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ing after Retirement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3초

고령화에 대비한 다양한 융복합 금융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convergence financial services in preparation for the aging)

  • 최정일;안창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37-146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고령화가 세계 주요국들에 비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반면, 저금리 저성장의 영향으로 노후대비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고령화시대에 대비하여 다양한 금융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각종 자료 분석 및 은행직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소득 대체율 55%는 세계은행의 권고 수준 75% 대비 매우 낮았다. 은퇴 후 수입원 중 연금 비율 역시 미 일에 비해 크게 낮았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가장 많은 사람이 은퇴 이후 생활자금 규모로 매월 200-299 만원을 필요로 하였다. 노후대비 투자 상품으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예 적금 비중이 높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보험 연금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무 비재무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생애중심 재무 설계, 은퇴 단계별 솔루션 제시, 주택금융의 활성화 및 다양한 은퇴 설계상품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택과 이동 특성 (Residential Choice and Mobility of Korean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임기흥;백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38-449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베이비붐세대의 은퇴후 주거선택을 고찰하기 위해 은퇴 후 주거선택 기준, 선호하는 주택유형, 규모 및 주거이동특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에는 은퇴 전과 다른 기준으로 주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쾌적성과 편의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아파트거주 비율이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이며, 반면 전원주택 및 타운하우스의 거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주거면적을 일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유 주택규모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62.4%가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고, 이 중 지역 간 이동은 주거이동가구수의 과반수가 넘는 52.3%에 달해 은퇴 후 활발한 주거이동이 예상된다. 다섯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의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 및 근교신도시 예비노인층의 주거이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Pre-Elderly's Housing Mobility Living in Seoul and New Towns in the Capital Area)

  • 권오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99-11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elderly's housing mo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reasons for moving, change of personal life after move, housing attachment, and plan to future move)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housing mo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A total of 200 us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ersonal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Samples were selected in Seoul and new towns in the capital area and a survey conducted from February, 2014 to December, 2014. For the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asons for moving were 'a good place for nature and retirement life'. Age, education level, liiving expenses, locaion, tenure status, and housing size were the variables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o reasons for moving. Respondents experienced positive personal life changes after moving, especially, 'physical health' and outgoing activity'. Respondents who moved to a new town was more positively changed. Personal life changes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ssociated with 3 factors of housing attachment. Location, tenure status, housing size were the major variables to show differences to housing attaachment. Also, personal life changes after moving and housing attachment were th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a plan to future move. In other words, the respondents who do not plan to future move showed higher positive life change and strong housing attachment.

일본 공적역모기지의 변화와 시사점 (A Study on the Change and the Hint of Public Reverse Mortgage System in Japan)

  • 유선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49-56
    • /
    • 2005
  • This study will focus on status and structure of Japanese public reverse mortgage that has been changed since 1980. Especially, on newly introduced long-term supporting system for living fund after 2003. Private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studied preceding cases of real estate products with reverse mortgage theory and also induced learning point from the change of Japanese public reverse mortgage market. From this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a better plan for successful reverse mortgage introduction in Korea. The data and articles of Japanese reverse mortgage are used for this study, also reverse mortgage related data are collected from web-site and research reports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From the total postal survey in September, 2004, the system contents after Year 2003 are described here. As described above, reverse mortgage is a way to support public social pension system and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assisting method for stable housing and supporting living cost to the ag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introducing a public reverse mortgage as a welfare system for low income people.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운영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 최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6
    • /
    • 2019
  •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17년이 지난 2017년말에 예상보다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비하여 아직 노인주거시설에 관한 인식은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시설의 건축과 경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노인주거시설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정부의 정책 또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는 면도 무시할 수 없다. 노인의 주거는 단순한 주거 공간 뿐 만이 아니라 의료의 문제와 연관지어서 생각해야 한다는 점과 지속적인 케어의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노인주거의 추세는 연속보호형 시설(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ity)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주거시설의 정책과 기존 노인주거를 외국의 정책 및 주거와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주거시설의 운영을 중심으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UNIT의 유지, 시설의 용도변경을 통한 융통성의 확보, 공용공간의 쉐어, 운영비의 현실화 등을 통해 노인주거시설의 적합한 주거디자인의 유형의 특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방안을 연구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 of the Life Style and Housing Selection Attributes of the Middle-aged People)

