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seong #2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Some Laborers)

  • 홍민희;김윤신;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45-2550
    • /
    • 2009
  • 본 연구는 화성에 소재한 K자동차 근로자 220명과 부평에 소재한 D자동차 근로자 180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인식에 대한 조사.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다. 잇솔질 횟수 조사 결과 하루에 잇솔질을 3회 하는 근로자는 44.0%로 가장 많았으며, 흡연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19.00, p<.01). 근로자들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유무 조사 결과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근로자가 41.3%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9.20, pp<.01). 근로자들이 치석제거를 한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치석 제거를 두 번 이상 한 근로자가 37.3%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x^2$=8.60, p<.05), 연령($x^2$=20.07, p<.01), 학력($x^2$=11.88, p<.01), 전신질환 유무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8.19, p<.05). 근로자들의 구강 내 질환 조사 결과 치아가 썩은 근로자는 27.8%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치아가 썩었거나 잇몸이 부었다고 조사되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13.65, p<.05).

현미와 백미의 품종별 무기질 함량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 김미숙;양혜란;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43-446
    • /
    • 2004
  • 본 연구는 표준 경작법으로 재배한 육성 품종 5종(광안, 대안, 대진, 수라, 화성 )의 현미와 백미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비교하고, 한국인 식생활에 있어서의 쌀로부터 섭취하는 무기질의 양과 권장량에 대한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회분함량은 현미에서는 대진ㆍ수라(1.45%)>대안(1.30%)>광안 (1.29%)>화성 (1.28%)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광안(0.62%) >대진(0.60)>화성 (0.59%)>수라(0.53%))대안(0.51%) 순이었다. 현미의 무기질 함량은 인이 270.8∼327.2 mg/100 g, 칼륨이 216.∼249.0 mg/100 g, 마그네슘이 102.0∼111.0 mg/100 g, 그리고 칼슘이 11.8∼13.2 mg/100 g이었다. 반면에 백미의 무기질 함량은 인이 125.3∼153.2 mg/100 g, 칼륨이 96.5∼118.6 mg/100 g, 마그네슘이 34.7∼40.0 mg/100 g, 칼슘이 6.0∼9.4 mg/100 g이었다. 국민영양조사 결과와 비교해서 주식인 쌀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무기질의 비율은 현미에서 인이 평균적으로 90.7%로 가장 많았고, 칼슘이 3.9%, 철이 남성의 경우23.7%,여성의 경우 17.8%, 아연이 남성의 경우 42.6%, 여성의 경우 51.2% 이었다. 또한 백미에서는 인은 42.3%, 칼슘은 2.6%, 철은 남성의 경우 14.4%, 여성의 경우 10.8%, 아연은 남성의 경우30.4%, 여성의 경우 36.5%이었다.

초등학생의 구강증상 경험 및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Study on Oral Symptom Experiences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Primary School Children)

  • 김수경;임순환;원영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1-385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구강증상 경험 및 구강건강행위와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하여,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화성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1, 4학년 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동의 영구치우식유병자율은 57.2%이었으며, 성별로는 남학생 61.1%, 여학생 53.3%가 우식치아를 보유하고 있었고, 학년별로는 1학년 56.0%, 4학년 58.1%가 우식치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구강증상경험 중 '잇몸에서 피가 난다'고 응답한 남학생은 15.7%이었고, 여학생은 28.0%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학년별에 따른 구강증상 경험 중 '차가운 음식을 먹을 때 이가 시리다'고 응답한 4학년생이 19.4%, 1학년생은 8.8%로 학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학년별에 따른 구강건강행위 중 1일 잇솔질 횟수(p<0.05), 1일 간식섭취 횟수(p<0.05), 치과내원 경험(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구강건강행위 중 잇솔질 횟수는 2회가 50.2%로 가장 많았으며, 1일 간식섭취 횟수는 2회(70.2%), 불소함유 치약사용은 사용한다(60.9%), 치과내원 경험은 있다(60.0%)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ubificidae spp. by Flooding during Winter in Paddy Fields)

