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 Poverty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9초

여성노인의 가구유형 및 빈곤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Focused on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 강현정;김윤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80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d compare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by focusing on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dminister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in 2006. The data for 1,017 older women ages over 65 including 427 single households and 590 couple households was analyzed. First, interaction effects of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on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non-poverty households of older women, there was no explicit difference between single households and couple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but for the poverty households, single households were lower in life satisfaction than couple households.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four groups of older women (poverty-single household, poverty-couple household, non-poverty-single household, and non-poverty-couple household), besides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number of children, health level, residence area, and status of economic activity. Third, when analyzing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common predictors for the four groups were health level and ownership of house. Older women who perceived to be healthier and owned their own homes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For poverty-single households, older women with over middle school graduation were also higher in life satisfaction, but for poverty-couple households, older women with over middle school graduation and more children were higher.

  • PDF

우리나라 여성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of Female Youth in Korea)

  • 유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85-91
    • /
    • 2019
  • 본 연구는 청년빈곤이 소득결핍만이 아닌, 주거결핍, 근로결핍, 건강결핍등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결핍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여성청년 가구의 빈곤 및 결핍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한다. 다차원적 빈곤은 소득, 근로, 주거, 건강의 네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다. 표본은 한국복지패널 10년치 자료에서 pooling한 2630명의 1인 가구 여성청년이다. 분석도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틀은 차원별 결핍율, 결핍차원간 상관분석, N개 차원 빈곤 중첩률이며 이를 위해 빈도분석, 평균분석, 상관분석 등의 기술통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여성청년은 근로와 주거에서 다른 차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핍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두개 차원이 동시에 빈곤인 여성청년 비율도 다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청년 여성 맞춤형 일자리 서비스 구축, 강소기업과의 일자리 매칭, 장기전세주택 대상자 중 청년여성 1인 가구 할당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와 함께 여성청년 스스로의 공유경제 공동체 설립 등도 대안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토지정보를 이용한 빈곤관리의 모델 (New Landscape of Poverty Management in Land Information System)

  • 류재익;오민수;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9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사회 경제적인 성숙을 추구함과 더불어 주택과 토지에 대한소유 및 접근은 공간적 분포의 삶의 질과 빈곤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첨단 IT 기술과 매우 향상된 지리 및 토지정보 시스템이 공간적 인간 정주문제, 토지이용과 개발, 환경악화 등을 분석하는데 이용되고 있지만, 시공간 차원에서 발생하는 가난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는데 있어 초기연구 단계에 있는 듯 싶다. 이 연구는 육하원칙 인자를 이용하여 공간적 위치의 가난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격차로 인하여 생기는 가난한 환경을 토지정보의 공간적 개념과 연계하고 빈곤을 해소하는 관점에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Poverty of People over 45 years old with Disability: Comparison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 송인욱;원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26-235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중고령 장애인의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소득, 노동, 건강, 주거, 교육, 사회참여의 6가지 사회적 배제요인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여 이 요인들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와 농어촌 거주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및 빈곤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4차년도 자료에서 45세 이상 중고령 장애인 640명을 추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요인 중 노동, 주거, 교육이 중고령 장애인의 빈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도시 지역의 경우, 나이가 적고, 배우자가 없으며, 일을 하지 않고, 집을 소유하지 않은 중고령 장애인이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았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령 장애인은 나이가 적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 빈곤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및 빈곤 감소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거빈곤 저소득 임차가구의 특성 및 주거문제: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Housing Deficits of Low-Income Renter Households in Housing Poverty: Focused on the 2014 Korea Housing Survey)

  • 이현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155-164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housing deficits and expectations for support programs of low-income renter households in housing poverty in order to provide housing policy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formation. Microdata of the 2014 Korea Housing Survey was utilized as secondary data for this study. A total of 2,508,672 low-income renter households (weighted count) in the bottom 40% income ranks of entire general households living in private rental uni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One point four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living in non-house living quarters (e.g., shanties, vinyl greenhouses, container houses, and mud huts), 1.4% were in dosshouses, 9.9% were in basements, semi-basements or rooftop units, and 8.2% were in sub-standard units. (2) Among the households whose housing costs burdens were measurable, 75.7% were found to have housing cost burdens to pay 30% or more of their household income towards housing costs (rental costs and maintenance costs), but only 7.5% of the burdened households received a housing voucher. (3) Eighty-one percent were found to be in a housing poverty status as defined by the researcher; in addition, low-income renter households in housing poverty in Seoul tended to have a greater proportion of households headed by females, the elderly, and be persons with low-education or disabilities. (4) Households in housing poverty showed greater expectations for financial support and/or extended provisions of public rental housing than other low-income renter households.