  • 임선미;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74-8088
    • /
    • 2015
  •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차이 및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중년층은 자신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안락한 주거환경에서 여유롭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이에 편승하여 보건 의료시설, 문화, 휴양, 오락시설 등과 수준 높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래노인 주거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수요 구조 변화의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주5일 근무제의 확산, 소비수준의 향상, 교육수준의 향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산 등 사회.문화. 경제적 환경의 전반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중년층은 기존의 노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신을 젊게 생각하고 도전적이며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은 더욱 다양하게 전개될 것이며 노후의 다양한 삶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주택 및 주거환경 계획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년층의 은퇴 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주거만족과 주거선호를 예측하여 다양한 주택공급, 주거마케팅, 주택정책에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여, 그들이 선호하는 미래주거를 다양화 시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미래 주거환경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은퇴 후 농촌거주를 위한 주택연동형 연금보험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잠재 수요자의 보험가입조건 및 서비스 요구도 분석 (A Study on Development of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for Rural Living after Retirement - Decisive insuring factors and the service demand of potential consumers -)

  • 홍형옥;김정인;임상봉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3호
    • /
    • pp.37-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valid data about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was a part of national housing projects, which was an incentive for rural living of retired people, in order to relieve residential issues of elderly and revitalize rural communities by residents moving from cities. The insuring intent, decisive insuring factors and the residential service demand degree of people preparing retirement were analyzed. Data was collected in October, 2007. 364 Sample Subjects liv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ly, more than 90% of respondents had intention to purchase a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and about 50% of them necessarily desired receiving premium for moving in. This indicated that it could be developed as an insurance which helped to meet housing expenses by housing-linked system, and in the mean time, it met the original purpose of pension insurance as the pension benefit could be guaranteed for all the insurance subscribers. Secondly, the respondents, whose income and private assets were higher, were able to pay more for insurance compared to averag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regulate monthly insurance bill and the payment period according to asset states of insurance subscribers after establishing certain amount of total insurance payment. Thirdly, by and large, it indicated the tendency that the less they prepare for older age the later they wanted to move into the pension insurance residence. It was inferred that in the case of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older age, people preferred preparing behind time by postponing move in to moving in early to enjoy retired life, due to uncertainties. lastly, the respondents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health, medical treatment and emergency management service and these two services were preferred as essential provided services. Because of the necessity of developing residential-linked pension insurance was found to be positive, further research to find the real cost, directives for ope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is type of pension insurance might be needed.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개발자 유형에 따른 개발과 관리 특성 선호경향 - 개발$\cdot$거주, 비용을 중심으로 -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 Focused on Development$\cdot$Residence, Cost)

  • 서은미;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6호
    • /
    • pp.39-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ocial survey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20, 2004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 people in 40s-60s using questionnaire which distributed only to those having at least $60\%$ of positive interest in developing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rh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majority of respondents wanted to have their old age from mid-60's after retirement more independently, the housing should be designed in a way for them to stay in the m's length of friends and community people. Residential spaces should be individually partitioned and variou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a semi-dependent manner. The location should be where the medical services were systematically available and ambient environment was agreeable. Second, the cohousing type developers preferred to develop the housing in a form of joint investment with the Potential residents, while the individual developers would like to sell or rent the housing thus would ask for the locations at the outskirts of big cities. In conclusion, most respondents had comparatively similar opinions in terms of the preferred types of development, residential aspects and cost features of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

은퇴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대한 사회자본의 효과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Korean Retirees)

  • 장연주;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1호
    • /
    • pp.29-49
    • /
    • 2011
  • Social capital theory provides a robust framework for analyzing economic well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retirees in Korea.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ere used(n=1,628). SPSS 1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region, housing tenure, and personal income, the social capital of the retirees, including cognitive social capital(trust and reciprocity) and structural social capital(emotional and economic familial support, and a well-developed social network), contributes to increases in their economic well-being. Second, the degree of effect social capital has on well-being varied by gender and age; the effect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regardless of the person's age. These empirical results provide a basis for the institution of policies that help bolster economic wellbeing for retirees by creating condition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in this group.

  • PDF

한국의 신빈곤현상과 탈빈곤정책에 관한 연구: 근로빈곤층(the working poor)의 실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New Poverty and Change of Poverty Policy in Korea)

  • 김영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41-70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구조변화에 따른 빈곤형태의 변화를 고찰하고 신빈곤층의 탈빈곤을 위한 정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빈곤정책은 노령, 실업, 장애, 질병 등 노동능력 상실과 관련된 절대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경제위기 후 증가하는 빈곤의 특성은 노동시장 참여가 더 이상 탈빈곤의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빈민을 대상으로 경제위기이후 경제상황변화, 복지상황, 사회적 위험에 대한 경험 및 대응방식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탈빈곤정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근로빈민층은 경제위기이후 실업, 소득감소 등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위험을 경험했으며 불안정한 고용상황, 취약한 복지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탈빈곤정책으로 소득안정정책, 직업훈련 및 기술교육정책,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 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