  • 한민수;김명현;강기경;나영은;김미란;최락중;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9-26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ncreasing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ecosystem and investigate availability of using Tubificidae spp.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rough the survey of growth of Tubificidae spp. in flooded paddy fields during winter. We estimated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in rice paddy where had been flooded during the previous winter in Ganghwa-gun, Suwon-si, and Hwaseong-si (Bongdam-eup and Paltan-myeon) between March and April from 2010 to 2012. During growing period of rice,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was compared between flooded and non-flooded paddy field in Ganghwa-gun. As results,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in winter flooded paddy field was 7,235.5 $ind./m^2$ in Ganghwa-gun, 14,347.5 $ind./m^2$ in Suwon-si, 59,989.9 $ind./m^2$ in Bongdam-eup, and 2,610.6 $ind./m^2$ in Paltan-myeon.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was the highest in flooded paddy fields of Bongdam-eup that was kept wet until rice harvest time and had shallow water. While mean density was the lowest in Paltan-myeon where had deep water and later flooded paddy field than others. In Ganghwa-gun, during growing period of rice, mean density of Tubificidae spp. in flooded paddy fields (171,109.0 $ind./m^2$) and flooded fallow paddy fields (321,084.2 $ind./m^2$) was much higher than non-flooded paddy fields (1,006.6 $ind./m^2$). Flooded paddy field during winter can help increase the number of Tubificidae spp. which can control weeds and enhance biodiversity in paddy fields 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Early flooding and shallow water of paddy fields could be a good agriculture practice to encourage the growth of Tubificidae spp..

온실난방을 위한 태양열 지중 계간축열시스템의 최적 운전 방안 (Optimal Operation Methods of the Seasonal Solar Borehole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for Heating of a Greenhouse)

  • 김원욱;김용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8-34
    • /
    • 2019
  • 태양열은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재생에너지 중의 하나이지만, 일반적으로 태양열이 풍부한 계절과 열부하가 큰 계절이 서로 달라 사용에 제한이 있다. 유럽과 캐나다에서는 하절기의 풍부한 태양열을 저장하고 그 열을 동절기 난방부하에 활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태양열 계간축열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최근 물탱크방식 및 지중축열방식의 태양열 계간축열시스템이 국내에 소개되어 실증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간 2,164 GJ의 난방부하를 가진 경기도 화성시의 유리온실 1개동에 $2,000m^2$의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20,000m^2$의 지중 계간축열조를 사용하고 단기축열조를 사용하지 않는 보어홀 방식의 태양열 지중 계간축열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운전제어조건에 따른 태양열 이용률을 평가하였다. 시간에 따른 태양열 지중 계간축열시스템의 동적성능예측을 위하여 TRNSY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태양열 지중 계간축열시스템은 태양열 집열과 지중 계간축열조 방열에 각각 차온 제어 하였을 때, 5년간 평균 약 60%의 태양열 이용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태양열 지중 계간축열시스템의 구성과 제어방법을 단순화하고 성능을 확보하였다.

봄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 수량 차이가 건초 제조 시 건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Different Yields of Drying Rate of Italian Ryegrass Hay Making during Spring Season)

  • 김지혜;박형수;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6-220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되고 있는 건초 생산연구를 기반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확량 차이에 따라 건초 생산 소요시간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윈어리"를 공시초종으로 출수 후기에 맞추어 화성의 농가 시험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수확 시 농가 경작 논의 수량을 조사하여 차이가 있는 처리구 Y1=35 t/ha, Y2=45 t/ha, Y3=60 t/ha 선정하였는데 수량에 따라 Swath 두께가 달랐다. 수확부터 둘째 날까지 흐렸고, 둘째날 새벽의 1.3 ml의 강우로 인해 초기 약 2일은 세 처리구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후 3일간, Y1 52.4%에서 14.4%로, Y2 57.0%에서 18.3%로, Y3 60.8%에서 25.5%로 떨어지면서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보여 수량 차이는 건초 생산 시 건조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초의 사료가치는 세 처리구 모두 수량차이에 따른 건초의 사료가치는 세 처리구 모두 ADF는 약 34%, NDF는 약 59%로 차이가 없었고 CP의 함량은 수량 차이에 따라 Y1, Y2, Y3에서 각각 6.9%, 8.7%, 9.4%로 나타났다. 양질의 건초 생산 시 수량은 건조 속도를 촉진 또는 지연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판단된다.

