, Joon-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8호
    • /
    • pp.779-785
    • /
    • 2010
  • In pre-surgical evaluation of pediatric epilepsy, the combined use of multiple imaging modalities for precise localization of the epileptogenic focus is a worthwhile endeavor. Advanced neuroimaging by high fiel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iffusion tensor images, and MR spectroscopy have the potential to identify subtle lesions. $^{18}F$-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single photon emission tomography provide visualization of metabolic alterations of the brain in the ictal and interictal states. These techniques may have localizing value for patients which exhibit normal MRI scans. Functional MRI is helpful for non-invasively identifying areas of eloquent cortex. These advances are improving our ability to noninvasively detect epileptogenic foci which have gone undetected in the past and whose accurate localization is crucial for a favorable outcome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ebrile Hashimoto's encephalopathy mimicking infectious encephalitis

  • Lee, Jung-Ju;Youn, Michelle Sojung;Park, Jong-Moo;Kwon, Ohyun;Lee, Woong-Woo;Kang, Kyusik;Kim, Byung Kun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2권1호
    • /
    • pp.24-28
    • /
    • 2020
  • Hashimoto's encephalopathy (HE) is a heterogeneous encephalopathy with diverse clinical presentations. Here we report on a 69-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confusion, aphasia, fever, and focal ictal discharges.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and a workup for other fever origins revealed no abnormality and a high level of thyroperoxidase antibody was detected, which findings led to a diagnosis of HE. The symptoms subsided after treat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HE in patients presenting with fever and abnormal EEG findings.

템플릿 구축을 통한 의료영상 기능이상부위 추출 가시화 (Visualization of the Abnormal Region on Medial image by Nonlinear Registration based Template Construction)

  • 김민정;최유주;김명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730-732
    • /
    • 2003
  • 의료영상정합을 통해서 이상징후 발현시점과 소멸시점의 기능영상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이상부위를 판별하는 것은 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변화시점간 기능영상 감영법이 정확한 소멸시점에서의 영상 취득이 어려움으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는 점을 개선하고자 뇌 혈류이상을 나타내는 뇌기능영상인 SPECT의 변화시점 기능이상부위 추출을 위하여 정상인집단 영상의 비선형 영상정합기법과 영상평균화를 통해 뇌기능영상 템플릿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영상감영을 수행함으로써 간질환자의 발작중(ictal) SPECT 뿐만 아니라 발작간(interictal) SPECT에서도 뇌혈류의 이상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3차원 추출가시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뇌피질 이형성증: Tc-99m ECD SPECT 소견과 병리적 등급에 따른 MRI와 비교 연구 (Cortical Dysplasia: Tc-99m ECD SPECT Findings and Comparative Study with MRI according to Pathologic Grading)

  • 박순아;임석태;손명희;정경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2
    • /
    • 2001
  • 목적: CD의 발작간기 SPECT소견과 병리적 등급에 따른 MRI와 SPECT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SPECT의 CD에 대한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후 병리소견에서 CD로 진단된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발작간기 및 발작기 Tc-99m ECD SPECT를 시행하였으며 T1과 T2-강조의 MRI를 얻었고 2명의 환자에서 3차원 MRI를 얻었다. 병리적 등급은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1등급에서 3등급으로 나누었다. SPECT와 MRI에서 혈류양상과 뇌피질의 모양, 병변의 위치, 병리적 등급에 따른 서로간의 일치성을 분석하였고 각각의 검사에서 일치하지 않는 병변은 보이는 검사를 토대로 다시 재분석을 하였다. 결과: SPECT와 MRI에서 각각 38개와 27개의 병변이 관찰되었다. 발작간기 SPECT의 35개 병변은 다양한 소견을 보였는데 26개(74.3%)에서 혈류감소를 보였고 그 외 7개(20.0%)에서 혈류증가와 2개(5.7%)에서 이소성 회백질을 보였다. 정상혈류를 좌여 SPECT에서 위음성을 보인 1개의 병변은 MRI를 통해 분열뇌증임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SPECT에서는 뇌혈류 이상소견을 보였으나 MRI에서는 정상고견을 보였던 병변은 12개로 이중 4개는 SPECT결과를 토대로 MRI를 재검토한 결과 CD를 발견할 수 있었고 나머지 8개는 구조적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26개의 병변은 SPECT와 MRI 모두에서 일치하였다. 병리적 등급에 따른 비교에서 두 가지 신경영상검사에서 일치한 병변은 등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고(G1, 75%; G2, 65% ; G3, 50%), SPECT에서만 이상소견을 보인 병변은 등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G1, 20%; G2, 40%; G3, 50%). MRI에서만 이상소견을 보인 병변은 1등급에서만(5%) 관찰되었다. 결론: CD는 발작간기 SPECT에서 혈류감소, 혈류증가, 이소성 회백질, 위음성 등의 다양한 혈류소견을 보이지만 대부분 혈류감소로 나타나며 MRI와 병행시 간과되었던 병변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병리적 등급이 높을수록 SPECT에서 MRI보다 진단적 유용성을 가졌다.

