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HAS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6초

단상 정류회로의 입력 파형 개선 방법 (A Method to improve the input current waveform in a single phase Rectifier)

  • 유철로;한우용;이수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005-1008
    • /
    • 1992
  • This paper deals with a method to Improve the input current waveform in a single phase Rectifier. This method is based on the sophisiticated utilization of the auxiliary circuit consisting of two SCRs and a interphase reacter and the condenser necessary for reducing the fluctuating voltage in output side. The basic theories of the proposed system is treated, and its validity is verified with simulation.

  • PDF

12펄스 병렬 연결 듀얼 컨버터 시스템의 예측전류제어 (Predictive Current Control of 12-Pulse Parallel Connected Dual Converter System)

  • 이창원;송인호;최창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199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5-408
    • /
    • 1998
  • In this paper, a predictive current control of 12-pulse parallel connected dual converter system with interphase transfromer(IPT) is presented. Firstly, 12-pulse parallel connected dual converter system and the predictive current control of this system is discussed. And the validity of the presented system and the excellence of the predictive current control response is proved through the simyulation and experiment result.

  • PDF

리튬 이차 전지용 실리콘 나노입자 음극의 고온 열안정성에 대한 Lithium bis(oxalato)borate첨가제의 효과 (Effect of Lithium Bis(Oxalato)Borate Additive on Thermal Stability of Si Nanoparticle-based Anode)

  • 김민정;최남순;김성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5
    • /
    • 2014
  • 리튬2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 연구되고 있는 실리콘은 흑연에 비하여 높은 이론용량 (4200mAh/g for $Li_{4.4}Si$)을 가지기 때문에 고용량 음극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실리콘 음극은 반복적인 충방전에 의해 활물질 입자의 심각한 부피변화와 균열에 의한 새로운 표면이 전해액에 계속적으로 노출되는 문제로 인하여 두껍고 불안정한 피막생성을 유도한다. 불안정한 구조의 피막은 실리콘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뿐만 아니라 고온 열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의 열안정성 향상을 위해 전해액 첨가제를 도입하여 피막구조를 변경하고자 한다. 전해액 첨가제인 lithium bis(oxalato)borate (LiBOB)가 실리콘 음극표면에 피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였으며, 만충전 상태의 실리콘 음극의 $60^{\circ}C$ 저장시 용량유지 특성을 개선하였으며 고온에서의 열안정성 크게 향상시켰다.

154kV 송전선로 갤로핑 현상 분석 및 대책 사례 (An Actual Case of Installing Interphase spacers to Prevent 154kV Transmission Line Galloping)

  • 송호승;이정한;윤형희;전광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83-86
    • /
    • 2005
  • 최근 가공 송전선로 건설에 대한 인근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쳐, 불가피하게 가옥이 밀집된 주거지역을 우회하거나 토지 활용도가 낮은 산악지를 이용하여 선로를 건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경과지의 제한성으로 인해 때때로 국지적인 기상현상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에 불가피하게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상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11월말에서 3월초 사이에 경기북부 지역의 국지성 돌풍에 의해 갤로핑(Galloping)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다 갤로핑은 바람으로 인해 전력선이 횡진과 출렁임이 발생되는 현상을 말한다. 송전선로의 지지물에는 주로 철탑이 사용되고, 전력선은 ACSR 410mm 복도체가 주로 사용된다. 송전선로는 경제성과 계통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수직배열로 2회선용 표준철탑을 사용한다. 갤로핑 현상은 바람에 의해 전력설에 심한 진동을 일으켜, 수직 배열된 전력선 상간 단락 또는 전력선과 가공지선간의 지락으로 고장전류가 생기고, 고장전류에 의한 보호계전기 동작으로 선로가 트립(Trip)되며, 이로 인한 전력공급 중단이 발생된다. 또한 전력선의 기계적인 진동에 의하여 전력선의 단선 또는 지지물의 파손으로 영구고장을 일으킬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기북부지역의 산악지에 설치된 154kV 송전선로에서 산비탈면을 타고 오르는 상승 바람에 의한 갤로핑 사례를 국내 최초로 현장에서 촬영한 동영상 자료를 토대로 소개하고, 갤로핑 발생시 송전선로에 미친 영향 등 검토 결과를 설명하였다. 전력선에 생긴 아크 흔적을 토대로 전력선간의 단락이 발생했던 지점을 실제로 관측할 수 있었다. 최근 갤로핑으로 인한 상간 단락 고상 방지론 목적으로 개발된 폴리머 상간스페이서(Interphase spacer)의 시공 사례를 소개하고, 현재까지 상간스페이서가 설치된 송전선로의 점검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와 미시역학 모델을 이용한 질화붕소 나노튜브/고분자 복합재의 역학적 물성 및 계면특성 예측 (Molecular Dynamics and Micromechanics Study on Mechanical Behavior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BNNT/Polymer Nanocomposites)

