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tical Dysplasia: Tc-99m ECD SPECT Findings and Comparative Study with MRI according to Pathologic Grading

뇌피질 이형성증: Tc-99m ECD SPECT 소견과 병리적 등급에 따른 MRI와 비교 연구

  • Park, Soon-Ah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im, Seok-T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ohn, Myung-He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ung, Gyung-H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박순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임석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손명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정경호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Purpose: Cortical dysplasia (CD) designates a diverse group of malformations resulting from one or more abnormalit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erebral cortex. W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interictal SPECT and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interical and ictal SFECT according to pathological grading (PG) in comparison with MRI.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 patients (M:F=9:7, age: $19.9{\pm}11.8$ yrs) with pathologically proven CD. Tc-99m ECD SPECT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interictal 11, interictal and ictal 3, ictal 2. MRI were obtained in all patients and image analysis was done blindly as to the result of SPECT. Pathologic findings of CD were classified into grade 1 G1, dyslamination), grade 2 (G2, dysplastic neurons) and grade 3 (G3, balloon cells). We compared SFECT with MRI in lesions-to-lesions and analyzed the result according to PG. Results: In SFECT and MRI. 38 and 27 lesions were visually recognized. In 14 interictal SPECT, variable findings in 35 lesions were demonstrated: 25 were hypoperfusion, 7 hyperperfusion, 2 heterotopic perfusion in the white matter. By comparison between two studios, missed lesions were founded: SPECT were 1 lesion, MRI 12. Review of missed 12 lesions of MRI were followed according to PG: G1 patients were 16.7% (4/19), G2 40.0% (6/15), and G3 50% (2/4). Conclusion: Interictal SFECT in CD showed variable findings such as hypoperfusion, hyperperfusion or heterotopic perfusion. However, for detection of missed CD on MRI, SFECT may help to detect a functional abnormality of the lesion with high PG.

목적: CD의 발작간기 SPECT소견과 병리적 등급에 따른 MRI와 SPECT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SPECT의 CD에 대한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후 병리소견에서 CD로 진단된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발작간기 및 발작기 Tc-99m ECD SPECT를 시행하였으며 T1과 T2-강조의 MRI를 얻었고 2명의 환자에서 3차원 MRI를 얻었다. 병리적 등급은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1등급에서 3등급으로 나누었다. SPECT와 MRI에서 혈류양상과 뇌피질의 모양, 병변의 위치, 병리적 등급에 따른 서로간의 일치성을 분석하였고 각각의 검사에서 일치하지 않는 병변은 보이는 검사를 토대로 다시 재분석을 하였다. 결과: SPECT와 MRI에서 각각 38개와 27개의 병변이 관찰되었다. 발작간기 SPECT의 35개 병변은 다양한 소견을 보였는데 26개(74.3%)에서 혈류감소를 보였고 그 외 7개(20.0%)에서 혈류증가와 2개(5.7%)에서 이소성 회백질을 보였다. 정상혈류를 좌여 SPECT에서 위음성을 보인 1개의 병변은 MRI를 통해 분열뇌증임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SPECT에서는 뇌혈류 이상소견을 보였으나 MRI에서는 정상고견을 보였던 병변은 12개로 이중 4개는 SPECT결과를 토대로 MRI를 재검토한 결과 CD를 발견할 수 있었고 나머지 8개는 구조적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26개의 병변은 SPECT와 MRI 모두에서 일치하였다. 병리적 등급에 따른 비교에서 두 가지 신경영상검사에서 일치한 병변은 등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고(G1, 75%; G2, 65% ; G3, 50%), SPECT에서만 이상소견을 보인 병변은 등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G1, 20%; G2, 40%; G3, 50%). MRI에서만 이상소견을 보인 병변은 1등급에서만(5%) 관찰되었다. 결론: CD는 발작간기 SPECT에서 혈류감소, 혈류증가, 이소성 회백질, 위음성 등의 다양한 혈류소견을 보이지만 대부분 혈류감소로 나타나며 MRI와 병행시 간과되었던 병변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병리적 등급이 높을수록 SPECT에서 MRI보다 진단적 유용성을 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