  • PDF

발작기 뇌혈류 스캔에서의 간질 확산에 관한 연구 : 간질 병소 국소화의 오류 (Seizure Propagation on Ictal Brain SPECT : A Pitfall in the Localization of the Seizure Focus)

  • 김만득;이종두;유영훈;김도중;김재근;문성욱;윤평호;이창훈;이병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63-468
    • /
    • 1996
  • 본 연구는 간질 병소의 국소화에 있어 발작기 및 발작간 뇌스캔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발작기 뇌 스캔에서 나타나는 간질 확산이 정확한 간질 병소를 국소화 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15명의 복잡 부분 발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질 병소의 최종적인 국소화는 두피 및 발작 뇌파, 피질 뇌파, 자기 공명 영상, 임상양상 및 병리 소견을 종합한 근거로 하였다. 발작기 뇌스캔은 뇌파상 발작 중 또는 환자가 aura를 호소할 때 Tc-99m HMPAO 20mCi(740 MBq)를 정맥주입후 시행하였으며 발작간 뇌스캔은 발작기 뇌스캔 후 3일 이내 임상적으로 발작 증상이 없는 기간에 시행하였다. 간질 병소는 우측 측두엽이 8예, 좌측 측두엽이 6예, 측두엽 이외의 기원이 1예 였다. 발작기 뇌스캔상, 모두 11예(73.3 %)에서 단발성 또는 다발성 섭취 증가가 간질 병소 및 간질확산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간질 병소에만 국한된 섭취 증가는 4예(26.7%)에 불과 하였다. 발작간 뇌스캔에는 모두 11예(73.3 %)에서 간질 병소에만 섭취가 감소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8예(53.3 %)에서 hippocampal sclerosis를 포함한 간질 병소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복잡 부분 발작 환자에서, 간질 확산이 발작기 뇌 스캔 중 자주 관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간질 확산에 따른 다발성 방사능 섭취가 발작기 뇌스캔상, 간질 병소의 국소화에있어 한계가 있음을 결론 내릴 수 있었다.

  • PDF

Advanced neuroimaging techniques for evaluating pediatric epilepsy

  • Lee, Yun J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3호
    • /
    • pp.88-95
    • /
    • 2020
  •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seizure onset zone is important for better seizure outcomes and preventing deficits following epilepsy surgery. Recent advances in neuroimaging techniques have increased ou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etiology and improved our ability to noninvasively identify the seizure onset zone. Using epilepsy-specif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protocols, structural MRI allows better detection of the seizure onset zone, particularly when it is interpreted by experienced neuroradiologists. Ultra-high-field imaging and postprocessing analysis with automat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can detect subtle structural abnormalities in MRI-negative patients. Tractography derived from diffusion tensor imaging can delineate white matter connections associated with epilepsy or eloquent function, thus, preventing deficits after epilepsy surgery. Arterial spin-labeling perfusion MRI, simultaneous electroencephalography (EEG)-functional MRI (fMRI), and magnetoencephalography (MEG) are noinvasive imaging modalities that can be used to localize the epileptogenic foci and assist in planning epilepsy surgery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ctal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and intracranial EEG monitoring. MEG and fMRI can localize and lateralize the area of the cortex that is essential for language, motor, and memory function and identify its relationship with planned surgical resection sites to reduce the risk of neurological impairments. These advanced structural and functional imaging modalities can be combined with postprocessing methods to better understand the epileptic network and obtain valuable clinical information for predicting long-term outcomes in pediatric epilepsy.

간질 치료에서 뇌파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논란: 긍정적 관점에서 (Controversies in Usefulness of EEG for Clinical Decision in Epilepsy: Pros.)

  • 손영민;김영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9권2호
    • /
    • pp.63-68
    • /
    • 2007
  • The EEG plays an important diagnostic role in epilepsy and provides supporting evidence of a seizure disorder as well as assisting with classification of seizures and epilepsy syndromes. There are a variety of electroclinical syndromes that are really defined by the EEG such as Lennox-Gastaut syndrome, benign rolandic epilepsy, childhood absence epilepsy, juvenile myoclonic epilepsy and also for localization purposes, it is vitally important especially for temporal lobe epilepsy. The sensitivity of first routine EEG in diagnosis of epilepsy has been known about 20-50%, but this proportion rises to 80-90% if sleep EEG and repetitive recording should be added. Convincing evidences suggest that the EEG may also provide useful prognostic information regarding seizure recurrence after a single unprovoked attack and following antiepileptic drug (AED) withdrawal. Moreover, patterns in the EEG make it possible to disclose an ictal feature of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separate epileptic from other non-epileptic episodes and clarify the clues predictive of the cause of the encephalopathy (i.e., triphasic waves in metabolic encephalopathy). Therefore, regardless of its low sensitivity and other pitfalls, EEG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in the situation of new onset episode such as a newly developed, unprovoked seizure or a condition manifesting decreased mentality from obscure origin, but also as a barometer of the long-term outcome following AED withdrawal.