복지공간으로서 인보관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의 뜻과 정체성의 사유 : 토인비 홀과 헐 하우스의 비교 (Meaning and identity of social work practice by thinking through settlement house as a welfare space : Comparison of Toynbee Hall and Hull House)

  • 박선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1호
    • /
    • pp.91-111
    • /
    • 2017
  • 이 연구에서 19세기말-20세기 초 영국의 토인비 홀과 미국의 헐 하우스 두 인보관의 사상과 활동을 소환하는 목적은 첫째, 당시 사회복지실천이 점진적으로 형태를 갖추게 된 계기와 당초의 뜻을 찾아보는 것이다. 둘째, 개인화의 문제와 대안의 공동체 만들기가 공존하는 이 시기에 당시 '사회적 일'로 시작된 맥락과 영국과 미국의 특징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현재 의미와 정체성에 유용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문헌들을 활용하여 서사를 고찰하되 인보관이라는 장소가 복지공간으로 구성된 당시 시대정신과 활동, 지도력을 목적과 위치, 전문성과 교육, 사회행동 차원으로 분석하며 오늘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였다. 유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은 상반되기 보다는 빈곤에의 대응책으로 '제안-실행-비판-대안의 제안-사회복지실천의 대두'가 진행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인보관은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계층, 젠더,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민간과 공공의 개입 등 여러 현상을 담은 담지자로서 복지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두 인보관은 상이점도 있지만 둘 다 공공의 선과 안녕을 목적으로 하여 사회적인 일, 즉 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시켰다. 끝으로, 인보관의 복지공간으로서의 의의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Body-Mind Unity as a Dominant Design Philosophy of Traditional Japanese Tea-House

  • Ko, Young-Lan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7-28
    • /
    • 2007
  • Despite a current fascination with East Asian iconography such as Zen Style among contemporary designers, there is a lack of genuine cross-cultural discourse that could enable us to share essential design experiences. To bring the discussion a deeper level, traditional Japanese tea-house in its design philosophy of body-mind interplay is explored. Tea-house is a superb manifestation to reveal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Nondualistic realization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dominant tendency of traditional East Asian philosophy, namely the view that the self and environment, and that the mind and the body exist in unity. The essence of tea-house is not in its poetic style or meticulous details, but in its unmistakably monistic approach of creating inseparable form, function and meaning. Tea-house bestows dignity upon restraint, imperfection, discomfort, poverty, and even humility. This concept offers a tremendous insight since it implies that the rational and effective design solution to the greatest degree is not sufficient. Perhaps the most challenging question about tea-house is: How does our experience with human-made 'design' in the broadest sense help both our body and mind attain a full harmony of being? It is the heading which this research inquires.

  • PDF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nior Shared Hous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염혜실;권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23-132
    • /
    • 2014
  • Proportion of senior population living alone in South Korea has exceeded over 20.2% in 2012,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oportion would increase every year. Poverty rate of seniors living alone in Korea is also anticipated to increase the highest rate (76.6%) among OECD countries. In particular, seniors lacking family support are having greater difficulty and isolated due to high housing costs and housing instability. Therefore, they need a new housing alternatives for considering their economical difficulty and lacking family and social suppor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possibility to develop a new housing alternatives for Korean seniors, especially living urban a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attitudes and preference for a new house alternatives(Senior Shared House) by Korean seniors living alone.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ighty-five percent of seni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ponded the senior shared house was needed. 2) It should be developed by utilizing or renovating and renting out existing housing in city areas. 3) Pre-residence checklist can be developed to connect and match prospect residents. 4) Professional workforce (e.g. housing welfare professional) is absolutely necessary to perform the role of coordinator understand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s, and their living requirements. Recommend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senior shared house were suggested.

군산시 독거노인의 거주환경실태 (Hous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Gunsan City)

  • 이지숙;강영숙;유옥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3-327
    • /
    • 2008
  •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and elderly living alone goes on increasing. Most elderly does not want to move into another place out of their present living environment. So it is essential to know their living conditions for the quality of living, especially the aged living alone out of their children' care. Unfortunately there is scarcely any house designed for the aged, especially elderly living alone until now.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gunsan city. The ratio of the female aged living alone is about 3 times than the male but the male population is increasing. Most of them are troubled with more than a disease and use aids and feel the necessity of the others' help. The ratio of the absolute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s about 30%. The majority of them are almost 65-84 years old with living detached house. Most of them own their house. They living in detached house are of a mind to remodel bath/toilet first of all and they living in apartment or row houses have a intention of remodeling an air conditioner and paper walls and ceiling and flooring of all things in house. As the bath and restroom have been pointed as a dangerous space for elderly, the elderly living alone pointed out them as to be remodeled. It seemed the air conditioner in house do not work well in view of their poor economic condition. For the elderly It is needed economic and institutional supports of private organization or government.

  • PDF

근로빈곤가구의 주거 상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 Working Poor Household's Residential Ascend Mobility)

  • 김경휘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149-17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빈곤가구의 주거 상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연령, 교육수준, 근로능력정도, 가구형태, 아동여부, 재산, 수급형태, 지역, 주거위치, 최저시설기준, 주거환경, 대중교통, 교육시설, 영구임대, 국민임대, 전제자금, 월세지원, 대출연체횟수, 부채 요인이 주거상향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따른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지원정책 수립 시 사회복지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져 수급대상의 가구특성 및 개인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주거비 지불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임대료보조제도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근로빈곤가구의 주택대출을 위한 금융권의 접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주거지원정책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노력들이 수반 되어야만 근로빈곤가구의 주거빈곤 문제가 해결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