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이주, 김영신, 허경옥(2006). 알기 쉬운 가계경제학. 서울: 신정.
- 강인(2007). 은퇴 남성 노인의 어려움과 적응에 관한 연구-자아복합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59-283.
- 강지숙(2008).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8(3), 477-496.
- 강혜원(2008). 한국 중노년 여성의 일, 가족, 그리고 은퇴. 국민노후보장 패널조사 제1회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301-315.
- 구혜정(2002). 전환기의 평생교육: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만남. 한국교육학연구 8(2), 275-296.
- 김미령(2006). 전기.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7-222.
-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지 20(3), 61-76.
- 김숙경(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 179-202.
- 김승현(2008).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2(2), 67-89.
- 김지경, 송현주(2009). 조기은퇴남성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31-43.
- 김현정, 고수연, 정희원, 이지선, 임지영(2009).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253-280.
- 나영선, 이재열, 한준상, 이경욱, 한성안(2005). 사회자본과 인적자본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박세경, 김형용, 강혜규, 박소현(2008). 지역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형성의 실태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박찬웅(1999). 경쟁의 사회적 구조. 한국사회학 33, 789-817.
- 박희봉(2002). 사회자본과 행정: 사회자본 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 정부학연구 8(1), 5-45.
- 백만기, 우재룡(2005). 은퇴설계와 종업원 복리후생. 한국FPSB.
- 백은영(2009). 은퇴자의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44, 345-372.
- 서지원(2006). 사회자본으로서의 가족자원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14.
- 서지원(2008a). 노년기 경제적 복지를 위한 사회투자정책의 방향: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31-55.
- 서지원(2008b). 중년기의 경제적 복지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315-332.
- 성영애(1994). 미국 은퇴가계의 경제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4), 31-43.
- 손종칠(2010).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노동정책연구 10(2), 125-153.
- 안성호, 곽현근(2004). 동네수준의 사회자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정체성과 사회자본. 서울: 다운샘,
- 안우환, 김경식(2005).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을 통한 학부모의 교육열 탐구. 중등교육연구 53(1), 29-50.
- 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2003). 사회적자본: 이론과 쟁점. 서울: 그린.
- 이가옥, 이지영(2005).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회복지학 57(1), 93-120.
- 이지영, 최현자(2009).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215-230.
- 임채원(2006). 신자유쥬의를 넘어 사회투자국가로. 파주: 한울.
- 장충권(2005). 건설일용근로자의 사회자본: 연결망, 신뢰, 호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 통계청(2005), 청년층.고령층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 통계청(2009), 2009 생명표.
- 한국노동연구원(2004). 노동패널 중고령자 부가조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보지포럼 147.
- 한형수(2008).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347-372.
- 홍영란, 김태준, 현영섭, 소진광, 이승희(2007).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Bourdieu(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 Burt, R. S.(1997). The contingent value of social capital.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2.
- Coleman, J.(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4-121.
- Edin, K. (1991). Surviving the welfare system: How welfare recipients make ends meet. Social problems 38, 301-312.
- Emerson, R. M.(1981). Social Exchange Theory, in M. Rosenberg and R Turner (eds.),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Academic Press.
- Field. J.(2004). Social Capital. New York: Routledge.
- Fukuyama, F.(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Free Press.
- Hao, L., & Brinton, M. C. (1997). Productive activities and support systems of single mother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2, 1305-1344.
- Lin, Nan.(1982). Social Resource and Instrumental Action, in P. Marden and N. Lin (eds.), Social Structure and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Sage.
- Lin, Na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OECD(2000). Human & social capital & sustained growth & development, reconciling new economics & societies: the role of human & social capital. Paris.
- OECD(2001). Cities and regions in the new learning economy. Paris.
- Packard, M. D., & Reno, V. P.(1989). A Look at Very Early Retirees. Social Security Bulletin 52(30), 16-29.
- Pavetti, L. (1993). the dynamics of welfare and work: Exploring the process by which women work their way off welf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vard University.
- Portes, A.(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e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24.
- Putnam, R. D.(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 35-42.
- Putnam, R. D.(2009). 나홀로 볼링(Bowling Alone). 서울: 페이퍼로드.
- Rander, D. B.(1987). Money Incomes of Aged and Non-aged Family Units, 1967-84. Social Security Bulletin 50(8), 9-28.
- Ross, C. M., Danziger, S., & Smolensky, E. (1987), Interpreting Changes in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1949-1979. Contemporary Policy Issues 5, 98-112.
- Weicher, J. C. (1999). Some income measurement issu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89, 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