남부지방에서 조생종 콩 품종의 특성과 조기수확 한계기 (Characteristics and Possible Early Harvesting Time of Early Maturing Soybean Cultivars in Southern Korea)

  • 김동관;손동모;천상욱;이경동;김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5-130
    • /
    • 2008
  • 본 연구는 주요 조생종 콩의 생육과 종실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남부지방 다모작 재배농가의 조생종 콩 품종선택에 활용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circ}04'N, 경도 126^{\circ}54'E)에서 6월 1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다. 큰올콩과 화성풋콩은 성숙기가 9월 12일로 빨라 작부체계 도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종실품질과 수량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새올콩과 신록콩은 성숙기가 9월 20일 전.후로 조금 늦으나 종실품질이 좋고 수량이 많았다. 따라서 콩 후작물을 9월 중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큰올콩과 화성풋콩이, 9월 하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새올콩과 신록콩이 유리하였다. 그리고 주요 조생종 콩의 조기수확에 따른 종실품질과 수량성 등을 검토하여 조기수확 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큰올콩은 수확적기(9월 12일)보다 6일전(9월 6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새올콩은 수확적기(9월 24일)보다 6일전(9월 18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다. 따라서 큰올콩과 새올콩의 안정적인 조기수확 한계기는 수확적기 6일 전이다.

시금치 해충 흰띠명나방(Spoladea recurvalis)의 살충제 감수성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Spoladea recurvalis (Lepidoptera: Crambidae) to Five Insecticides in Spinach)

  • 이영수;이희아;김소희;최종윤;이현주;이상우;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529-537
    • /
    • 2022
  • 시금치의 주요 해충인 흰띠명나방(Spoladea recurvalis) 유충의 살충제 5종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Lufenuron EC, chromafenozide EC, chlorantraniliprole WP, tebufenozide WP, pyridalyl EW는 각각 2(12.5 ppm), 4(12.5 ppm), 8(2.5 ppm), 4(20.0 ppm), 8(12.5 ppm)배의 희석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추천농도로 경엽처리 후 7일이 경과된 시금치 잎에 흰띠명나방 유충이 72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경우 chromafenozide EC, chlorantraniliprole WP, tebufenozide WP, pyridalyl EW의 살충률은 각각 98.3%, 100%, 95.0%, 100%로 나타나 높은 잔효성을 보였다. 흰띠명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를 2개소(화성, 연천)에서 포장검정 결과, 5종의 약제 모두 2개소에서 약제처리 7일 경과 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2배량에서도 약해가 없어 향후 흰띠명나방 방제약제로 시금치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경관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딱정벌레 군집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Community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

  • 강방훈;이준호;박종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45-552
    • /
    • 2009
  • 본 연구는 농업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서식처 기반의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위치한 환경압박이 서로 다른 3개 조사지(농경지와 야산으로 이루어진 조사지 1, 공장이 많이 위치하는 조사지 2, 거주지역이 많이 차지하는 조사지 3에서 4개의 토지이용(야산, 밭둑, 논둑, 하천변)별로 2000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9회의 딱정벌레 군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서 딱정벌레 군집 조성, 우점종 그리고 군집 패턴이 토지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사도는 조사지 2와 3의 논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지 2의 야산과 조사지 3의 하천변간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도로에 의해 파편화된 서식처간의 유사도가 서로 다른 서식처 및 조사지간의 유사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네트워크 측면에서 농경지 토지이용은 각각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촌경관에서의 서식처별 딱정벌레 군집분석을 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야생벼 Oryza minuta에서 유래한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에 대한 고찰 (Genetic Analysis on th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 from a Wild Relative, Oryza minuta)

  • 정지웅;노태환;강경호;신영섭;김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24-133
    • /
    • 2011
  • 벼 흰잎마름병은 세계적으로 벼 재배치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병해충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습발생지를 중심으로 Xa1과 Xa3 이 저항성 유전자로 활용되었으나, 소수의 저항원이 집중적으로 활용됨으로 인해 최근 이병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Xa1과 Xa3 모두를 침해하는 새로운 균계 K3a가 확인됨에 따라 새로운 저항성 유전자의 동정 및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국내육성 자포니카품종 화성벼와 야생벼 O. minuta 간의 종간교잡을 통해 확립된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원506호와 통일계 품종인 밀양23호간의 교잡을 통해 확보한 F2 개체들을 활용하여 흰잎마름균주 HB3011 의 접종에 따른 병반장의 변이와 유전자지도 작성에 사용된 SSR 마커의 유전자형간의 연관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을 지배하며 우성유전자로 작용하는 주동유전인자가 염색체 4변 하단에서 SSR 마커 RM255 에 의해 표지 되었는데, 해당 염색체영역은 Xa1과 Xa2 및 Xa22 등이 보고되었던 영역과 매우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