  • 최서연;양승화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47-2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와 이중 입자 모델을 이용하여 질화붕소 나노튜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노복합재의 기계적 물성과 계면특성을 규명하였다. 단일 벽 나노튜브가 고분자 기지에 함침된 가로등방성 나노복합재 단위 셀 구조를 모델링한 후, 각 방향으로의 일축인장 및 전단 전산모사를 통해 나노복합재의 강성행렬을 예측하였다. 또한 강성행렬의 방향 평균을 취해 나노튜브가 기지 내에 랜덤 분포하는 경우의 등방성 탄성계수를 도출하였다. 분자동역학 해석 결과를 계면의 완전 결합을 가정한 이중 입자 모델 예측해와 비교한 결과, 질화붕소 나노튜브와 고분자 기지간의 계면이 불완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노튜브 주위에 형성되는 흡착계면의 물성을 예측하기 위해 2단계 영역 분할 기법을 도입하였고 계면의 불완전 결합을 선형 스프링으로 묘사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스프링 컴플라이언스 값에 따른 흡착계면의 물성을 역 해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티오시안산 염에 의한 염화벤질의 치환반응에 미치는 상이동 촉매효과 (Phase Transfer Catalytic Effects for Thiocyanate Displacement on Benzyl Chloride)

  • 장승현;윤무홍;김창수;정광보;심재후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1-656
    • /
    • 1989
  • 액-액 불균일계에서 염화벤질의 KSCN에 의한 친핵치환반응에 미치는 상이동 촉매 효능을 검토하였다. 반응은 염화벤질의 농도에 의존하는 유사일차 반응이었고, 반응속도 상수$(k_{obsd})$는 촉매농도에 비례하였으며, 반응온도 및 용매 등에 영향을 받았다. 본 치환반응에 대한 상이동 촉매능의 순위는 $NH_4Cl$ < BTMAC < 18-crown-6 < BTEAC < PEG < TBAC < CTMAB 이었다. 반응의 활성화 엔탈피 및 엔트로피는 각각 15∼20 Kcal${\cdot}mo^{l-1}$, -12∼-29 eu.이었으며, 반응은 미세한 유탁액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상인 interphase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탄소 부극에서 초기 충전온도별 부동태 피막 형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Formation of Passivation Film on KMFC Anode with Initial Charge Temperature)

  • 박동원;김우성;최용국
    • 공업화학
    • /
    • 제16권4호
    • /
    • pp.507-512
    • /
    • 2005
  •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부극으로 사용되는 탄소전극은 초기 충전시 전극 표면에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라고 불리는 부동태 피막을 형성한다. 초기 충전과정에서의 용매분해로 형성된 막은 충방전 용량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Kawasaki Mesophase Fine Carbon 부극과 1 M $LiPF_6,EC:DEC$ (1:1, 부피비)에 $Li_2CO_3$를 첨가하여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초기충전 온도에 따라 형성되는 부동태 피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시간대 전압법, 순환 전압-전류법,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관찰된 결과에 따르면, 용매분해 반응이 일어날 때 리튬 이온의 전도도에 따라 용매분해 전위가 달라졌으며, 저온으로 갈수록 $Li^+$ 이온의 전도성이 떨어져 분해 전위 차이가 나타남을 알았다. 또한 여러 온도조건에서 초기 충전시 형성된 피막의 저항은 온도별로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RELAP5/MOD1/NSC를 이용한 원자력 1호기 주급수 상실 사고 해석 (Analysis of Loss of Normal Feedwater Transient Using RBLAP5/MOD1/NSC; KNU1 Plant Simulation)