  • PDF

Probable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after Drainage of a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 Lee, Chang-Sub;Huh, Ji-Soon;Sim, Ki-Bum;Choi, Jay-Cho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1권6호
    • /
    • pp.414-417
    • /
    • 2007
  • A 52-year-old woman with hypertension and moyamoya disease presented with chronic subdural hematoma [CSDH]. The presumed cause of bleeding was ascribed to administrated antiplatelet agents. She responded slowy and clumsily to verbal commands and had right arm weakness. After surgery, her clinical condition improved. But two days after surgery, her symptoms became aggravated and a convulsive seizure was noted within 24 hour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no organic lesion except a small amount of residual CSDH. In addition, there was no laboratory evidence of metabolic brain disease. Moreover,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n antiepileptic drug [phenytoin], her manifestations disappeared. Therefore, the authors presume that her symptoms were resulted from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NCSE], despite a lack of ictal period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The authors were unable to find a single case report on postoperative NCSE in Korea. Therefore, the authors report this case of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after drainage of a CSDH in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VRML을 이용하는 3 차원 융합 영상의 가시화와 위치 측정 구현 : 간질 환자의 적용 예

  • 이상호;유선국;정해조;강원석;성민모;이재훈;김새롬;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
    • /
    • pp.50-50
    • /
    • 2003
  • World Wide Web (WWW)에서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를 이용하는 3 차원 (3D)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제공해 준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해부학적 영상과 융합되는 기능적 영상의 3D 가시화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2D 영상들과 함께 웹에서 VRML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3D 해부학적 표면 영상들과 기능적 표면 영상들을 동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하고 VRML을 통해 만들어진 거리 측정 도구를 가지고 관심영역의 공간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간질 환자로부터 Magnetic Resonance (MR) 축면 영상과 발작기 및 발작간기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 graphy (SPECT) 축면 영상들을 각각 획득하였다. 발작 진원지의 확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subtraction ictal SPECT co registered to MRI (SISCOM) 을 수행하였다. SISCOM 결과로 나타난 각 2D 영상들은 모든 voxel 들의 평균 값 위로 1 표준편차와 2 표준편차에 해당하는 문턱 이상의 영상 값을 갖도록 하였다. SISCOM으로 나타나는 간질 발작 진원지들과 MRI 영상에서 회색질, 백색질 및 뇌척수액의 경계들을 각각 분할하고 marching cube 알고리즘에 의해 VRML 표면 영상들로 나타내었다. 축면 영상에서 실제 거리를 나타내는 x, y 축의 길이를 측정하고 z 축선의 길이를 계산하였다. VRML을 이용한 거리 측정 도구를 만들어 이전의 VRML 표면 영상들과 융합하였다. MRI 영상을 이용하여 3D 표면 영상들의 단면을 나타내고 3D 표면 영상들의 투명도를 설정하기 위해 Java Script 루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로서 삽입하였다. 웹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3D 표면 영상들의 투명도와 관찰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모델들 사이의 공간적인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다. 간질 발작 진원지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3D 표면 영상들을 가로지르는 MRI 평면 영상들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웹에 근거한 3D 융합 영상의 가시화와 위치 측정은 진단 및 치료 방사선학과 외과학 등의 분야에서 온라인 방식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Altered PLCβ-1 expression in the gerbil hippocampal complex following spontaneous seizure

  • Lee, Saet-Byeol;Oh, Yun-Jung;Chung, Jae-Kwang;Jeong, Ji-Heon;Lee, Sang-Duk;Park, Dae-Kyoon;Park, Kyung-Ho;Ko, Jeong-Sik;Kim, Duk-Soo
    • BMB Reports
    • /
    • 제44권9호
    • /
    • pp.566-571
    • /
    • 2011
  • Although the phospholipase C (PLC)${\beta}$-1 isoform i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eizure and distinctively expressed in the telencephalon, the distribution of PLC${\beta}$-1 expression in the epileptic gerbil hippocampus remains controversial. Therefore, we determined whether PLC${\beta}$-1 i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eizure in an animal model of genetic epilepsy. In the present study, PLC${\beta}$-1 immunoreactivity was down-regulated in seizure-sensitive (SS) gerbils more than in seizure-resistant (SR) gerbils. The expression of PLC${\beta}$-1 within calretinin (CR)-positive neurons was rarely detected within the dentate hilar region of SS gerbils. PLC${\beta}$-1 immunoreactivity in the hippocampus was significantly elevated as compared to that in pre-seizure SS gerbil 3 h post-ict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erations in PLC${\beta}$-1 immunoreactivity in the SS gerbil hippocampus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epileptic state of the gerbil brain and transiently elevated PLC${\beta}$-1 protein levels following seizure episodes. Such alterations may be compensatory responses in the SS gerbil hippocam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