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Poverty of People over 45 years old with Disability: Comparison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 송인욱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원서진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6.16
  • Accepted : 2015.07.31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poverty of people who are 45 years old and over with disability. It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area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povert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fourth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e sample included in this study was 640 people who were 45 years old and over with disabilit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urban residents who were younger, did not live with a spouse, were not at workforce, and lived in a rented house tended to be on welfare. For rural residents, on the other hand, only age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overty.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indicated political implications to diminish social exclusion and poverty of people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가 중고령 장애인의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소득, 노동, 건강, 주거, 교육, 사회참여의 6가지 사회적 배제요인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여 이 요인들이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와 농어촌 거주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및 빈곤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4차년도 자료에서 45세 이상 중고령 장애인 640명을 추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요인 중 노동, 주거, 교육이 중고령 장애인의 빈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도시 지역의 경우, 나이가 적고, 배우자가 없으며, 일을 하지 않고, 집을 소유하지 않은 중고령 장애인이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았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령 장애인은 나이가 적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 빈곤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및 빈곤 감소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선우, "근로장애인의 빈곤 상태 변화에 대한 종단분석: 패널 로짓 혼합모델의 적용",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4호, pp.177-198, 2013.
  2. 유완식, 장애인의 근로연계 소득 지원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7.
  3. 박능후, 최민정, "중고령자 사회적 배제의 다차원 성과 역동성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325-354, 2014.
  4. 신유리, 김경미, 유동철, 김동기,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커스 집단면접 활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2호, pp.141-168, 2013.
  5. R. Levitas, C. Pantais, E. Fahmy, D. Gordon, E. Lloyd, and E. Patsios,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A Research Report for the Social Exclusion Task Force, University of Bristol, 2007.
  6. A. O'Grady, P. Pleasence, N. J. Balmer, A. Buck, and H. Genn, "Disability, Social Exclusion and the Consequential Experience of Justiciable Problems," Disability and Society, Vol.19, No.3, pp.259-271, 2004. https://doi.org/10.1080/0968759042000204158
  7. 권혁진, "상호이질적인 가구들에 대한 빈곤평가의 문제: SPD(Sequential Poverty Dominance)방법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29권, 제1호, pp.3-31, 2009.
  8. 박미은, 신희정, "생애사 연구를 통한 여성 가구주의 빈곤화 과정과 사회적 배제의 경험: 대전지역의 빈곤 여성 가구주를 대상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3호, pp.167-193, 2010.
  9. 박영미, "복지국가에서의 빈곤의 여성화와 사회적 배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8권, 제4호, pp.11-41, 2008.
  10. 유현숙, 곽현근, "여성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245-272, 2007.
  11. 배화옥, 김유경, "여성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빈곤의 실증분석", 보건사회연구, 제29권, 제2호, pp.55-76, 2009.
  12. 김혜자, 박지영, 고난난, 진나연, 김정은, "한국복 지패널(2005-2011)의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활용한 도시․농촌간 빈곤 격차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5-51, 2014.
  13. 김태완, 김미곤, 김문길, 정희선, 농어촌 빈곤실태와 정책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4. 김영주, "농촌노인가구의 빈곤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빈곤율과 빈곤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4호, pp.31-35, 2008.
  15. 이채식, 김명식, 중고령 장애인의 미취업간의 제반 특성비교를 통한 취업 결정 요인, 제5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2013.
  16. 김성진, 농산어촌 거주 중고령 장애인의 직업활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7. 최운정, 박경수, 이석호, "중고령 여성장애인의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3호, pp.123-146, 2014.
  18. 김용탁, 고령장애인 고용촉진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07.
  19. 박혜전, 노령장애인의 취업 및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0. 전미리, 안선영, "고령장애인의 고용안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15권, 제2호, pp.99-128, 2011.
  21. 이효성, 심의경, 중고령 장애인의 경제활동 실태 및 고용활성화 방안,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011.
  22. 윤성호, "Q방법론을 활용한 빈곤-사회배제 인식 유형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pp.207-236, 2008.
  23. A. Atkinson, B. Cantillon, E. Marlier, and B. Nolan, Social Indicators: The EU and Social Inclu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4. C. Howard, P. Kenway, G. Palmer, and C. Street. Monitoring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Labour's Inheritance, York: York Publishing Services, 1998.
  25. P. Edwards and J. Flatley, The Capital Divided: Mapping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London, London Research Centre. London, 1996.
  26. T. Buchardt, J. Le Grand, and D. Piachaud, Degree of Exclusion: Developing a Dynamic, Multi-Dimensional Measure, In J. Hills, J. Le Grand, and D. Piachaud. (Eds.),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7. J. Bradshaw, J. Williams, R. Levitas, C. Pantazis, P. Townsend, D. Gordon, and S. Middlet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ritain, Paper Presented for the 26th Gener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Income and Wealth. Poland, 2000.
  28. EU Commission, Joint Report on Social Inclusion, 2004.
  29. 강신욱, 김안나, 박능후, 김은희, 유진영,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30. 김안나, "가구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가족과 문화, 제26권, 제1호, pp.237-265, 2014.
  31. 김경미, 김동기, 유동철, 신유리, "장애인용 사회적 배제 척도개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23권, 제1호, pp.47-64, 2013.
  32. 윤상용, 장애발생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가구 경제, 고용 및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3. 김동기, 이웅,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개념화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7권, pp.129-147, 2012.
  34. 유동철,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참여: 장애인 차별금지법 제정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1호, pp.217-239, 2011.
  35. 이익섭, 최정아, 이동영, "장애인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 제14권, pp.49-81, 2007.
  36. 신동환,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GRI연구논총, 제16권, 제3호, pp.71-96, 2014.
  37. 한국고용정보원, http://survey.keis.or.kr
  38. 강현정, 김윤정,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23-33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323
  39. 심진예,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이행에 관한 동태적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40. 백은령, 노승현, "장애노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3호, pp.81-108, 2012.
  41. 남상호, 권순현, "우리나라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분포 현항과 빈곤분석: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자료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28 권, 제2호, pp.3-32, 2008.
  42. 하성규,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사회적 자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주택연구, 제17권, 제4호, pp.77-94, 2009.
  43. http://nhf.molit.go.kr