  • Hho Jung Kim;Bub Dong Chung;Young Jin Lee;Jin Soo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9-16
    • /
    • 1986
  • 1984년 11월 14일 원자력 1호기에서 발생된 주급수 상실사고에 대한 계통의 열수력학적인 거동을 모의·해석하고, 발전소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사용된 전산코드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모의된 열수력학적 변수들은 발전소 실측자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나 원자로 트립시에 증기발생기 증기유량과 주 냉각재 계통 평균온도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원자로 트립시 깎은 시간에 급격한 노심 출력의 감소로 인하여 열·수력학적 변수들에 큰 변화를 야기하여 발전소 실측자료가 과도상태에서의 불학실성을 내포하기 때문으로 예측되었다. 해석에 사용된 전산코드는 RELAP5/MOD1/CY018로부터 불합리한 oscillation을 일으키는 interphase drag 및 wall heat transfer model의 수정을 통하여 개발된 RELAP5/MOD1/NSC이다.

  • PDF

성장중인 포유동물 여포난자 세포질의 난할억제효과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leavage Inhibidng Activity in the Cytoplasm of Growing Follicular Oocytes in Mammals)

  • 이원교;권혁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2
    • /
    • 1990
  • 성장중인 포유동물의 난자에 존재하는 성숙억제요인이 배아의 난하레 미치는 효과를 세포융합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생쥐에서 성장중인 난자와 간기에 있는 2세포기 할구와 1 : 1로 융합하여 배양했을 때 60% 이상의 융합체들이 두개의 핵을 간직하고 있었으며 4세포기의 할구와 융합했을 때에는 90% 이상이 두개으 핵을 간직하고 있었다. 같은 조건으로 배양한 융합되지 않은 할구들이나 단독으로 배양한 할구들은 한 주기의 난할을 일으키었다. 이에대해 이미 유사분열기로 들어간 후기 2세포기 할구와 성장중인 난자와 융합을 했을 때에는 오히려 난자의 핵붕괴와 함께 염색체의 응축이 일어났다. 쥐의 성장중인 난자와 간기에 있는 생쥐 2세포기 할구와 1 : 1로 융합했을 때에도 역시 거의 모든 융합체들이 핵을 간직하고 있어서 분열이 정지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쥐나 쥐의 성장중인 난자에는 배아의 난할을 억제하는 성질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미 분열기로 들어간 배아의 세포질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Thermal Behavior of LixCoO2 Cathode and Disrupti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Film

  • Doh, Chil-Hoon;Kim, Dong-Hun;Lee, Jung-Hun;Lee, Duck-Jun;Jin, Bong-Soo;Kim, Hyun-Soo;Moon, Seong-In;Hwang, Young-Gi;Veluchamy, Angatheva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4호
    • /
    • pp.783-786
    • /
    • 2009
  •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ion chromatography(IC)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thermal behavior of $Li_xCoO_2$ cathode material of lithium ion battery. The mass loss peaks appearing between 60 and 125 ${^{\circ}C}$ in TGA and the exothermic peaks with 4.9 and 7.0 J/g in DSC around 75 and 85 ${^{\circ}C}$ for the $Li_xCoO_2$ cathodes of 4.20 and 4.35 V cells are explained based on disruption of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film. Low temperature induced HF formation through weak interaction between organic electrolyte and LiF is supposed to cause carbonate film disruption reaction, $Li_2CO_3\;+\;2HF{\rightarrow}\;2LiF\;+\;CO_2\;+\;H_2O$. The different spectral DSC/TGA pattern for the cathode of 4.5 V cell has also been explained. Presence of ionic carbonate in the cathode has been identified by ion chromatography and LiF reported by early researchers has been used for explaining the film SEI disruption process. The absence of mass loss peak for the cathode washed with dimethyl carbonate (DMC) implies ionic nature of the film. The thermal behavior above 150 ${^{\circ}C}$ has also been analyzed and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